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1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typo)
(Automated import of articles *** existing text overwritten ***)
34번째 줄: 34번째 줄:
  
 
인구학 연구에 있어 {{TextTerm|가족|1|115|EnglishEntry=family}} ({{RefNumber|11|2|1}}참조) 은 {{NonRefTerm|가구}} ({{RefNumber|11|0|3}}) 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중요한 용어이지만, 그 정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TextTerm|통계적 가족|1|115|2|EnglishOriginal=statistical family}} 또는 {{TextTerm|센서스 가족|1|115|3|EnglishOriginal=census family}}은 일반적으로  혈연, 입양 또는 결혼을 통해 연결된 가구의 모든 성원을 포함한다. 그러나 가구는 가족을 포함 할 수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계적 가족은 두 개 이상의 가구를 포함하지 않지만, 가구는 두 개 이상의 가족을 포함 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 통계적 가족은 {{NonRefTerm|생물학적 가족}} ({{RefNumber|11|3|1}})과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TextTerm|가족구성원|2|115|EnglishOriginal=family nucleus}} 을 의미하며, 아이가 없는 부부나 미혼 아이를 가진 부부보다 편부모와 미혼 자녀를 가진 가족을 가리킨다. 결혼한 부부가 그들의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 {{TextTerm|전통적 가족|3|115|EnglishEntry=traditional family}}이다. {{TextTerm|결손가족|4|115|EnglishEntry=broken family}}은  부모 중 한 사람을 사망, 이혼, 가출 등의 이유로 잃었을 때 발생한다. 만일 부모가 사별이나 이혼하였을 때 {{TextTerm|편부모가족|4|115|EnglishEntry=single parent families}}이라 한다. 함께 살고 있는 부부 혹은 이혼이나 사별한 부모가 함께 거주하고 있는 자녀가 없는 경우를 {{TextTerm|잉여가족|5|115|EnglishEntry=residual family, Restfamily}}이라고 한다. 다수의 잉여가족들이 하나의 가구를 이루어 살게 되면 이를 {{TextTerm|가족가구|6|115}}라고 부른다.
 
인구학 연구에 있어 {{TextTerm|가족|1|115|EnglishEntry=family}} ({{RefNumber|11|2|1}}참조) 은 {{NonRefTerm|가구}} ({{RefNumber|11|0|3}}) 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중요한 용어이지만, 그 정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TextTerm|통계적 가족|1|115|2|EnglishOriginal=statistical family}} 또는 {{TextTerm|센서스 가족|1|115|3|EnglishOriginal=census family}}은 일반적으로  혈연, 입양 또는 결혼을 통해 연결된 가구의 모든 성원을 포함한다. 그러나 가구는 가족을 포함 할 수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계적 가족은 두 개 이상의 가구를 포함하지 않지만, 가구는 두 개 이상의 가족을 포함 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 통계적 가족은 {{NonRefTerm|생물학적 가족}} ({{RefNumber|11|3|1}})과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TextTerm|가족구성원|2|115|EnglishOriginal=family nucleus}} 을 의미하며, 아이가 없는 부부나 미혼 아이를 가진 부부보다 편부모와 미혼 자녀를 가진 가족을 가리킨다. 결혼한 부부가 그들의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 {{TextTerm|전통적 가족|3|115|EnglishEntry=traditional family}}이다. {{TextTerm|결손가족|4|115|EnglishEntry=broken family}}은  부모 중 한 사람을 사망, 이혼, 가출 등의 이유로 잃었을 때 발생한다. 만일 부모가 사별이나 이혼하였을 때 {{TextTerm|편부모가족|4|115|EnglishEntry=single parent families}}이라 한다. 함께 살고 있는 부부 혹은 이혼이나 사별한 부모가 함께 거주하고 있는 자녀가 없는 경우를 {{TextTerm|잉여가족|5|115|EnglishEntry=residual family, Restfamily}}이라고 한다. 다수의 잉여가족들이 하나의 가구를 이루어 살게 되면 이를 {{TextTerm|가족가구|6|115}}라고 부른다.
{{Note|1| 미국에서 {{NoteTerm|하위가족|EnglishEntry=sub-family}} 은 아이의 유무에 관계없이 결혼한 부부 또는 편부모 및 18 세 미만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며, 그 집의 가구주 혹은 그 아내에게 친척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 자신은 세대주가 아닌 경우의 가족을 말한다. 영국에서 {{NoteTerm|1차 가족 단위|EnglishEntry=primary family unit|}}는 부모와 아이들, 또한 부모의 형제 자매, 부모보다 이전 세대에서 이루어진다. 결손 가정(broken family)은 부모 중 1 명이 사망, 이혼 또는 실종으로 잃은 가족이다. }}
+
{{Note|1| 미국에서 {{TextTerm|하위가족|EnglishEntry=sub-family|}} 은 아이의 유무에 관계없이 결혼한 부부 또는 편부모 및 18 세 미만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며, 그 집의 가구주 혹은 그 아내에게 친척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 자신은 세대주가 아닌 경우의 가족을 말한다. 영국에서 {{TextTerm|1차 가족 단위|EnglishEntry=primary family unit|}}는 부모와 아이들, 또한 부모의 형제 자매, 부모보다 이전 세대에서 이루어진다. 결손 가정(broken family)은 부모 중 1 명이 사망, 이혼 또는 실종으로 잃은 가족이다. }}
  
 
=== 116 ===
 
=== 116 ===
  
 
인구학적 자료에 따르면, {{TextTerm|세대|1|116|EnglishEntry=generation}}라는 용어는 엄격한 의미로 일반적으로는 특정기간에 태어난 사람들을 의미한다. {{TextTerm|코호트|2|116EnglishEntry=cohort}}는  특정 기간에 출생이나 결혼과 같은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의 그룹을 말한다. 예를 들어, 출생 코호트는 위({{RefNumber|11|6|1}})의 의미에서 세대와 동의어이다. 결혼 코호트는 특정 기간 동안 결혼한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인구학에서는 계보학과 마찬가지로 세대라는 단어를 {{RefNumber|11|6|1}}의 개념으로 이전 세대에서 그들의 자손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민 집단의 아이들은 종종 2세대라고 불린다. 남녀 중 하나에 한하여 그 후손의 혈통을 문제 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TextTerm|남계|4|116|EnglishOriginal=male generation}} 또는 {{TextTerm|부계|4|116|2|EnglishOriginal=paternal generation}} 는 남계의 아들 또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한다. {{TextTerm|모계|5|116|EnglishOriginal=female generation}}  혹은 {{TextTerm|모계|5|116|2|EnglishOriginal=maternal generation}}의 경우는 모계의 딸이라고 한다. 이러한 남계, 모계의 구별은 보통 한 세대의 길이 또는 세대 간격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RefNumber|71|3|1}}참조).
 
인구학적 자료에 따르면, {{TextTerm|세대|1|116|EnglishEntry=generation}}라는 용어는 엄격한 의미로 일반적으로는 특정기간에 태어난 사람들을 의미한다. {{TextTerm|코호트|2|116EnglishEntry=cohort}}는  특정 기간에 출생이나 결혼과 같은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의 그룹을 말한다. 예를 들어, 출생 코호트는 위({{RefNumber|11|6|1}})의 의미에서 세대와 동의어이다. 결혼 코호트는 특정 기간 동안 결혼한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인구학에서는 계보학과 마찬가지로 세대라는 단어를 {{RefNumber|11|6|1}}의 개념으로 이전 세대에서 그들의 자손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민 집단의 아이들은 종종 2세대라고 불린다. 남녀 중 하나에 한하여 그 후손의 혈통을 문제 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TextTerm|남계|4|116|EnglishOriginal=male generation}} 또는 {{TextTerm|부계|4|116|2|EnglishOriginal=paternal generation}} 는 남계의 아들 또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한다. {{TextTerm|모계|5|116|EnglishOriginal=female generation}}  혹은 {{TextTerm|모계|5|116|2|EnglishOriginal=maternal generation}}의 경우는 모계의 딸이라고 한다. 이러한 남계, 모계의 구별은 보통 한 세대의 길이 또는 세대 간격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RefNumber|71|3|1}}참조).
{{Note|2|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은 평생 또는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다른 코호트 경험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br /몇 년간 군대에 징병 된 남성의 경우, 그들은 {{NoteTerm|class}} of that year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그것은 특정 년에 학교를 졸업 한 그룹을 가리켜 사용된다.}}
+
{{Note|2|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은 평생 또는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다른 코호트 경험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br />몇 년간 군대에 징병 된 남성의 경우, 그들은 {{NoteTerm|class}} of that year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그것은 특정 년에 학교를 졸업 한 그룹을 가리켜 사용된다.}}
<br />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10일 (화) 18:54 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110

인구학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통계 단위(statistical unit)1개인(individual)2 또는 사람(person)2이다. 머릿수2라는 용어(예를 들어 per head, head count라는 사용법처럼)도 한 때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가구(household)3는 함께 거주하는 개인들로 구성된 사회경제적 단위를 의미한다. 국제 표준으로 권고된 정의에 따르면, 가구는 동일한 주거지 (120-1)에서 주요 식사를 함께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말한다. 과거에는 영어식 표현에서 household라는 용어 대신 집에서 함께 불을 나눈다는 의미로 난로(hearth)3라는 용어도 사용되었다. 가구의 분류는 국가마다 조사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분류는 일반가구(private household)4집합가구(collective household)5의 두 종류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 혼자 살고 있는 가구는 1인 가구6로 불린다. 하숙인7은 가구의 다른 성원과 혈연 인척 관계를 가지지 않고, 평상시 식사를 세대원과 함께 하는 사람들인데, 가정부와는 구별된다. 한편 셋방사람8 은 하숙인과 비슷하지만, 식사는 따로 하는 사람들이다. 이 두 집단은 통계 목적에 따라 세대원에 포함하기도 포함하지 않기도 한다.

  • 4. 일반가구에서 그 성원이 서로 혈연-인척 관계에 있는 경우 친족 세대(family household)라고 부른다.
  • 5. 집합가구는 병원이나 교도소 등과 같이 특정 목적에 의해 사람들이 거주지와 식사를 공유하는 시설가구(institutional households) 를 포함한다. 또한 공동거주주택(예를 들어 기숙사, 사회시설)에서 함께 살고 있지만 서로 혈연-인척 관계가 없는 사람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다만, 최근 국제적으로 권고된 정의에 따르면, 가구 및 가구인구(household population) 는 일반가구에 한정되며 그 이외의 경우는 가구를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111

일반가구 (110-4)는 가구원 혹은 세대원(members of the household)1 이라는 몇 명의 사람들도 구성되고, 세대원 중 한 사람이 가구주(head of the household)2이다. 국제적으로 보면, 가구원 가운데 가구주가 누구여야 하는가에 대해 일치된 정의는 없다. 일부 국가는 가구원 중 주요 소득자3를 가구주로 간주한다. 대부분의 센서스 질문표에서는 가구원의 가구주에 대한 친인척관계4 (114-3*)를 확인하는데, 이를 통해 두 개 이상의 생물학적 가족 또는 핵가족 (113-1의 성원으로 구성된 합성가구(composite households)5 또는 복합가구(complex households)5 를 식별할 수 있다. 합성가구 또는 복합가구는 1차 핵72차 핵8같은 몇몇 6으로 나눠진다. 이러한 핵은 일반적으로 가족(family) (112-1)으로 불린다. 가구 규모11 는 가구에 포함된 가구원의 수를 가리킨다.

  • 2. 가구 대표자 라는 말은 종종 세대주(headship) 의 동의어로 사용된다. 한편 세대주비율(headship ratio)이라는 용어도 사용되는데, 이것은 연령, 성(sex) 또는 다른 특성들을 그에 상응하는 카테고리의 인구수로 나눈 몫을 의미한다.
  • 6. 가족 핵은 부부가족단위(conjugal family unit)라고도 한다.

112

가족(family)1 (113 과 115 참조) 은 가구 (110-3) 와는 다른 단위이므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가족은 주로 결혼, 출산 또는 입양을 통해 연결된 사람들의 관계를 말하며, 법률과 관습에 의해 규정된다. 기본적인 가족 관계는 첫째, 결혼에 의한 부부 관계이고, 둘째, 부모2와 그들의 자녀와의 관계이다.

113

부모와 아이들로만 구성된 가족의 경우 생물학적 가족1 또는핵가족1 으로 불린다. 형제2 , 자매3 혹은 남매에 남녀의 구별이 없는 경우를 영어표현으로 sibling 이라고 하고 우리말로는 일반적으로 형제4라고 통칭한다. 부모 중 오직 한 명만이 동일할 때 이복형제(half-brothers)5 혹은 이복자매(half-sisters)6라고 부른다. 확대가족7 은 두 개 이상의 핵가족이 모여진 형태인데, 삼 세대 이상이 함께 사는 경우 수직확대가족(vertically extended family)8 이고, 동일한 세대의 두 개 이상의 핵가족이 함께 사는 경우가 수평확대가족(horizontally extended family)9이다. 수직확대가족에서 유산을 상속받는 사람이 포함된 가족만 함께 사는 경우를 줄기가족10 이라고 한다.

114

같은 조상2으로부터 공통된 혈통으로 연결된 자손들을 혈족(blood relatives)3 또는 친척(genetic relatives)3 이라 한다. 친족(kin)3 은 집단적 의미에서의 친족집단이라는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촌수4는 일반적으로 각 공통 조상까지의 세대 수를 합산하여 산출하는 친족 관계의 친소 정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그러나 이외에도 측정 절차에는 많은 방법이 있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기본 관계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5 (112-6* 와 112-7*참조)이다. 혈연 관계는 결혼을 통해 상대 배우자가 속하는 다른 친족과 생기는 새로운 관계8(예컨대 사돈관계)와는 구별된다.

  • 8. 일부 국가에서는 결혼으로 인한 인척 관계 에있는 사람은 의리의 관계(in-laws)에 있다고 한다.

115

인구학 연구에 있어 가족(family)1 (112-1참조) 은 가구 (110-3) 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중요한 용어이지만, 그 정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통계적 가족1 또는 센서스 가족1은 일반적으로 혈연, 입양 또는 결혼을 통해 연결된 가구의 모든 성원을 포함한다. 그러나 가구는 가족을 포함 할 수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계적 가족은 두 개 이상의 가구를 포함하지 않지만, 가구는 두 개 이상의 가족을 포함 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 통계적 가족은 생물학적 가족 (113-1)과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가족구성원2 을 의미하며, 아이가 없는 부부나 미혼 아이를 가진 부부보다 편부모와 미혼 자녀를 가진 가족을 가리킨다. 결혼한 부부가 그들의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 전통적 가족(traditional family)3이다. 결손가족(broken family)4은 부모 중 한 사람을 사망, 이혼, 가출 등의 이유로 잃었을 때 발생한다. 만일 부모가 사별이나 이혼하였을 때 편부모가족(single parent families)4이라 한다. 함께 살고 있는 부부 혹은 이혼이나 사별한 부모가 함께 거주하고 있는 자녀가 없는 경우를 잉여가족(residual family, Restfamily)5이라고 한다. 다수의 잉여가족들이 하나의 가구를 이루어 살게 되면 이를 가족가구6라고 부른다.

  • 1. 미국에서 하위가족(sub-family) 은 아이의 유무에 관계없이 결혼한 부부 또는 편부모 및 18 세 미만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며, 그 집의 가구주 혹은 그 아내에게 친척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 자신은 세대주가 아닌 경우의 가족을 말한다. 영국에서 1차 가족 단위(primary family unit)는 부모와 아이들, 또한 부모의 형제 자매, 부모보다 이전 세대에서 이루어진다. 결손 가정(broken family)은 부모 중 1 명이 사망, 이혼 또는 실종으로 잃은 가족이다.

116

인구학적 자료에 따르면, 세대(generation)1라는 용어는 엄격한 의미로 일반적으로는 특정기간에 태어난 사람들을 의미한다. 코호트2는 특정 기간에 출생이나 결혼과 같은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의 그룹을 말한다. 예를 들어, 출생 코호트는 위(116-1)의 의미에서 세대와 동의어이다. 결혼 코호트는 특정 기간 동안 결혼한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인구학에서는 계보학과 마찬가지로 세대라는 단어를 116-1의 개념으로 이전 세대에서 그들의 자손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민 집단의 아이들은 종종 2세대라고 불린다. 남녀 중 하나에 한하여 그 후손의 혈통을 문제 삼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남계4 또는 부계4 는 남계의 아들 또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한다. 모계5 혹은 모계5의 경우는 모계의 딸이라고 한다. 이러한 남계, 모계의 구별은 보통 한 세대의 길이 또는 세대 간격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713-1참조).

  • 2.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은 평생 또는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다른 코호트 경험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몇 년간 군대에 징병 된 남성의 경우, 그들은 class of that year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그것은 특정 년에 학교를 졸업 한 그룹을 가리켜 사용된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