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5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520)
(520)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52'''-->
 
<!--'''52'''-->
{{CurrentStatus}}
+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8번째 줄: 8번째 줄:
 
=== 520 ===
 
=== 520 ===
  
상대적인 혼인빈도는 {{TextTerm|혼인율|1|520|IndexEntry=marriage rate|OtherIndexEntry=rate, marriage}}로 측정된다. 이 중{{TextTerm|조혼인율|2|520|OtherIndexEntry=marriage, crude rate}}은 주어진 기간동안 전체 혼인 수의 총 인구의 비율로 표시된다.{{TextTerm|남자혼인율|3|520|OtherIndexEntry=nuptiality, male}} {{TextTerm|여자혼인율|4|520|OtherIndexEntry=nuptiality, female}}은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연구된다. {{TextTerm|남자혼인율|3|520|2}} and {{TextTerm|female nuptiality|4|520|2}} are used for the marriage frequency of the different sexes. A {{TextTerm|sex-specific marriage rate|5|520|OtherIndexEntry=marriage, rate sex-specific}} can be computed with the appropriate population of each sex as a base. It is usual to distinguish between a {{TextTerm|first marriage rate|6|520|OtherIndexEntry=marriage rate}}, which relates the number of {{NonRefTerm|bachelors}} or {{NonRefTerm|spinsters}} ({{RefNumber|51|5|3}} and 4) marrying to the total number of bachelors and spinsters respectively and a {{TextTerm|remarriage rate|7|520|OtherIndexEntry=rate, remarriage}} which relates the number of remarriages to the total number qf widowed and divorced persons. Similar rates can be computed by age or age-group of husband and wife whenever marriages are classified by {{TextTerm|age at marriage|8|520|OtherIndexEntry=marriage, age at}} of each spouse; such rates are called {{TextTerm|age-specific marriage rates|9|520|IndexEntry=age-specific marriage rate|OtherIndexEntry=marriage, rate age-specific}}. The tabulation of spouses by age at marriage permits the computation of the {{TextTerm|mean age at marriage|10|520|OtherIndexEntry=age at marriage, mean}} or {{TextTerm|average age at marriage|10|520|2|OtherIndexEntry=age at marriage, average}} for the given year or period. {{TextTerm|Age differences between spouses|11|520|IndexEntry=age difference between spouses|OtherIndexEntry=spouses, age difference between}} can be analyzed from a classification of the {{TextTerm|combined ages|12|520|OtherIndexEntry=ages, combined}} of the spouses.
+
상대적인 혼인빈도는 {{TextTerm|혼인율|1|520|EnglishEntry=marriage rates/nuptiality rates}}로 측정된다. 이 중 {{TextTerm|조혼인율|2|520|EnglishOriginal=crude rate marriage}}은 주어진 기간동안 전체 혼인 수의 총 인구의 비율로 표시된다.{{TextTerm|남자혼인율|3|520|EnglishOriginal=male nuptiality}} {{TextTerm|여자혼인율|4|520|EnglishOriginal=female nuptiality}}은 다른 성별간의 결혼 빈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분되어 연구된다. {{TextTerm|성별혼인비율|5|520|EnglishOriginal=rate sex-specific marriage}}은 적합한 인구의 각 성별을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TextTerm|초혼 비율|6|520|EnglishOriginal=marriage rate}}은 결혼하고자 하는 {{NonRefTerm|미혼 남자}} {{NonRefTerm|미혼 여자}} ({{RefNumber|51|5|3}} 및 {{RefNumber|51|5|4}}) 의 비율로 표시되지만, 이는 이혼 및 사별자 전체 수에 대한 {{TextTerm|재혼율|7|520|EnglishOriginal=remarriage rate}}과는 구별된다. 혼인이 {{TextTerm|혼인 연령|8|520|EnglishOriginal=age at marriage}}으로 분류된 경우, {{TextTerm|연령별 혼인율|9|520}}과 같이 남편과 아내의 연령별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우자(부부)를 결혼 연령에 따라 분류하여 그 기간 동안의 {{TextTerm|평균 혼인 연령|10|520|EnglishOriginal=mean, average age at marriage}}을 산출 할 수 있다. {{TextTerm|배우자 사이의 나이 차|11|520}}{{TextTerm|연령 조합|12|520|EnglishOriginal=combined ages}}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다.
{{Note|2| Sometimes the crude marriage rate is obtained by relating the number of newly married persons to the total population.}}
+
{{Note|2| 조 혼인율은 총인구 대비 새로운 결혼인구 수의 비율로 산출 할 수 있다.}}
{{Note|9| The terms {{NoteTerm|marriage frequencies}} and {{NoteTerm|first marriage frequencies}} have sometimes been used to refer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marriages or first marriages at a certain age, to the total number of persons of that age, irrespective of their marital status. {{NoteTerm|Cumulated marriage frequencies}} and {{NoteTerm|cumulated first marriage frequencies}} are used in cohort studies.}}
+
{{Note|9| {{NoteTerm|혼인 빈도}} {{NoteTerm|초혼 빈도}} 는 때로 정확한 연령에서의 첫 결혼의 비율, 혼인자의 수, (그들의 결혼 상태와 관계없는) 총 인구 수의 비율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NoteTerm|누적 혼인 빈도}} {{NoteTerm|누적 초혼 빈도}} 역시 코호트 분석에 사용된다.}}
  
 
=== 521 ===
 
=== 521 ===
  
The prevalence of marriage in a generation of men or women is measured by the {{TextTerm|proportion never married|1|521|OtherIndexEntry=never married, proportion}}. This is usually equivalent to the {{TextTerm|proportion remaining single|2|521|OtherIndexEntry=remaining single, proportion}} at an age such as 50 after which first marriages are rare. The proportion remaining single at each age in a cohort can be computed from {{TextTerm|first marriage probabilities|3|521|IndexEntry=first marriage probability|OtherIndexEntry=probability, first marriage}}, i.e. the proportion of single persons at exact age x who will marry before exact age x + 1, assuming that there is no mortality. F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the proportion remaining single is usually obtained from census data as the {{TextTerm|proportion single|4|521|OtherIndexEntry=single, proportion}} at that age in the corresponding cohort. When a classification of first marriages by age of the spouses is available the {{TextTerm|mean age at first marriage|5|521|OtherIndexEntry=age at first marriage, mean}}, the {{TextTerm|median age at first marriage|6|521|OtherIndexEntry=age at first marriage, median}} and the {{TextTerm|modal age at first marriage|7|521|OtherIndexEntry=age at first marriage, modal}} can all be computed. In the absence of data on the timing of marriages, it is often possible to compute a {{TextTerm|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8|521|OtherIndexEntry=age at marriage, singulate mean}} from census data on the proportions single by age.
+
세대 내에서 남자 및 여자의 혼인비율은 {{TextTerm|생애미혼율|1|521|EnglishEntry=proportion never married}}로 측정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50세 정도에 초혼이 거의 없는 경우, {{TextTerm|미혼 잔존 비율|2|521}}에 해당한다. 코호트에서 각 연령마다의 미혼 잔존 비율은 {{TextTerm|초혼 확률|3|52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즉 사망률을 0으로 가정할 경우, x세의 미혼자 중 x+1세가 되기 이전에 결혼하는 사람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미혼 잔존 비율은 센서스 데이터의 각 코호트 연령별 {{TextTerm|미혼자 비율|4|521|EnglishOriginal=proportion single}}을 많이 사용한다. 배우자들의 연령으로 초혼이 분류되어 있는 경우, {{TextTerm|초혼 연령의 평균|5|521|EnglishOriginal=mean age at first marriage}}, {{TextTerm|초혼 연령의 중간값|6|521|EnglishOriginal=median age at first marriage}}, {{TextTerm|초혼 연령의 최빈값|7|521|EnglishOriginal=modal age at first marriage}} 도 계산할 수 있다. 결혼시기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센서스의 연령별 미혼자 비율에서 {{TextTerm|정체평균결혼연령|8|521|EnglishOriginal=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을 산출 할 수 있다.
  
 
=== 522 ===
 
=== 522 ===
  
{{TextTerm|Nuptiality tables|1|522|IndexEntry=nuptiality table|OtherIndexEntry=table, nuptiality}} resemble life tables, and combine various nuptiality functions. The {{TextTerm|gross nuptiality table|1|522|2}} includes, by age, the {{NonRefTerm|first marriage probabilities}} ({{RefNumber|52|1|3}}) and {{NonRefTerm|proportions remaining single}} ({{RefNumber|52|1|2}}), as well as the {{TextTerm|number of first marriages|2|522|OtherIndexEntry=first marriages, number of}} in a cohort of given size subjected to the prevailing nuptiality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mortality; it also gives the {{TextTerm|numbers remaining single|3|522|IndexEntry=number remaining single|OtherIndexEntry=remaining single, number}} at various ages. The {{TextTerm|net nuptiality table|4|522|OtherIndexEntry=nuptiality table, net}} takes mortality as well as nuptiality into account, and is a particular case of {{NonRefTerm|double decrement tables}} ({{RefNumber|15|3|4}}). Such a table includes the {{TextTerm|single survivors|5|522|IndexEntry=single survivor|OtherIndexEntry=survivor, single}}, the {{TextTerm|ever-married survivors|6|522|IndexEntry=ever-married survivor|OtherIndexEntry=survivor, ever-married}}, the {{TextTerm|probability of single survival|7|522|OtherIndexEntry=single survival, probability of}} and the {{TextTerm|expectation of unmarried life|8|522|OtherIndexEntry=unmarried life, expectation of}}.
+
{{TextTerm|혼인표|1|522|OtherIndexEntry=표, 혼인력|EnglishEntry=Nuptiality tables|}} 는 생명표와 비슷한 것으로, 결혼과 관련한 숫자들을 결합하여 생성된다. {{TextTerm|총 초혼 표|1|522|2}}는 사망률을 0이라고 가정하는 시점에서, 실제로 관찰된 연령별 혼인율에 따라 결혼이 일어난다고 가정할 경우, 일정 크기의 코호트가 경험하는 {{NonRefTerm|연령별 초혼 확률}} ({{RefNumber|52|1|3}}) {{NonRefTerm|미혼 지속 비율}} ({{RefNumber|52|1|2}}), {{TextTerm|초혼의 수|2|522|EnglishOriginal=number of first marriages}},{{TextTerm|남은 미혼자의 수|3|522|EnglishOriginal=number remaining single}}를 나타낸다. {{TextTerm|순혼인표|4|522|EnglishOriginal=net nuptiality table}}는 결혼 뿐만 아니라 사망의 영향도 고려하고 있는 {{NonRefTerm|요인 감소표}} ({{RefNumber|15|3|4}})의 일종으로 {{TextTerm|미혼 생존자 수|5|522|EnglishOriginal=single survivor}}, {{TextTerm|기혼 생존자 수|6|522|EnglishOriginal=ever-married survivor}}, {{TextTerm|미혼 생존 확률|7|522|EnglishOriginal=probability of single survival}}, {{TextTerm|평균 미혼 수명|8|522|EnglishOriginal=expectation of unmarried life}}을 보여준다.
  
 
=== 523 ===
 
=== 523 ===
  
A {{TextTerm|divorce rate|1|523|OtherIndexEntry=rate, divorce}} can be calculated in different ways. The {{TextTerm|crude divorce rate|2|523|OtherIndexEntry=divorce rate, crude}} gives the ratio of the number of divorces to the average population during a given period. The ratio of divorces to the number of married couples is sometimes computed and may be called the {{TextTerm|divorce rate for married persons|3|523|OtherIndexEntry=married persons, divorce rate for}}. If divorces are tabulated by the age of the divorced person or by duration of marriage, {{TextTerm|age-specific divorce rates|4|523|IndexEntry=age-specific divorce rate|OtherIndexEntry=divorce rate, age-specific}} and {{TextTerm|duration-specific divorce rates|5|523|IndexEntry=duration-specific divorce rate|OtherIndexEntry=divorce rate, duration-specific}} can be computed. Another index of divorce frequency is obtained by computing the {{TextTerm|number of divorces per new marriage|6|523|OtherIndexEntry=marriage, number of divorces per new}}.
+
{{TextTerm|이혼율|1|523|OtherIndexEntry=비율, 이혼|EnglishEntry=divorce rate|}} 은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 할 수 있다. 일정 기간 동안 평균 인구 수에 대한 이혼 수의 비율인 {{TextTerm|조이혼율|2|523|OtherIndexEntry=이혼율, }}과 결혼한 부부 중의 이혼한 비율인  {{TextTerm|유배우이혼율|3|523|OtherIndexEntry=결혼자, 이혼율에 대한}}도 계산 가능하다. 만약 이혼이 연령이나 기간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TextTerm|연령별 이혼율|4|523|OtherIndexEntry=이혼율, 연령별}} {{TextTerm|결혼지속기간별 이혼율|5|523|OtherIndexEntry=이혼율, 지속기간}}을 산출 할 수 있다. {{TextTerm|혼인 당 이혼 수|6|523|EnglishOriginal=number of divorces per new marriage}}를 계산하면, 이혼빈도 수를 구할 수 있다.
{{Note|6| This is a period measure which relates the divorces of one year, either to the marriages of that year, or to a weighted average of the marriages of several years. In cohort analysis, it is possible to relate divorces in successive years to an initial marriage cohort to compute the {{NoteTerm|cumulated proportion divorced}}.}}
+
{{Note|6| 1년간 혹은 몇 년간 혼인 수의 가중 평균 비율로 계산된 기간 지표이다. 코호트 분석은 연속된 기간 동안의 이혼 지수를 초기 결혼 코호트와 결합시키는 것으로 {{NoteTerm|누적 이혼 비율}}을 산출 할 수 있다.}}
  
 
=== 524 ===
 
=== 524 ===
  
When the requisite basic statistics are available, {{TextTerm|marriage dissolution probabilities|1|524|IndexEntry=marriage dissolution probability|OtherIndexEntry=dissolution probability, marriage}} may be computed, showing for each sex the probability of the marriage being dissolved by death or divorce according to {{TextTerm|duration of marriage|2|524|OtherIndexEntry=marriage, duration of}}; marriage dissolution tables are an application of double decrement life tables. Remarriage tables for widowed and divorced persons can also be computed, but the most common indices of remarriage are the {{TextTerm|relative frequency of remarriage|3|524|OtherIndexEntry=remarriage, relative frequency of}}, i.e. the proportion of widowed or divorced persons who remarry, often given by age at widowhood or divorce, and by the interval between widowhood or divorce and remarriage. The latter information enables one to compute the {{TextTerm|mean interval between widowhood and remarriage|4|524|IndexEntry=mean interval between widowood and remarriage|OtherIndexEntry=interval between widowood and remarriage, mean}} and the {{TextTerm|mean interval between divorce and remarriage|5|524|OtherIndexEntry=divorce and remarriage, mean interval between}}.
+
기본적인 통계를 구할 수 있다면, {{TextTerm|혼인 해소 확률|1|524|IndexEntry=혼인해소확률|EnglishEntry=marriage dissolution probability}}을 계산할 수 있다. 이것은 {{TextTerm|결혼지속기간|2|524|EnglishOriginal=duration of marriage}}을 통해 사망이나 이혼으로 인한 혼인 해소를 성별로 보여주며, 혼인해소표는 두 요인이 적용된 생명표의 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사별자와 이혼자에 대한 재혼표 역시 계산 가능한데, 가장 일반적인 재혼 지표는 {{TextTerm|상대적 재혼 빈도|3|524|EnglishOriginal=relative frequency of remarriage}}라고 할 수 있다. , 사별하거나 이혼한 사람들 중 재결혼한 사람에 대한 비율로 이것은 종종 연령별, 기간별로 계산될 수 있다. 기간별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TextTerm|사별자의 재혼 평균 기간|4|524|EnglishOriginal=mean interval between widowood and remarriage}} {{TextTerm|이혼자의 재혼 평균 기간|5|524|EnglishOriginal=mean interval between divorce and remarriage}}을 산출 할 수 있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0일 (금) 19:42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520

상대적인 혼인빈도는 혼인율(marriage rates/nuptiality rates)1로 측정된다. 이 중 조혼인율2은 주어진 기간동안 전체 혼인 수의 총 인구의 비율로 표시된다.남자혼인율3여자혼인율4은 다른 성별간의 결혼 빈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구분되어 연구된다. 성별혼인비율5은 적합한 인구의 각 성별을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초혼 비율6은 결혼하고자 하는 미혼 남자미혼 여자 (515-3515-4) 의 비율로 표시되지만, 이는 이혼 및 사별자 전체 수에 대한 재혼율7과는 구별된다. 혼인이 혼인 연령8으로 분류된 경우, 연령별 혼인율9과 같이 남편과 아내의 연령별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우자(부부)를 결혼 연령에 따라 분류하여 그 기간 동안의 평균 혼인 연령10을 산출 할 수 있다. 배우자 사이의 나이 차11연령 조합12을 통하여 분석할 수 있다.

  • 2. 조 혼인율은 총인구 대비 새로운 결혼인구 수의 비율로 산출 할 수 있다.
  • 9. 혼인 빈도초혼 빈도 는 때로 정확한 연령에서의 첫 결혼의 비율, 혼인자의 수, (그들의 결혼 상태와 관계없는) 총 인구 수의 비율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누적 혼인 빈도누적 초혼 빈도 역시 코호트 분석에 사용된다.

521

세대 내에서 남자 및 여자의 혼인비율은 생애미혼율(proportion never married)1로 측정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50세 정도에 초혼이 거의 없는 경우, 미혼 잔존 비율2에 해당한다. 코호트에서 각 연령마다의 미혼 잔존 비율은 초혼 확률3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즉 사망률을 0으로 가정할 경우, x세의 미혼자 중 x+1세가 되기 이전에 결혼하는 사람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미혼 잔존 비율은 센서스 데이터의 각 코호트 연령별 미혼자 비율4을 많이 사용한다. 배우자들의 연령으로 초혼이 분류되어 있는 경우, 초혼 연령의 평균5, 초혼 연령의 중간값6, 초혼 연령의 최빈값7 도 계산할 수 있다. 결혼시기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센서스의 연령별 미혼자 비율에서 정체평균결혼연령8을 산출 할 수 있다.

522

혼인표(Nuptiality tables)1 는 생명표와 비슷한 것으로, 결혼과 관련한 숫자들을 결합하여 생성된다. 총 초혼 표1는 사망률을 0이라고 가정하는 시점에서, 실제로 관찰된 연령별 혼인율에 따라 결혼이 일어난다고 가정할 경우, 일정 크기의 코호트가 경험하는 연령별 초혼 확률 (521-3) 및 미혼 지속 비율 (521-2), 초혼의 수2,남은 미혼자의 수3를 나타낸다. 순혼인표4는 결혼 뿐만 아니라 사망의 영향도 고려하고 있는 요인 감소표 (153-4)의 일종으로 미혼 생존자 수5, 기혼 생존자 수6, 미혼 생존 확률7, 평균 미혼 수명8을 보여준다.

523

이혼율(divorce rate)1 은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 할 수 있다. 일정 기간 동안 평균 인구 수에 대한 이혼 수의 비율인 조이혼율2과 결혼한 부부 중의 이혼한 비율인 유배우이혼율3도 계산 가능하다. 만약 이혼이 연령이나 기간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연령별 이혼율4결혼지속기간별 이혼율5을 산출 할 수 있다. 혼인 당 이혼 수6를 계산하면, 이혼빈도 수를 구할 수 있다.

  • 6. 1년간 혹은 몇 년간 혼인 수의 가중 평균 비율로 계산된 기간 지표이다. 코호트 분석은 연속된 기간 동안의 이혼 지수를 초기 결혼 코호트와 결합시키는 것으로 누적 이혼 비율을 산출 할 수 있다.

524

기본적인 통계를 구할 수 있다면, 혼인 해소 확률(marriage dissolution probability)1을 계산할 수 있다. 이것은 결혼지속기간2을 통해 사망이나 이혼으로 인한 혼인 해소를 성별로 보여주며, 혼인해소표는 두 요인이 적용된 생명표의 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사별자와 이혼자에 대한 재혼표 역시 계산 가능한데, 가장 일반적인 재혼 지표는 상대적 재혼 빈도3라고 할 수 있다. 즉, 사별하거나 이혼한 사람들 중 재결혼한 사람에 대한 비율로 이것은 종종 연령별, 기간별로 계산될 수 있다. 기간별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사별자의 재혼 평균 기간4이혼자의 재혼 평균 기간5을 산출 할 수 있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