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4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41'''--> {{CurrentStatus}}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__NOTOC__ === 410 === The mortality of live-born children who have not yet reached their first birthday is ...)
 
(411)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41'''-->
  
<!--'''41'''-->
 
{{CurrentStatus}}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9번째 줄: 8번째 줄:
 
=== 410 ===
 
=== 410 ===
  
The mortality of live-born children who have not yet reached their first birthday is called {{TextTerm|infant mortality|1|410|OtherIndexEntry=mortality, infant}}. The mortality of live-born children who die before reaching a certain age taken as four weeks or 28 days, the so-called {{TextTerm|neo-natal period|3|410|OtherIndexEntry=period, neo-natal}}, is called {{TextTerm|neo-natal mortality|2|410|OtherIndexEntry=mortality, neo-natal}}. The mortality during the first week of life is called {{TextTerm|early neo-natal mortality|4|410|OtherIndexEntry=mortality, early neo-natal}}. The term {{TextTerm|post-neonatal mortality|5|410|IndexEntry=post-neo-natal mortality|OtherIndexEntry=mortality, post-neo-natal}} refers to deaths after the neo-natal period, but before reaching the age of one year.
+
생후 1년 미만 아이의 사망을 {{TextTerm|영아 사망|1|410|EnglishEntry=infant mortality}}이라 한다. 생후 4주(28일), 이른바 {{TextTerm|신생아기|3|410|EnglishOriginal=neo-natal period}}에 사망한 것을 {{TextTerm|신생아 사망|2|410|EnglishEntry=neo-natal mortality}}, 생후 1주 미만부터 생후 4주 이내의 사망을 {{TextTerm|조기 신생아 사망|4|410|EnglishEntry=early neo-natal mortality}}이라 부른다. {{TextTerm|신생아 후기 사망|5|410|IndexEntry=신생아 후기 사망|EnglishEntry=post-neonatal mortality}}이라는 용어는 신생아기 이후부터의 영아가 생후 1년 미만의 기간동안 사망한 것을 가리킨다.
{{Note|3| In certain statistics the neo-natal period is defined as the first month of life. The term {{NoteTerm|early infancy}} is occasionally used as an approximate equivalent to the neo-natal period, as, e.g., in "diseases of early infancy." }}
+
{{Note|3| 일부 통계에서는 신생아 기간은 생후 1개월로 정의되어있다. {{NoteTerm|신생아|EnglishEntry=early infancy|}}라는 용어는 "신생아의 질병(diseases of early infancy)"과 같이 신생아 기간과 거의 동일하게 사용된다.}}
  
 
=== 411 ===
 
=== 411 ===
  
The expression {{TextTerm|foetal mortality|1|411|OtherIndexEntry=mortality, foetal}} is used for deaths prior to the complete expulsion or extraction from its mother of a {{NonRefTerm|product of conception}} ({{RefNumber|60|2|6}}) irrespective of the {{NonRefTerm|duration of pregnancy}} ({{RefNumber|60|3|3}}). The terms {{TextTerm|intra-uterine mortality|1|411|2|OtherIndexEntry=mortality, intra-uterine}} or {{TextTerm|mortality in utero|1|411|3|OtherIndexEntry=utero, mortality in}} may also be used. The corresponding deaths are called {{TextTerm|foetal deaths|2|411|IndexEntry=infant deaths|OtherIndexEntry=death, infant}} or {{TextTerm|intra-uterine deaths|2|411|2|IndexEntry=intra-uterine death|OtherIndexEntry=death, intra-uterine}}. {{TextTerm|Early foetal mortality|3|411|OtherIndexEntry=foetal mortality, early}} occurs before the twentieth week of gestational life, while {{TextTerm|intermediate foetal mortality|4|411|IndexEntry=interediate foetal mortality|OtherIndexEntry=mortality, intermediate foetal}} occurs between the twentieth and the 28th week of gestation. After the twenty-eighth week, one refers to {{TextTerm|late foetal mortality|5|411|OtherIndexEntry=foetal mortality, late}} and the product is called a {{TextTerm|late foetal death|5|411|2|OtherIndexEntry=death, late foetal}} or, popularly, a {{TextTerm|stillbirth|5|411|3}}. {{TextTerm|Perinatal mortality|6|411|OtherIndexEntry=mortality, perinatal}} includes late foetal mortality and a portion of infant mortality that may include either early neo-natal deaths, or all neo-natal deaths.
+
{{TextTerm|태아 사망|1|411|EnglishEntry=foetal mortality}}이라는 표현은 {{NonRefTerm|임신 지속 기간}}({{RefNumber|60|3|3}})에 관계없이 {{NonRefTerm|태아}}({{RefNumber|60|2|6}})가 모친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이전에 사망했을 경우에 쓰인다. 태아 사망 외에 {{TextTerm|자궁 내 사망|1|411|2|EnglishOriginal=intra-uterine mortality}}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TextTerm|조기 태아 사망|3|411|EnglishOriginal=early foetal mortality}}은 임신 만 20주 미만에 일어난 사망이며, {{TextTerm|중기 태아 사망|4|411|EnglishOriginal=intermediate foetal mortality}}은 만 20~28주 사이의 사망을 뜻한다. 그 이후의 사망은 {{TextTerm|후기 태아 사망|5|411|EnglishOriginal=late foetal mortality}}이라고 하며, 개별 사망은 일반적으로 {{TextTerm|사산|5|411|2|EnglishOriginal=late foetal death}}이라고 부른다. {{TextTerm|주산기 사망|6|411|EnglishOriginal=perinatal mortality}}은 후기 태아 사망과 영아 사망의 일부(조기 신생아 사망 또는 신생아 사망)를 포함할 때 쓰인다.
{{Note|1| {{NoteTerm|Foetal}} - also spelled {{NoteTerm|fetal}}.}}
+
{{Note|2| {{NoteTerm|임신 소모}}라는 용어에는 {{NonRefTerm|인공임신중절}}({{RefNumber|60|3|5}}), {{NonRefTerm|유산}}({{RefNumber|60|4|1}})및 사산이 포함된다.}}
{{Note|2| Also designated as {{NoteTerm|pregnancy wastage}}. These terms include {{NonRefTerm|abortions}} ({{RefNumber|60|3|5}}), {{NonRefTerm|miscarriages}} ({{RefNumber|60|4|1}}) and stillbirths.}}
+
{{Note|3| 조기 태아 사망은 일반적으로 {{NoteTerm|유산}}으로 알려져 있다.}}
{{Note|3| Early foetal deaths are also popularly known as {{NoteTerm|miscarriages}}.}}
+
{{Note|5|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출생 등록 이전에 사망한 아이는 사산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어, 이것을 {{NoteTerm|거짓 사산|EnglishOriginal=false stillbirths}}이라고 부른다.}}
{{Note|5| {{NoteTerm|Stillbirth}}, n. - {{NoteTerm|stillborn}}, adj. In certain countries, including France, children born alive who died before registration may be legally included among the stillborn, and are called {{NoteTerm|false stillbirths}}.}}
 
{{Note|6| The corresponding deaths are called {{NoteTerm|perinatal deaths}}.}}
 
  
 
=== 412 ===
 
=== 412 ===
  
The ratios of {{TextTerm|deaths under one year of age|1|412|OtherIndexEntry=under one year of age, deaths}}, of deaths of less than 28 days, and of deaths of less than one week, occurring in a year, to the number of live births of the same year give respectively the {{TextTerm|infant mortality rate|2|412|OtherIndexEntry=mortality rate, infant}}, the {{TextTerm|neo-natal mortality rate|3|412|OtherIndexEntry=mortality rate, neo-natal}} and the {{TextTerm|early neo-natal mortality rate|4|412|OtherIndexEntry=mortality rate, early neo-natal}}. These rates are generally expressed per one thousand live births. When deaths are cross-classified by age and year of birth,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deaths under one year by the births in the two cohorts to which they belong. The resulting index is an {{TextTerm|adjusted infant mortality rate|5|412|OtherIndexEntry=infant mortality rate, adjusted}} equivalent to a {{TextTerm|probability of dying before age one|5|412|2|OtherIndexEntry=age one, probability of dying before}}. In the absence of such information {{TextTerm|separation factors|6|412|IndexEntry=separation factor|OtherIndexEntry=factor, separation}} may be estimated, which divide infant deaths into those occurring to infants born in the current calendar year and to infants born in the previous calendar year.
+
1년간 출생아 비율에 대해 그 해 발생하는 {{TextTerm|1세 미만의 사망|1|412|EnglishOriginal=deaths under one year of age}}, 28일 미만의 사망, 그리고 1주 미만의 사망률을 각각 {{TextTerm|영아 사망률|2|412|EnglishOriginal=infant mortality rate}}, {{TextTerm|신생아 사망률|3|412|EnglishOriginal=neo-natal mortality rate}}, {{TextTerm|조기 신생아 사망률|4|412|EnglishOriginal=early neo-natal mortality rate}}이라고 한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출생 1,000명당 비율로 계산된다. 만약 사망이 출생 나이와 년도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면, 1세 미만의 사망을 두 개의 코호트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지표는 {{TextTerm|조정 유아 사망률|5|412|EnglishOriginal=adjusted infant mortality rate}}이며, 이는 {{TextTerm|1세 미만 사망 확률|5|412|2|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dying before age one}}과 같다. 만약 그런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TextTerm|분리 계수|6|412|IndexEntry=분리 계수|EnglishEntry=separation factor}}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영아 사망을 당해 년에 태어난 영아의 사망과 그 전년에 태어난 영아의 사망으로 나눈다.
  
 
=== 413 ===
 
=== 413 ===
  
The proportion of {{NonRefTerm|late foetal deaths}} ({{RefNumber|41|1|5}}) among all births is called a {{TextTerm|late foetal mortality rate|1|413|OtherIndexEntry=foetal mortality rate, late}}. The ratio of late foetal deaths to {{NonRefTerm|live births}} ({{RefNumber|60|1|4}}) is called a {{TextTerm|late foetal mortality ratio|2|413|OtherIndexEntry=foetal mortality ratio, late}}. A {{TextTerm|foetal mortality rate|3|413|OtherIndexEntry=rate, foetal mortality}} represents the number of known intra-uterine deaths per one thousand births in the same year while the {{TextTerm|foetal mortality ratio|4|413|OtherIndexEntry=ratio, foetal mortality}} is the ratio of intra-uterine deaths to live births in a given year. These indices greatly understate intra-uterine mortality since early intra-uterine deaths frequently remain unobserved or unknown. A better measurement of intra-uterine mortality is provided by {{TextTerm|intra-uterine mortality tables|5|413|IndexEntry=intrauterine mortality table|OtherIndexEntry=table, intrauterine mortality}}, a specialized application of the {{NonRefTerm|life table}} (cf. {{NonRefTerm|432}})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duration of gestation. The {{TextTerm|perinatal mortality rate|6|413|OtherIndexEntry=rate, perinatal mortality}} relates {{NonRefTerm|perinatal deaths}} ({{RefNumber|41|1|6}}*) to the sum of late foetal deaths and live births.
+
모든 출생 수에 대한 {{NonRefTerm|후기 태아 사망}}({{RefNumber|41|1|5}})의 비율을 {{TextTerm|후기 태아 사망률|1|413|EnglishEntry=late foetal mortality rate}}이라 하고, {{NonRefTerm|출생 수}}({{RefNumber|60|1|4}})에 대한 후기 태아 사망의 비율은 {{TextTerm|후기 태아 사망 비|2|413|EnglishOriginal=late foetal mortality ratio}}라고 한다. {{TextTerm|태아 사망률|3|413|EnglishOriginal=foetal mortality rate}}은 동일 연도의 출생 1,000명당 자궁 내 사망자의 수를 나타내며, {{TextTerm|태아 사망비|4|413|EnglishOriginal=foetal mortality ratio}}는 출생아 1,000명에 대한 자궁 내 사망의 비율이다. 조기 자궁 내 사망은 잘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지표는 (실제) 자궁 사망률을 크게 축소하고 있다. 자궁 내 사망을 측정하는 더 좋은 방법은 {{TextTerm|자궁 내 사망표|5|413|EnglishOriginal=intrauterine mortality table}}에 의해 제시되는 것으로, 이것은 {{NonRefTerm|생명표}}({{NonRefTerm|432}})를 적용해서 임신 기간을 계산한 것이다. {{TextTerm|주산기 사망률|6|413|EnglishOriginal=perinatal mortality rate}}은 후기 태아 사망과 출생 수의 합에 대한 {{NonRefTerm|주산기 사망}}({{RefNumber|41|1|6}}*)의 비율이다. {{TextTerm|태아-신생아 사망률|6|413|EnglishOriginal=foeto-infant death rate}}은 동일한 기간의 인구 1,000명 당 출생과 사산 대비 출생 첫해의 알려진 사산과 사망의 수를 나타낸다.
{{Note|1| Also called {{NoteTerm|stillbirth rate}}. This usage is not recommended.}}
+
{{Note|1| {{NoteTerm|사산율|EnglishEntry=stillbirth rate}}이라고도 하지만, 요즘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Note|2| Also called {{NoteTerm|stillbirth ratio}}. This usage is not recommended.}}
+
{{Note|2| {{NoteTerm|사산비|EnglishEntry=stillbirth ratio}}라고도 하지만, 요즘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Note|6| The {{NoteTerm|perinatal mortality ratio}} relates perinatal deaths to live births only.}}
+
{{Note|6| {{NoteTerm|주산기 사망비|EnglishEntry=perinatal mortality ratio}}는 출생아에 대한 주산기 사망의 비율이다.}}
  
 
=== 414 ===
 
=== 414 ===
  
In the study of {{TextTerm|age-specific mortality|1|414|OtherIndexEntry=mortality, age-specific}}, the terms {{NonRefTerm|infant mortality}} ({{RefNumber|41|0|2}}) and {{NonRefTerm|neo-natal mortality}} ({{RefNumber|41|0|3}}) refer to generally accepted time periods. The usage of such terms as {{TextTerm|child mortality|2|414|OtherIndexEntry=mortality, child}}, {{TextTerm|adult mortality|4|414|OtherIndexEntry=mortality, adult}} or {{TextTerm|mortality of old age|5|414|OtherIndexEntry=age, mortality of old}} is not uniform. {{TextTerm|Post-infantile child death rate|6|414|OtherIndexEntry=child death rate, post-infantile}} sometimes refers to the death rate between one and 4 years of age.
+
{{TextTerm|연령별 사망|1|414|EnglishEntry=age-specific mortality}}의 연구에서 {{NonRefTerm|영아 사망}}({{RefNumber|41|0|2}}) {{NonRefTerm|신생아 사망}}({{RefNumber|41|0|3}})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용된 연령 구간을 의미한다. 연령별 사망에는 {{TextTerm|유아 사망|2|414|EnglishEntry=child mortality}}, {{TextTerm|성인 사망|4|414|EnglishOriginal=adult mortality}} 또는 {{TextTerm|노인 사망|5|414|EnglishOriginal=mortality of old age}}등의 용어가 있으나 나이의 폭은 모두 다르다. 1 세부터 4 세까지의 사망률을 {{TextTerm|유아 사망률|6|414|EnglishEntry=post-infantile child death rate}}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6일 (목) 07:53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410

생후 1년 미만 아이의 사망을 영아 사망(infant mortality)1이라 한다. 생후 4주(28일), 이른바 신생아기3에 사망한 것을 신생아 사망(neo-natal mortality)2, 생후 1주 미만부터 생후 4주 이내의 사망을 조기 신생아 사망(early neo-natal mortality)4이라 부른다. 신생아 후기 사망(post-neonatal mortality)5이라는 용어는 신생아기 이후부터의 영아가 생후 1년 미만의 기간동안 사망한 것을 가리킨다.

  • 3. 일부 통계에서는 신생아 기간은 생후 1개월로 정의되어있다. 신생아(early infancy)라는 용어는 "신생아의 질병(diseases of early infancy)"과 같이 신생아 기간과 거의 동일하게 사용된다.

411

태아 사망(foetal mortality)1이라는 표현은 임신 지속 기간(603-3)에 관계없이 태아(602-6)가 모친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이전에 사망했을 경우에 쓰인다. 태아 사망 외에 자궁 내 사망1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조기 태아 사망3은 임신 만 20주 미만에 일어난 사망이며, 중기 태아 사망4은 만 20~28주 사이의 사망을 뜻한다. 그 이후의 사망은 후기 태아 사망5이라고 하며, 개별 사망은 일반적으로 사산5이라고 부른다. 주산기 사망6은 후기 태아 사망과 영아 사망의 일부(조기 신생아 사망 또는 신생아 사망)를 포함할 때 쓰인다.

  • 2. 임신 소모라는 용어에는 인공임신중절(603-5), 유산(604-1)및 사산이 포함된다.
  • 3. 조기 태아 사망은 일반적으로 유산으로 알려져 있다.
  • 5.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출생 등록 이전에 사망한 아이는 사산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어, 이것을 거짓 사산이라고 부른다.

412

1년간 출생아 비율에 대해 그 해 발생하는 1세 미만의 사망1, 28일 미만의 사망, 그리고 1주 미만의 사망률을 각각 영아 사망률2, 신생아 사망률3, 조기 신생아 사망률4이라고 한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출생 1,000명당 비율로 계산된다. 만약 사망이 출생 나이와 년도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면, 1세 미만의 사망을 두 개의 코호트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지표는 조정 유아 사망률5이며, 이는 1세 미만 사망 확률5과 같다. 만약 그런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분리 계수(separation factor)6를 추정하고 이에 따라 영아 사망을 당해 년에 태어난 영아의 사망과 그 전년에 태어난 영아의 사망으로 나눈다.

413

모든 출생 수에 대한 후기 태아 사망(411-5)의 비율을 후기 태아 사망률(late foetal mortality rate)1이라 하고, 출생 수(601-4)에 대한 후기 태아 사망의 비율은 후기 태아 사망 비2라고 한다. 태아 사망률3은 동일 연도의 출생 1,000명당 자궁 내 사망자의 수를 나타내며, 태아 사망비4는 출생아 1,000명에 대한 자궁 내 사망의 비율이다. 조기 자궁 내 사망은 잘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지표는 (실제) 자궁 사망률을 크게 축소하고 있다. 자궁 내 사망을 측정하는 더 좋은 방법은 자궁 내 사망표5에 의해 제시되는 것으로, 이것은 생명표(432)를 적용해서 임신 기간을 계산한 것이다. 주산기 사망률6은 후기 태아 사망과 출생 수의 합에 대한 주산기 사망(411-6*)의 비율이다. 태아-신생아 사망률6은 동일한 기간의 인구 1,000명 당 출생과 사산 대비 출생 첫해의 알려진 사산과 사망의 수를 나타낸다.

  • 1. 사산율(stillbirth rate)이라고도 하지만, 요즘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2. 사산비(stillbirth ratio)라고도 하지만, 요즘은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6. 주산기 사망비(perinatal mortality ratio)는 출생아에 대한 주산기 사망의 비율이다.

414

연령별 사망(age-specific mortality)1의 연구에서 영아 사망(410-2) 및 신생아 사망(410-3)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통용된 연령 구간을 의미한다. 연령별 사망에는 유아 사망(child mortality)2, 성인 사망4 또는 노인 사망5등의 용어가 있으나 나이의 폭은 모두 다르다. 1 세부터 4 세까지의 사망률을 유아 사망률(post-infantile child death rate)6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