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4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43'''--> {{CurrentStatus}}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__NOTOC__ === 430 === Mortality statistics are generally compiled from death registration (cf. {{NonRefTerm|...)
 
(431)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43'''-->
 
<!--'''43'''-->
{{CurrentStatus}}
+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8번째 줄: 8번째 줄:
 
=== 430 ===
 
=== 430 ===
  
Mortality statistics are generally compiled from death registration (cf. {{NonRefTerm|211}}). When a death takes place a {{TextTerm|death certificate|1|430|OtherIndexEntry=certificate, death}} is generally issued; statistics are compiled from the information given on death certificates. In some countries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the {{TextTerm|medical certificate of death|2|430|OtherIndexEntry=certificate of death, medical}} issued by a medical practitioner who has attended the deceased person during his or her last illness, and an ordinary death certificate issued by the registrar of deaths for legal purposes.
+
사망통계는 일반적으로 사망신고 ({{NonRefTerm|21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TextTerm|사망진단서|1|430|EnglishEntry=death certificate}}가 발행되면 사망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를 통해 통계가 작성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사망한 사람의 담당 의사에 의해 발행된 {{TextTerm|의학적 사망진단서|2|430|EnglishOriginal=medical certificate of death}}와 법적 목적을 위해 발행된 일반 사망진단서를 구분하고 있다.
{{Note|1| The first death statistics in England and Wales were compiled from {{NoteTerm|bills of mortality}} which were generally drawn up on the basis of {{NoteTerm|burial registers}}. In countries where vital registration is deficient, statistics can be gathered by the survey technique; questions may be asked on deaths during a reference period, generally the previous year; the {{NoteTerm|indirect estimation of mortality}} relies on such question as the {{NoteTerm|number of children surviving}} among {{NonRefTerm|children ever born}} ({{RefNumber|63|7|2}}), {{NoteTerm|orphanhood status}} or {{NoteTerm|widowhood status}}.}}
+
{{Note|1| 영국 웨일즈의 첫 번째 사망 통계는 일반적으로 {{NoteTerm|장례식 전화번호부}}에 따라 작성되는 {{NoteTerm|사망 증서}}에서 만들어졌다. 인구 동태 등록에 문제가 있는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1 년간의 일정 기간 동안 사망에 대한 조사 기술을 바탕으로 사망 통계가 작성된다. {{NoteTerm|간접적 사망 추정}}{{NoteTerm|출생아}} {{NonRefTerm|생존 자녀 수}}({{RefNumber|63|7|2}}), {{NoteTerm|고아 상태}} 또는 {{NoteTerm|과부 상태}}등의 질문 항목이 이용된다.}}
  
 
=== 431 ===
 
=== 431 ===
  
{{TextTerm|Probabilities of dying|1|431|IndexEntry=probability of dying|OtherIndexEntry=dying, probability of}} or {{TextTerm|death probabilities|1|431|2|IndexEntry=probability of death}} are used to study in detail the mortality of a period or of a cohort. They are the probabilities that an individual of exact age {{NonRefTerm|x}} will die before exact age {{NonRefTerm|x + n}}, and are represented by the symbol <sub>n</sub>q<sub>x</sub>. If {{NonRefTerm|n}} = 1, we talk about {{TextTerm|annual death probabilities|2|431|IndexEntry=annual death probability|OtherIndexEntry=death probability, annual}}; if {{NonRefTerm|n}} = 5, about {{TextTerm|quinquennial death probabilities|3|431|IndexEntry=quinquennial death probability|OtherIndexEntry=death probability, quinquennial}}. The {{TextTerm|instantaneous death rate|4|431|OtherIndexEntry=death rate, instantaneous}}, or as it is occasionally called the {{TextTerm|force of mortality|4|431|2|OtherIndexEntry=mortality, force of}}, is the limit of the <sub>n</sub>q<sub>x</sub> value as {{NonRefTerm|n}} tends to zero. The complement to one of the probability of dying from exact age {{NonRefTerm|x}} to exact age {{NonRefTerm|x + n}} is the {{TextTerm|probability of survival|6|431|OtherIndexEntry=survival, probability of}} over this interval. In the preparation of population projections, we use {{TextTerm|survival ratios|7|431|IndexEntry=survival ratio|OtherIndexEntry=ratio, survival}}; they represent the probability that individuals of the same birth cohort or group of cohorts will still be alive n years later.
+
{{TextTerm|사망 확률|1|431|IndexEntry=사망 확률|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dying}}은 일정 시기나 코호트의 정확한 사망률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NonRefTerm|x}}세 개인이 {{NonRefTerm|x + n}}세에 도달하기 전에 사망 할 확률은 <sub>n</sub>q<sub>x</sub>로 표시된다. {{NonRefTerm|n}} = 1의 경우, {{TextTerm|연간 사망 확률|2|431|EnglishOriginal=annual death probability}}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NonRefTerm|n}} = 5의 경우는 {{TextTerm|5년간 사망 확률|3|431|EnglishOriginal=quinquennial death probability}}이라 한다.{{TextTerm|순간 사망률|4|431|EnglishOriginal=instantaneous death rate}}은 일반적으로 {{TextTerm|사망력|4|431|2|EnglishOriginal=force of mortality}}이라고 하며, <sub>n</sub>q<sub>x</sub>의 값이 {{NonRefTerm|n}} 에서 0으로 수렴하는 극한 값이다. {{NonRefTerm|x}}세에서 {{NonRefTerm|x + n}}세 사이에 사망할 확률에서 1을 뺀 값이 이전의 {{TextTerm|생존 확률|6|431|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survival}}이다. 인구 추계 과정에서는 {{TextTerm|생존율|7|431|EnglishOriginal=survival ratio}}이 사용된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코호트 집단의 개인이 n 년 후에도 생존 할 확률을 나타낸다.
{{Note|1| The probability of death between age {{NonRefTerm|x}} and {{NonRefTerm|x + n}} is defined as the ratio of deaths between ages {{NonRefTerm|x}} and {{NonRefTerm|x + n}} to the number of survivors at exact age {{NonRefTerm|x}}. It is not to be confused with the {{NoteTerm|central death rate}}, the ratio of deaths between ages {{NonRefTerm|x}} and {{NonRefTerm|x + n}} to the mean population alive at that age. The central death rate is written <sub>n</sub>m<sub>x</sub> .}}
+
{{Note|1| 나이 {{NonRefTerm|x}}세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 확률은 x세의 생존자 수에 대한 연령 {{NonRefTerm|x}}{{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 비율로 정의된다. 이것은 {{NoteTerm|중앙 사망률}}과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중앙사망률이란 평균 인구가 사는 연령에 대한 연령 {{NonRefTerm|x}}{{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률의 비율이며, <sub>n</sub>m<sub>x</sub>라고 쓰인다 .}}
{{Note|6| The probability of survival from age {{NonRefTerm|x}} to age {{NonRefTerm|x + n}} is written <sub>n</sub>p<sub>x</sub> .}}
+
{{Note|6| 나이 {{NonRefTerm|x}}세에서 {{NonRefTerm|x + n}}까지의 생존 확률은 <sub>n</sub>p<sub>x</sub>라고 쓰인다.}}
  
 
=== 432 ===
 
=== 432 ===
  
The course of mortality throughout the life cycle may be described by a {{TextTerm|life table|1|432|OtherIndexEntry=table, life}}. A life table consists of several {{TextTerm|life table functions|2|432|IndexEntry=life table function|OtherIndexEntry=function, life table}}, all of which are mathematically related and may be generally derived when the value of one of them is known. The {{TextTerm|survivorship function|3|432|OtherIndexEntry=function, survivorship}} shows the number of {{TextTerm|survivors|4|432|IndexEntry=survivor}} of a {{NonRefTerm|cohort}} ({{RefNumber|11|6|2}}) of births to various {{NonRefTerm|exact ages}} ({{RefNumber|32|2|7}})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hort is subjected to the rates of mortality shown. The number of births in the original cohort is known as the {{TextTerm|radix|5|432}} of the life table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original cohort is reduced is known as {{TextTerm|attrition|6|432}}.
+
생명 주기를 통한 사망 추세는 {{TextTerm|생명표|1|432|EnglishEntry=life table}}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생명표는 몇몇 {{TextTerm|생명표 함수|2|432|EnglishOriginal=life table function}}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학적으로 관계가 있는 모든 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이 주어지면 결과 값이 도출된다. {{TextTerm|생존 함수|3|432|EnglishOriginal=survivorship function}}는 코호트가 사망률을 보여준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NonRefTerm|만 나이}}({{RefNumber|32|2|7}}) 에 대한 출생{{NonRefTerm|코호트}}({{RefNumber|11|6|2}}){{TextTerm|생존 수|4|432}}를 보여준다. 처음  의 출생아 수는 생명표의 {{TextTerm|기수|5|432}}라 알려져 있으며, 처음 코호트가 감소해가는 과정은 {{TextTerm|마모|6|432|EnglishEntry=attrition}}라고 한다.
{{Note|4| The number of survivors to exact age x is denoted by l<sub>x</sub> .}}
+
{{Note|4| x세까지 생존자 수는 l<sub>x</sub>라고 나타낸다.}}
{{Note|5| The radix is usually a power of 10: 10,000 or 100,000 for example.}}
+
{{Note|5| 기수는 일반적으로 10,000과 100,000 등의 10의 제곱이다.}}
  
 
=== 433 ===
 
=== 433 ===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umber of {{NonRefTerm|survivors}} ({{RefNumber|43|2|4}}) at different ages gives the number of deaths within the given age interval of the {{TextTerm|death function|1|433|OtherIndexEntry=function, death}}. Life tables typically include the {{TextTerm|expectation of life|3|433|OtherIndexEntry=life, expectation of}} or {{TextTerm|life expectancy|3|433|2|OtherIndexEntry=expectancy, life}} at age x ; this is the mean number of years to be lived by those surviving to exact age x, given the mortality conditions of the table. The {{TextTerm|expectation of life at birth|4|433|OtherIndexEntry=birth, expectation of life at}} is a particular case of expectation of life, and represents the {{TextTerm|mean length of life|4|433|2|OtherIndexEntry=life, mean length}} of individuals who have been subjected since birth to the mortality of the table. The reciprocal of the expectation of life at birth is the {{TextTerm|life table death rate|5|433|OtherIndexEntry=death rate, life table}} or {{TextTerm|death rate of the stationary population|5|433|2|OtherIndexEntry=stationary population, death rate}}.
+
연령간 {{NonRefTerm|생존 수}}({{RefNumber|43|2|4}})의 차이는 {{TextTerm|사망 함수|1|433|EnglishOriginal=death function}}의 연령 간격 내 사망 수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x 세의 {{TextTerm|기대수명|3|433|EnglishEntry=expectation of life}}을 포함한다. 이것은 생명표의 사망 조건에 따라 x 세까지 생존한 사람들의 평균 생존 기간을 말한다. {{TextTerm|출생시 기대수명|4|433|EnglishOriginal=expectation of life at birth}}은 기대수명의 특별한 케이스이며, 생명표의 사망률에 따른 개인의 {{TextTerm|평균 생애 기간|4|433|2|EnglishOriginal=mean length life}}을 나타낸다. 평균 수명의 역수는 {{TextTerm|생명표 사망률|5|433|EnglishOriginal=life table death rate}} 또는 {{TextTerm|정태 인구 사망률|5|433|2|EnglishOriginal=death rate stationary population}}이라고 한다.
{{Note|3| By integrating the {{NonRefTerm|survivorship function}} ({{RefNumber|43|2|3}}) between two exact given ages we obtain the {{NoteTerm|total number of years lived}} by the cohort between these ages; the notation for the total number of years lived between age {{NonRefTerm|x}} and {{NonRefTerm|x + n}} is {{NonRefTerm|<sub>n</sub>L<sub>x</sub>}} . This function is often called the {{NoteTerm|stationary population}} in life table column headings. By summing it from a given age x to the end of life, we obtain the total number of years to be lived after attaining age x by those reaching that age; the conventional notation is T <sub>x</sub> .}}
+
{{Note|3| 두 개의 특정 연령 사이의 {{NonRefTerm|생존 함수}} ({{RefNumber|43|2|3}})를 통합함으로써 연령간 코호트의 {{NoteTerm|총 생존 기간}}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연령 {{NonRefTerm|x}}{{NonRefTerm|x + n}} 사이의 {{NonRefTerm|<sub>n</sub>L<sub>x</sub>}}로 나타낼 수 잇다. 이 함수는 생명표에서 {{NoteTerm|정태 인구}}라고 한다. 주어진 연령 x에서 생이 끝날 때까지의 연령을 합하면 x세에 도달 한 사람의 생존 총 연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T<sub>x</sub>로 나타낸다.}}
{{Note|4| The notation for the expectation of life at age x is e<sub>x</sub>}}
+
{{Note|4| 연령 x의 평균 수명은 e<sub>x</sub>라고 나타낸다.}}
  
 
=== 434 ===
 
=== 434 ===
  
The {{TextTerm|median length of life|1|434|OtherIndexEntry=length of life, median}} sometimes called the {{TextTerm|probable length of life|1|434|2|OtherIndexEntry=length of life, probable}} is the age at which half the original cohort of births have died. After infancy the distribution of deaths by age in the life table will usually have a mode and the corresponding age is called the {{TextTerm|modal age at death|2|434|OtherIndexEntry=age at death, modal}}, or sometimes the {{TextTerm|normal age at death|2|434|2|OtherIndexEntry=age at death, normal}}. It may be of interest as an indicator of {{TextTerm|human longevity|3|434|OtherIndexEntry=longevity, human}} or the {{TextTerm|length of life|3|434|2|OtherIndexEntry=life, length of}} corresponding more closely to the sense in which the term is used in everyday language than either the average ({{RefNumber|43|3|4}}) or the median length of life. The term {{TextTerm|life span|4|434|OtherIndexEntry=span, life}} is used to refer to the maximum possible length of human life.
+
{{TextTerm|생애 기간의 중앙값|1|434|EnglishEntry=median length of life}} 또는 {{TextTerm|생애기간 확률|1|434|2|EnglishEntry=probable length of life}}은 본래 출생 코호트의 절반이 사망하는 연령이다. 유아기 이후 생명표의 사망 연령 분포는 일반적으로 최빈값을 가지며 그와 같은 연령을 {{TextTerm|형식적 사망 연령|2|434|EnglishEntry=modal age at death}} 또는 종종 {{TextTerm|보통 사망 연령|2|434|2|EnglishOriginal=normal age at death}}이라 부른다. 이것은 {{TextTerm|인간 수명|3|434|EnglishOriginal=human longevity}} 또는 {{TextTerm|생애 기간|3|434|2|EnglishOriginal=length of life}}3 의 지표로서 생애 기간의 중앙값이나 생애기간의 평균({{RefNumber|43|3|4}})보다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와 더 가깝다. {{TextTerm|수명|4|434|EnglishOriginal=life span}}이라는 말은 인간이 생존 가능한 최대 기간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435 ===
 
=== 435 ===
  
A {{TextTerm|complete life table|1|435|OtherIndexEntry=life table, complete}} is usually one in which the values of the {{NonRefTerm|life table functions}} ({{RefNumber|43|2|2}}) are given in single years of age. An {{TextTerm|abridged life table|2|435|OtherIndexEntry=life table, abridged}} is one in which most functions are given only for certain pivotal ages, frequently spaced at five or ten year intervals after infancy; intermediate values for the functions are usually obtained by some form of interpolation ({{RefNumber|15|1|7}}). The term {{TextTerm|life table for selected heads|3|435|OtherIndexEntry=selected heads, life table for}} is used to refer to a life table relating to the experience of a number of specially selected individuals, such as the clients of a life insurance company, in opposition to {{TextTerm|general life tables|4|435|IndexEntry=general life table|OtherIndexEntry=life table, general}} which relate the experience of a whole {{NonRefTerm|population}} ({{RefNumber|10|1|4}}). Life tables are generally presented on a sex-specific basis although on occasion they are presented for both sexes. A life table which is based only upon the generalization of empirical relationships is called a {{TextTerm|model life table|5|435|OtherIndexEntry=life table, model}}.
+
{{TextTerm|완전 생명표|1|435|EnglishEntry=complete life table}}{{NonRefTerm|생명표 함수}}({{RefNumber|43|2|2}})의 값이 일반적으로 연령의 단일 연도에 부여된 것이다. {{TextTerm|간이 생명표|2|435|EnglishOriginal=abridged life table}}는 대부분의 함수의 값이 특히 유년기 이후 5 세 또는 10 세 간격의 중심 나이에만 부여된 것이다. 따라서 함수의 중간 값은 대개 내삽법({{RefNumber|15|1|7}})에 의해 얻어진다. {{TextTerm|일반 생명표|4|435|EnglishOriginal=general life table}}가 전체 {{NonRefTerm|인구}}({{RefNumber|10|1|4}})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TextTerm|특정 그룹의 생명표|3|435|EnglishOriginal=life table for selected heads}}는 생명 보험사의 가입자와 같이 특별히 선택된 사람들의 경험과 관련된 생명표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일반적으로 성별 특성을 기초로 제시되지만, 남녀 모두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생명표 함수 사이의 경험적인 관계의 일반화를 기초로 한 생명표를 {{TextTerm|모델 생명표|5|435|EnglishOriginal=model life table}}라 부른다.
  
 
=== 436 ===
 
=== 436 ===
  
A {{TextTerm|calendar year life table|1|436|IndexEntry=calendar-year life table|OtherIndexEntry=life table, calendar year}} or {{TextTerm|period life table|1|436|2}} (cf. {{RefNumber|15|3|2}}; {{RefNumber|43|2|1}}) is one in which the mortality rates used relate to a specified time interval and the {{NonRefTerm|cohort}} ({{RefNumber|11|6|2}}) is therefore hypothetical. A {{TextTerm|generation life table|2|436|OtherIndexEntry=life table, period}}, or {{TextTerm|cohort life table|2|436|2|OtherIndexEntry=table, life cohort}} on the other hand, traces the experience of an actual birth cohort and the mortality rates contained in the table are then spread over a prolonged period, usually about 100 years. A {{TextTerm|mortality surface|3|436|OtherIndexEntry=surface, mortality}} is drawn when {{NonRefTerm|probabilities of dying}} ({{RefNumber|43|1|1}}) are plotted against age and time period simultaneously in a three-dimensional diagram.
+
{{TextTerm|역년 생명표|1|436|EnglishOriginal=calendar year life table}} 또는 {{TextTerm|기간 생명표|1|436|2}}({{RefNumber|15|3|2}}; {{RefNumber|43|2|1}} 참조)는 일정 기간의 사망률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NonRefTerm|코호트}}({{RefNumber|11|6|2}})는 가설적인 것이다. 반면 {{TextTerm|세대 생명표|2|436|EnglishOriginal=period life table}} 또는 {{TextTerm|코호트 생명표|2|436|2|EnglishOriginal=life cohort table}}는 실제 출생 코호트와 사망률을 추적 한 것으로, 이것은 약 100 년에 걸친 장기간을 포함한다. {{TextTerm|사망 표면|3|436|EnglishEntry=mortality surface}}{{NonRefTerm|사망 확률}}({{RefNumber|43|1|1}})을 연령 및 기간과 함께 3차원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 437 ===
 
=== 437 ===
  
The {{TextTerm|Lexis diagram|1|437|OtherIndexEntry=diagram, Lexis}} is commonly used to illustrate the usual method for computing death probabilities and other demographic measures. In this diagram, every individual is represented by a {{TextTerm|life line|2|437|OtherIndexEntry=line, life}} which begins at birth and ends in the {{TextTerm|point of death|3|437|OtherIndexEntry=death, point of}}. A method for the study of mortality at very advanced ages has been called the {{TextTerm|method of extinct generations|4|437|OtherIndexEntry=extinct generations, method of}}, because it uses observed deaths for cohorts which have been completely eliminated by mortality.
+
{{TextTerm|렉시스 도식|1|437|EnglishEntry=Lexis diagram}}은 일반적으로 사망 확률이나 다른 인구학적 지표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그림에서 각 개인은 출생에서 시작하여 {{TextTerm|사망 점|3|437|EnglishOriginal=point of death}}으로 끝나는 하나의 {{TextTerm|생명선|2|437|EnglishOriginal=life line}} 에 의해 표현된다. 초고령자의 사망률 연구 방법에는 {{TextTerm|세대 소거법|4|437|EnglishEntry=method of extinct generations}}이 있다. 이 방법은 사망으로 인해 완전히 소거되는 코호트의 관측값(사망)을 이용한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0일 (금) 19:53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430

사망통계는 일반적으로 사망신고 (21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사망진단서(death certificate)1가 발행되면 사망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를 통해 통계가 작성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사망한 사람의 담당 의사에 의해 발행된 의학적 사망진단서2와 법적 목적을 위해 발행된 일반 사망진단서를 구분하고 있다.

  • 1. 영국 웨일즈의 첫 번째 사망 통계는 일반적으로 장례식 전화번호부에 따라 작성되는 사망 증서에서 만들어졌다. 인구 동태 등록에 문제가 있는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1 년간의 일정 기간 동안 사망에 대한 조사 기술을 바탕으로 사망 통계가 작성된다. 간접적 사망 추정출생아생존 자녀 수(637-2), 고아 상태 또는 과부 상태등의 질문 항목이 이용된다.

431

사망 확률1은 일정 시기나 코호트의 정확한 사망률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x세 개인이 x + n세에 도달하기 전에 사망 할 확률은 nqx로 표시된다. n = 1의 경우, 연간 사망 확률2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n = 5의 경우는 5년간 사망 확률3이라 한다.순간 사망률4은 일반적으로 사망력4이라고 하며, nqx의 값이 n 에서 0으로 수렴하는 극한 값이다. x세에서 x + n세 사이에 사망할 확률에서 1을 뺀 값이 이전의 생존 확률6이다. 인구 추계 과정에서는 생존율7이 사용된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코호트 집단의 개인이 n 년 후에도 생존 할 확률을 나타낸다.

  • 1. 나이 x세와 x + n사이의 사망 확률은 x세의 생존자 수에 대한 연령 xx + n사이의 사망 비율로 정의된다. 이것은 중앙 사망률과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중앙사망률이란 평균 인구가 사는 연령에 대한 연령 xx + n사이의 사망률의 비율이며, nmx라고 쓰인다 .
  • 6. 나이 x세에서 x + n까지의 생존 확률은 npx라고 쓰인다.

432

생명 주기를 통한 사망 추세는 생명표(life table)1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생명표는 몇몇 생명표 함수2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학적으로 관계가 있는 모든 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이 주어지면 결과 값이 도출된다. 생존 함수3는 코호트가 사망률을 보여준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만 나이(322-7) 에 대한 출생코호트(116-2)의 생존 수4를 보여준다. 처음 의 출생아 수는 생명표의 기수5라 알려져 있으며, 처음 코호트가 감소해가는 과정은 마모(attrition)6라고 한다.

  • 4. x세까지 생존자 수는 lx라고 나타낸다.
  • 5. 기수는 일반적으로 10,000과 100,000 등의 10의 제곱이다.

433

연령간 생존 수(432-4)의 차이는 사망 함수1의 연령 간격 내 사망 수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x 세의 기대수명(expectation of life)3을 포함한다. 이것은 생명표의 사망 조건에 따라 x 세까지 생존한 사람들의 평균 생존 기간을 말한다. 출생시 기대수명4은 기대수명의 특별한 케이스이며, 생명표의 사망률에 따른 개인의 평균 생애 기간4을 나타낸다. 평균 수명의 역수는 생명표 사망률5 또는 정태 인구 사망률5이라고 한다.

  • 3. 두 개의 특정 연령 사이의 생존 함수 (432-3)를 통합함으로써 연령간 코호트의 총 생존 기간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연령 xx + n 사이의 nLx로 나타낼 수 잇다. 이 함수는 생명표에서 정태 인구라고 한다. 주어진 연령 x에서 생이 끝날 때까지의 연령을 합하면 x세에 도달 한 사람의 생존 총 연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Tx로 나타낸다.
  • 4. 연령 x의 평균 수명은 ex라고 나타낸다.

434

생애 기간의 중앙값(median length of life)1 또는 생애기간 확률(probable length of life)1은 본래 출생 코호트의 절반이 사망하는 연령이다. 유아기 이후 생명표의 사망 연령 분포는 일반적으로 최빈값을 가지며 그와 같은 연령을 형식적 사망 연령(modal age at death)2 또는 종종 보통 사망 연령2이라 부른다. 이것은 인간 수명3 또는 생애 기간33 의 지표로서 생애 기간의 중앙값이나 생애기간의 평균(433-4)보다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와 더 가깝다. 수명4이라는 말은 인간이 생존 가능한 최대 기간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435

완전 생명표(complete life table)1생명표 함수(432-2)의 값이 일반적으로 연령의 단일 연도에 부여된 것이다. 간이 생명표2는 대부분의 함수의 값이 특히 유년기 이후 5 세 또는 10 세 간격의 중심 나이에만 부여된 것이다. 따라서 함수의 중간 값은 대개 내삽법(151-7)에 의해 얻어진다. 일반 생명표4가 전체 인구(101-4)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특정 그룹의 생명표3는 생명 보험사의 가입자와 같이 특별히 선택된 사람들의 경험과 관련된 생명표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일반적으로 성별 특성을 기초로 제시되지만, 남녀 모두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생명표 함수 사이의 경험적인 관계의 일반화를 기초로 한 생명표를 모델 생명표5라 부른다.

436

역년 생명표1 또는 기간 생명표1(153-2; 432-1 참조)는 일정 기간의 사망률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코호트(116-2)는 가설적인 것이다. 반면 세대 생명표2 또는 코호트 생명표2는 실제 출생 코호트와 사망률을 추적 한 것으로, 이것은 약 100 년에 걸친 장기간을 포함한다. 사망 표면(mortality surface)3사망 확률(431-1)을 연령 및 기간과 함께 3차원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437

렉시스 도식(Lexis diagram)1은 일반적으로 사망 확률이나 다른 인구학적 지표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그림에서 각 개인은 출생에서 시작하여 사망 점3으로 끝나는 하나의 생명선2 에 의해 표현된다. 초고령자의 사망률 연구 방법에는 세대 소거법(method of extinct generations)4이 있다. 이 방법은 사망으로 인해 완전히 소거되는 코호트의 관측값(사망)을 이용한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