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4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Automated import of articles *** existing text overwritten ***)
(Automated import of articles *** existing text overwritten ***)
1번째 줄: 1번째 줄:
<!--'''43'''-->!--'''43'''--
+
<!--'''43'''-->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13번째 줄: 13번째 줄:
 
=== 431 ===
 
=== 431 ===
  
{{TextTerm|사망 확률|1|431|IndexEntry=사망 확률(probability of dying)|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dying}}은 일정 시기나 코호트의 정확한 사망률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NonRefTerm|x}}세 개인이 {{NonRefTerm|x + n}}세에 도달하기 전에 사망 할 확률은 subn/subqsubx/sub로 표시된다. {{NonRefTerm|n}} = 1의 경우, {{TextTerm|연간 사망 확률|2|431|EnglishOriginal=annual death probability}}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NonRefTerm|n}} = 5의 경우는 {{TextTerm|5년간 사망 확률|3|431|EnglishOriginal=quinquennial death probability}}이라 한다.{{TextTerm|순간 사망률|4|431|EnglishOriginal=instantaneous death rate}}은 일반적으로 {{TextTerm|사망력|4|431|2|EnglishOriginal=force of mortality}}이라고 하며, subn/subqsubx/sub의 값이 {{NonRefTerm|n}} 에서 0으로 수렴하는 극한 값이다. {{NonRefTerm|x}}세에서 {{NonRefTerm|x + n}}세 사이에 사망할 확률에서 1을 뺀 값이 이전의 {{TextTerm|생존 확률|6|431|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survival}}이다. 인구 추계 과정에서는 {{TextTerm|생존율|7|431|EnglishOriginal=survival ratio}}이 사용된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코호트 집단의 개인이 n 년 후에도 생존 할 확률을 나타낸다.
+
{{TextTerm|사망 확률|1|431|IndexEntry=사망 확률(probability of dying)|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dying}}은 일정 시기나 코호트의 정확한 사망률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NonRefTerm|x}}세 개인이 {{NonRefTerm|x + n}}세에 도달하기 전에 사망 할 확률은 <sub>n</sub>q<sub>x</sub>로 표시된다. {{NonRefTerm|n}} = 1의 경우, {{TextTerm|연간 사망 확률|2|431|EnglishOriginal=annual death probability}}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NonRefTerm|n}} = 5의 경우는 {{TextTerm|5년간 사망 확률|3|431|EnglishOriginal=quinquennial death probability}}이라 한다.{{TextTerm|순간 사망률|4|431|EnglishOriginal=instantaneous death rate}}은 일반적으로 {{TextTerm|사망력|4|431|2|EnglishOriginal=force of mortality}}이라고 하며, <sub>n</sub>q<sub>x</sub>의 값이 {{NonRefTerm|n}} 에서 0으로 수렴하는 극한 값이다. {{NonRefTerm|x}}세에서 {{NonRefTerm|x + n}}세 사이에 사망할 확률에서 1을 뺀 값이 이전의 {{TextTerm|생존 확률|6|431|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survival}}이다. 인구 추계 과정에서는 {{TextTerm|생존율|7|431|EnglishOriginal=survival ratio}}이 사용된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코호트 집단의 개인이 n 년 후에도 생존 할 확률을 나타낸다.
{{Note|1| 나이 {{NonRefTerm|x}}세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 확률은 x세의 생존자 수에 대한 연령 {{NonRefTerm|x}}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 비율로 정의된다. 이것은 {{NoteTerm|중앙 사망률}}과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중앙사망률이란 평균 인구가 사는 연령에 대한 연령 {{NonRefTerm|x}}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률의 비율이며, subn/submsubx/sub라고 쓰인다 .}}
+
{{Note|1| 나이 {{NonRefTerm|x}}세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 확률은 x세의 생존자 수에 대한 연령 {{NonRefTerm|x}}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 비율로 정의된다. 이것은 {{NoteTerm|중앙 사망률}}과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중앙사망률이란 평균 인구가 사는 연령에 대한 연령 {{NonRefTerm|x}}와 {{NonRefTerm|x + n}}사이의 사망률의 비율이며, <sub>n</sub>m<sub>x</sub>라고 쓰인다 .}}
{{Note|6| 나이 {{NonRefTerm|x}}세에서 {{NonRefTerm|x + n}}까지의 생존 확률은 subn/subpsubx/sub라고 쓰인다.}}
+
{{Note|6| 나이 {{NonRefTerm|x}}세에서 {{NonRefTerm|x + n}}까지의 생존 확률은 <sub>n</sub>p<sub>x</sub>라고 쓰인다.}}
  
 
=== 432 ===
 
=== 432 ===
  
 
생명 주기를 통한 사망 추세는 {{TextTerm|생명표|1|432|EnglishEntry=life table}}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생명표는 몇몇 {{TextTerm|생명표 함수|2|432|EnglishOriginal=life table function}}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학적으로 관계가 있는 모든 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이 주어지면 결과 값이 도출된다. {{TextTerm|생존 함수|3|432|EnglishOriginal=survivorship function}}는 코호트가 사망률을 보여준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NonRefTerm|만 나이}}({{RefNumber|32|2|7}}) 에 대한 출생{{NonRefTerm|코호트}}({{RefNumber|11|6|2}})의 {{TextTerm|생존 수|4|432}}를 보여준다. 처음  의 출생아 수는 생명표의 {{TextTerm|기수|5|432}}라 알려져 있으며, 처음 코호트가 감소해가는 과정은 {{TextTerm|마모|6|432|EnglishEntry=attrition}}라고 한다.
 
생명 주기를 통한 사망 추세는 {{TextTerm|생명표|1|432|EnglishEntry=life table}}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생명표는 몇몇 {{TextTerm|생명표 함수|2|432|EnglishOriginal=life table function}}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학적으로 관계가 있는 모든 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이 주어지면 결과 값이 도출된다. {{TextTerm|생존 함수|3|432|EnglishOriginal=survivorship function}}는 코호트가 사망률을 보여준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NonRefTerm|만 나이}}({{RefNumber|32|2|7}}) 에 대한 출생{{NonRefTerm|코호트}}({{RefNumber|11|6|2}})의 {{TextTerm|생존 수|4|432}}를 보여준다. 처음  의 출생아 수는 생명표의 {{TextTerm|기수|5|432}}라 알려져 있으며, 처음 코호트가 감소해가는 과정은 {{TextTerm|마모|6|432|EnglishEntry=attrition}}라고 한다.
{{Note|4| x세까지 생존자 수는 lsubx/sub라고 나타낸다.}}
+
{{Note|4| x세까지 생존자 수는 l<sub>x</sub>라고 나타낸다.}}
 
{{Note|5| 기수는 일반적으로 10,000과 100,000 등의 10의 제곱이다.}}
 
{{Note|5| 기수는 일반적으로 10,000과 100,000 등의 10의 제곱이다.}}
  
26번째 줄: 26번째 줄:
  
 
연령간 {{NonRefTerm|생존 수}}({{RefNumber|43|2|4}})의 차이는 {{TextTerm|사망 함수|1|433|EnglishOriginal=death function}}의 연령 간격 내 사망 수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x 세의 {{TextTerm|기대수명|3|433|EnglishEntry=expectation of life}}을 포함한다. 이것은 생명표의 사망 조건에 따라 x 세까지 생존한 사람들의 평균 생존 기간을 말한다. {{TextTerm|출생시 기대수명|4|433|EnglishOriginal=expectation of life at birth}}은 기대수명의 특별한 케이스이며, 생명표의 사망률에 따른 개인의 {{TextTerm|평균 생애 기간|4|433|2|EnglishOriginal=mean length life}}을 나타낸다. 평균 수명의 역수는 {{TextTerm|생명표 사망률|5|433|EnglishOriginal=life table death rate}} 또는 {{TextTerm|정태 인구 사망률|5|433|2|EnglishOriginal=death rate stationary population}}이라고 한다.
 
연령간 {{NonRefTerm|생존 수}}({{RefNumber|43|2|4}})의 차이는 {{TextTerm|사망 함수|1|433|EnglishOriginal=death function}}의 연령 간격 내 사망 수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x 세의 {{TextTerm|기대수명|3|433|EnglishEntry=expectation of life}}을 포함한다. 이것은 생명표의 사망 조건에 따라 x 세까지 생존한 사람들의 평균 생존 기간을 말한다. {{TextTerm|출생시 기대수명|4|433|EnglishOriginal=expectation of life at birth}}은 기대수명의 특별한 케이스이며, 생명표의 사망률에 따른 개인의 {{TextTerm|평균 생애 기간|4|433|2|EnglishOriginal=mean length life}}을 나타낸다. 평균 수명의 역수는 {{TextTerm|생명표 사망률|5|433|EnglishOriginal=life table death rate}} 또는 {{TextTerm|정태 인구 사망률|5|433|2|EnglishOriginal=death rate stationary population}}이라고 한다.
{{Note|3| 두 개의 특정 연령 사이의 {{NonRefTerm|생존 함수}} ({{RefNumber|43|2|3}})를 통합함으로써 연령간 코호트의 {{NoteTerm|총 생존 기간}}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연령 {{NonRefTerm|x}}와 {{NonRefTerm|x + n}} 사이의 {{NonRefTerm|subn/subLsubx/sub}}로 나타낼 수 잇다. 이 함수는 생명표에서 {{NoteTerm|정태 인구}}라고 한다. 주어진 연령 x에서 생이 끝날 때까지의 연령을 합하면 x세에 도달 한 사람의 생존 총 연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Tsubx/sub로 나타낸다.}}
+
{{Note|3| 두 개의 특정 연령 사이의 {{NonRefTerm|생존 함수}} ({{RefNumber|43|2|3}})를 통합함으로써 연령간 코호트의 {{NoteTerm|총 생존 기간}}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연령 {{NonRefTerm|x}}와 {{NonRefTerm|x + n}} 사이의 {{NonRefTerm|<sub>n</sub>L<sub>x</sub>}}로 나타낼 수 잇다. 이 함수는 생명표에서 {{NoteTerm|정태 인구}}라고 한다. 주어진 연령 x에서 생이 끝날 때까지의 연령을 합하면 x세에 도달 한 사람의 생존 총 연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T<sub>x</sub>로 나타낸다.}}
{{Note|4| 연령 x의 평균 수명은 esubx/sub라고 나타낸다.}}
+
{{Note|4| 연령 x의 평균 수명은 e<sub>x</sub>라고 나타낸다.}}
  
 
=== 434 ===
 
=== 434 ===
45번째 줄: 45번째 줄:
 
{{TextTerm|렉시스 도식|1|437|EnglishEntry=Lexis diagram}}은 일반적으로 사망 확률이나 다른 인구학적 지표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그림에서 각 개인은 출생에서 시작하여 {{TextTerm|사망 점|3|437|EnglishOriginal=point of death}}으로 끝나는 하나의 {{TextTerm|생명선|2|437|EnglishOriginal=life line}} 에 의해 표현된다. 초고령자의 사망률 연구 방법에는 {{TextTerm|세대 소거법|4|437|EnglishEntry=method of extinct generations}}이 있다. 이 방법은 사망으로 인해 완전히 소거되는 코호트의 관측값(사망)을 이용한다.
 
{{TextTerm|렉시스 도식|1|437|EnglishEntry=Lexis diagram}}은 일반적으로 사망 확률이나 다른 인구학적 지표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그림에서 각 개인은 출생에서 시작하여 {{TextTerm|사망 점|3|437|EnglishOriginal=point of death}}으로 끝나는 하나의 {{TextTerm|생명선|2|437|EnglishOriginal=life line}} 에 의해 표현된다. 초고령자의 사망률 연구 방법에는 {{TextTerm|세대 소거법|4|437|EnglishEntry=method of extinct generations}}이 있다. 이 방법은 사망으로 인해 완전히 소거되는 코호트의 관측값(사망)을 이용한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SummaryShort}}
 
{{SummaryShort}}
  
 
{{OtherLanguages|43}}
 
{{OtherLanguages|43}}

2013년 9월 10일 (화) 18:53 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430

사망통계는 일반적으로 사망신고 (211 참조)로부터 이루어진다. 사망진단서(death certificate)1가 발행되면 사망 증명서에 기재된 정보를 통해 통계가 작성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사망한 사람의 담당 의사에 의해 발행된 의학적 사망진단서2와 법적 목적을 위해 발행된 일반 사망진단서를 구분하고 있다.

  • 1. 영국 웨일즈의 첫 번째 사망 통계는 일반적으로 장례식 전화번호부에 따라 작성되는 사망 증서에서 만들어졌다. 인구 동태 등록에 문제가 있는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1 년간의 일정 기간 동안 사망에 대한 조사 기술을 바탕으로 사망 통계가 작성된다. 간접적 사망 추정출생아생존 자녀 수(637-2), 고아 상태 또는 과부 상태등의 질문 항목이 이용된다.

431

사망 확률1은 일정 시기나 코호트의 정확한 사망률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x세 개인이 x + n세에 도달하기 전에 사망 할 확률은 nqx로 표시된다. n = 1의 경우, 연간 사망 확률2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n = 5의 경우는 5년간 사망 확률3이라 한다.순간 사망률4은 일반적으로 사망력4이라고 하며, nqx의 값이 n 에서 0으로 수렴하는 극한 값이다. x세에서 x + n세 사이에 사망할 확률에서 1을 뺀 값이 이전의 생존 확률6이다. 인구 추계 과정에서는 생존율7이 사용된다.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코호트 집단의 개인이 n 년 후에도 생존 할 확률을 나타낸다.

  • 1. 나이 x세와 x + n사이의 사망 확률은 x세의 생존자 수에 대한 연령 xx + n사이의 사망 비율로 정의된다. 이것은 중앙 사망률과 혼동해서는 안 되는데, 중앙사망률이란 평균 인구가 사는 연령에 대한 연령 xx + n사이의 사망률의 비율이며, nmx라고 쓰인다 .
  • 6. 나이 x세에서 x + n까지의 생존 확률은 npx라고 쓰인다.

432

생명 주기를 통한 사망 추세는 생명표(life table)1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생명표는 몇몇 생명표 함수2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학적으로 관계가 있는 모든 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값이 주어지면 결과 값이 도출된다. 생존 함수3는 코호트가 사망률을 보여준다는 가정 하에 다양한 만 나이(322-7) 에 대한 출생코호트(116-2)의 생존 수4를 보여준다. 처음 의 출생아 수는 생명표의 기수5라 알려져 있으며, 처음 코호트가 감소해가는 과정은 마모(attrition)6라고 한다.

  • 4. x세까지 생존자 수는 lx라고 나타낸다.
  • 5. 기수는 일반적으로 10,000과 100,000 등의 10의 제곱이다.

433

연령간 생존 수(432-4)의 차이는 사망 함수1의 연령 간격 내 사망 수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x 세의 기대수명(expectation of life)3을 포함한다. 이것은 생명표의 사망 조건에 따라 x 세까지 생존한 사람들의 평균 생존 기간을 말한다. 출생시 기대수명4은 기대수명의 특별한 케이스이며, 생명표의 사망률에 따른 개인의 평균 생애 기간4을 나타낸다. 평균 수명의 역수는 생명표 사망률5 또는 정태 인구 사망률5이라고 한다.

  • 3. 두 개의 특정 연령 사이의 생존 함수 (432-3)를 통합함으로써 연령간 코호트의 총 생존 기간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연령 xx + n 사이의 nLx로 나타낼 수 잇다. 이 함수는 생명표에서 정태 인구라고 한다. 주어진 연령 x에서 생이 끝날 때까지의 연령을 합하면 x세에 도달 한 사람의 생존 총 연수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을 Tx로 나타낸다.
  • 4. 연령 x의 평균 수명은 ex라고 나타낸다.

434

생애 기간의 중앙값(median length of life)1 또는 생애기간 확률(probable length of life)1은 본래 출생 코호트의 절반이 사망하는 연령이다. 유아기 이후 생명표의 사망 연령 분포는 일반적으로 최빈값을 가지며 그와 같은 연령을 형식적 사망 연령(modal age at death)2 또는 종종 보통 사망 연령2이라 부른다. 이것은 인간 수명3 또는 생애 기간33 의 지표로서 생애 기간의 중앙값이나 생애기간의 평균(433-4)보다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와 더 가깝다. 수명4이라는 말은 인간이 생존 가능한 최대 기간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435

완전 생명표(complete life table)1생명표 함수(432-2)의 값이 일반적으로 연령의 단일 연도에 부여된 것이다. 간이 생명표2는 대부분의 함수의 값이 특히 유년기 이후 5 세 또는 10 세 간격의 중심 나이에만 부여된 것이다. 따라서 함수의 중간 값은 대개 내삽법(151-7)에 의해 얻어진다. 일반 생명표4가 전체 인구(101-4)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특정 그룹의 생명표3는 생명 보험사의 가입자와 같이 특별히 선택된 사람들의 경험과 관련된 생명표를 나타낸다. 생명표는 일반적으로 성별 특성을 기초로 제시되지만, 남녀 모두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생명표 함수 사이의 경험적인 관계의 일반화를 기초로 한 생명표를 모델 생명표5라 부른다.

436

역년 생명표1 또는 기간 생명표1(153-2; 432-1 참조)는 일정 기간의 사망률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코호트(116-2)는 가설적인 것이다. 반면 세대 생명표2 또는 코호트 생명표2는 실제 출생 코호트와 사망률을 추적 한 것으로, 이것은 약 100 년에 걸친 장기간을 포함한다. 사망 표면(mortality surface)3사망 확률(431-1)을 연령 및 기간과 함께 3차원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437

렉시스 도식(Lexis diagram)1은 일반적으로 사망 확률이나 다른 인구학적 지표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그림에서 각 개인은 출생에서 시작하여 사망 점3으로 끝나는 하나의 생명선2 에 의해 표현된다. 초고령자의 사망률 연구 방법에는 세대 소거법(method of extinct generations)4이 있다. 이 방법은 사망으로 인해 완전히 소거되는 코호트의 관측값(사망)을 이용한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