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6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61'''--> {{CurrentStatus}}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__NOTOC__ === 610 === Births are classified by {{TextTerm|legitimacy|1|610}}. Strictly speaking, a {{TextTer...)
 
(611)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61'''-->
 
<!--'''61'''-->
{{CurrentStatus}}
+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8번째 줄: 8번째 줄:
 
=== 610 ===
 
=== 610 ===
  
Births are classified by {{TextTerm|legitimacy|1|610}}. Strictly speaking, a {{TextTerm|legitimate child|2|610|OtherIndexEntry=child, legitimate}} may be defined as one whose father and mother were married to one another at the time of conception. But in practice, the classification depends upon the marital status of the mother at the time of the birth or, after the {{NonRefTerm|dissolution of marriage}} ({{RefNumber|51|0|3}}), at the time of conception. A {{TextTerm|legitimate birth|3|610|OtherIndexEntry=birth, legitimate}} is the delivery of such a .child; other births are {{TextTerm|illegitimate births|4|610|IndexEntry=illegitimate birth|OtherIndexEntry=birth, illegitimate}}. It is general practice to consider as legitimate the children who result from {{TextTerm|pre-marital conceptions|5|610|IndexEntry=pre-marital conception|OtherIndexEntry=conception, pre-marital}} or {{TextTerm|pre-nuptial conceptions|5|610|2|IndexEntry=pre-nuptial conception|OtherIndexEntry=conception, pre-nuptial}} (i.e., conceptions occurring before marriage) provided that the parents are marri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the birth. An {{TextTerm|illegitimate child|6|610|OtherIndexEntry=child, illegitimate}} or {{TextTerm|child born out of wedlock|6|610|2|OtherIndexEntry=wedlock, child born out of}} may be {{TextTerm|legitimized|8|610}} or {{TextTerm|legitimated|8|610|2}} by the subsequent marriage of its parents. The process of {{TextTerm|legitimation|9|610}}, which varies in different countries, may confer on the illegitimate child some or all of the legal rights of legitimate children. In some legal systems it is possible for a father to grant {{TextTerm|recognition|7|610}} to, or {{TextTerm|acknowledge|7|610|2}}, his illegitimate child, i.e., to admit in legal form that he is the child’s father.
+
출생은 {{TextTerm|합법성|1|610l|EnglishEntry=legitimacy}}에 의해 분류 될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TextTerm|합법적인 아이|2|610|EnglishOriginal=legitimate child}}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결혼 중에 임신한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 분류는 어머니가 임신했을 당시 배우자와의 관계가 결혼상태였는지, {{NonRefTerm|혼인의 해소}} ({{RefNumber|51|0|3}})상태였는지에 달려있다. 기혼상태에서 어머니의 출산은 {{TextTerm|법적 출생|3|610|EnglishOriginal=legitimate birth}}이지만, 그 외 출산은 {{TextTerm|위법적 출생|4|610|EnglishOriginal=illegitimate birth}}이라고 부른다. {{TextTerm|혼전 임신|5|610|EnglishOriginal=pre-marital conception}}으로 태어난 아이도 부모가 출생 시에 결혼하는 경우 친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TextTerm|사생아|6|610|EnglishOriginal=illegitimate child}} 또는 {{TextTerm|결혼 외 출생아|6|610|2|EnglishOriginal=child born out of wedlock}}는 부모가 결혼을 통해 {{TextTerm|합법적으로|8|610}} 친자화 할 수도 있다. 절차는 나라마다 다르지만,{{TextTerm|합법화|9|610}}는 사생아에게 친자가 가진 모든 또는 일부의 법적 권리를 주기위한 것이다. 일부 국가의 법제도 아래에서는 아버지가 사생아를 {{TextTerm|인지|7|610}}할 수 있고 본인이 아이의 아버지임을 법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
{{Note|5| {{NoteTerm|Bridal pregnancies}} is also used in this connection.}}
+
{{Note|6| 법률 용어로{{NoteTerm|사생아}}는 모욕적인 의미를 갖게되었지만, 역사인구학자에 의해 가끔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국가의 법률에 따르면 {{NoteTerm|간통죄}} 또는 {{NoteTerm|혼외 관계}}의 결과로 생긴 아이는 사생아이다.(말하자면,기혼여자와 그여자와 결혼상태가 아닌 남성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사생아가 되지만, 이런 출생이 모두 사생아로 등록되지 않는다.}}
{{Note|6| The legal term {{NoteTerm|bastard}} has acquired a derogatory meaning but is occasionally used by historical demographers. According to the law of some countries a child is illegitimate if it results from {{NoteTerm|adulterous relations}} or {{NoteTerm|extra-marital relations}} i.e., a connection between a married woman and a man other than her husband, but such a birth is not always registered as illegitimate. . }}
 
  
 
=== 611 ===
 
=== 611 ===
  
Births are also classified by {{TextTerm|birth order|1|611|OtherIndexEntry=order, birth}}, e.g. first births, second births, etc. Birth order is usually determined by considering all {{TextTerm|previous births to the mother|3|611|OtherIndexEntry=mother, previous births to the}}, and sometimes only {{TextTerm|births of the present marriage|2|611|OtherIndexEntry=marriage, birth tof the present}}. Birth order is generally based on live births only, but occasionally late foetal deaths are taken into account as well. A classification of women by {{TextTerm|confinement order|4|611|OtherIndexEntry=order, confinement}} is made in the same way as for births by counting all pregnancies which lasted at least 28 weeks, and reckoning multiple births as one confinement (cf. {{RefNumber|60|3|4}}). Similarly a classification by {{TextTerm|pregnancy order|5|611|OtherIndexEntry=order, pregnancy}} is made by counting all known pregnancies. In medical parlance, a woman is called {{TextTerm|nulligravida|6|611}} if she has never been pregnant; the terms {{TextTerm|primigravida|7|611}} and {{TextTerm|multigravida|8|611}} respectively are used for a woman who is pregnant for the first time or who has been pregnant before. Women are also classified by {{TextTerm|parity|9|611}}, usually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children born alive, although in biological literature the term refers to the number of confinements, and a woman who has had no confinement at all is said to be a {{TextTerm|nullipara|10|611}} or {{TextTerm|nulliparous|10|611|2}}. Similarly, a woman is termed a {{TextTerm|primipara|11|611}} and deemed to be {{TextTerm|primiparous|11|611|2|IndexEntry=phimiparous}} at her first confinement and a {{TextTerm|multipara|12|611}} or {{TextTerm|multiparous|12|611|2}} at subsequent confinements.
+
출생은 첫번째 아이, 두번째 아이와 같은 {{TextTerm|출생 순위|1|611|OtherIndexEntry=순위, 출생}}에 의해 분류된다. 출생 순위는 보통 {{TextTerm|어머니의 이전 출산|3|611|EnglishOriginal=previous births to the mother}}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때로는 {{TextTerm|현재 결혼에서의 출산|2|611|EnglishOriginal=birth tof the present marriage}}만을 고려하기도 한다. 출생 순위는 보통 살아 태어난 아이만을 결정하지만, 때로는 후기 태아 사망을 포함하여 세기도 한다. 여성을 {{TextTerm|출산 순위|4|611|EnglishEntry=confinement order|}}로 분류하는 경우도 출생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28주 이상된 모든 임신에 의한 출산을 셀 때에는 여러 아이의 출생이라도 한번의 분만으로 본다 ({{RefNumber|60|3|4}}). 같은 방법으로, {{TextTerm|임신 순위|5|611|OtherIndexEntry=순위,임신}}에 의한 분류는 경험한 모든 임신을 센다. 한 번도 임신 한 적이 없는 여성은 의학용어로 {{TextTerm|미산부|6|611|EnglishEntry=nulligravida}}, 처음 임신한 여성은 {{TextTerm|초산부|7|611}} 그리고 과거 임신을 경험한 여성은 {{TextTerm|경산부|8|611}}라고 칭한다. 여성을 {{TextTerm|출산아 수|EnglishEntry=parity|9|611|}}로 분류할 수도 있다. 생물학에서는 분만경험이 없는 여성은 {{TextTerm|미산모|10|611}},처음 분만을 경험한 여성은 {{TextTerm|초산모|11|611}},그 이후의 여성은 {{TextTerm|경산모|12|611}}라고 칭한다.
{{Note|1| {{NoteTerm|Higher order births}} are births occurring after the last specified order, e.g. fifth and higher order births.}}
+
{{Note|1| {{NoteTerm|더 높은 출생 순위}}라는 것은 마지막에 확인된 출생순위보다 높은 것을 말한다. 예)다섯번째 순위 그리고 더 높은 순위의 출생.}}
{{Note|9| A woman who has not borne any live children is called a {{NoteTerm|zero-parity woman}}, a {{NoteTerm|one-parity woman}} has borne one child but no more, and so on.}}
+
{{Note|9| 한 번도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은 {{NoteTerm|zero-parity 여성}}이라고 칭하며, 1명만 출산한 경우 {{NoteTerm|one-parity 여성}}이라고 칭한다.}}
  
 
=== 612 ===
 
=== 612 ===
  
Studies of {{TextTerm|birth timing|1|612|OtherIndexEntry=timing, birth}} deal with the length of {{TextTerm|birth intervals|2|612|IndexEntry=birth interval|OtherIndexEntry=interval, birth}}. These include the {{TextTerm|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first birth|3|612|OtherIndexEntry=marriage and the first birth, interval between}} and {{TextTerm|intervals between successive births|4|612|IndexEntry=interval between successive births|OtherIndexEntry=births, interval between successive}}. The interval between a birth and a fixed date, such as that of a {{NonRefTerm|census}} ({{RefNumber|20|2|1}} *) or {{NonRefTerm|survey}} ({{RefNumber|20|3|4}}), is called an {{TextTerm|open birth interval|5|612|OtherIndexEntry=birth interval, open}}; intervals that begin before and end after that date are called {{TextTerm|straddling intervals|6|612|IndexEntry=straddling interval|OtherIndexEntry=interval, straddling}}. The {{TextTerm|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N<sup>th</sup> birth|7|612|IndexEntry=birth 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Nth birth|OtherIndexEntry=marriage and the nth birth, interval between}} is also used to study the timing of births.
+
{{TextTerm|출생 시기|1|612|EnglishEntry=birth timing}}에 대한 연구는 {{TextTerm|출생 간격|2|612|EnglishEntry=birth interval}}의 길이에 대하여 다룬다. 이것은 {{TextTerm|결혼과 첫 출산과의 간격|3|612|EnglishOriginal=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first birth}} {{TextTerm|각 출산의 간격|4|612|EnglishOriginal=interval between successive births}}으로 구성된다.출생과 특정한 날짜(예를 들어{{NonRefTerm|센서스}}({{RefNumber|20|2|1}} *) 또는 {{NonRefTerm|조사}} ({{RefNumber|20|3|4}}))사이와의 간격은 {{TextTerm|개방 출생 간격|5|612|EnglishOriginal=open birth interval}}이라고 불린다. 기간 전후의 간격은 {{TextTerm|사이간격|6|612|EnglishEntry=straddling interval}}이라고 칭한다. {{TextTerm|결혼과 N<sup>th</sup> 출산 간격|7|612|EnglishOriginal=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nth birth}} 역시 출생 시기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다.
{{Note|1| {{NoteTerm|Birth spacing}}, although sometimes found in the sense of birth timing as above, is commonly used to refer to the deliberate efforts of couples to postpone a birth.}}
+
{{Note|1| {{NoteTerm|출생간격조절|EnglishEntry=birth spacing|}}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출생 시간과 같은 용도로 쓰일때도 있지만, 보통은 출산을 연기하는 부부의 의도적인 노력을 가리키는데 사용한다.}}
{{Note|3| Also called {{NoteTerm|first birth intervals}}. The {{NoteTerm|second birth interval}} is that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birth; and so on.}}
+
{{Note|3| {{NoteTerm|첫번째 출생 간격}}이라고도 부른다. {{NoteTerm|두번째 출생 간격}}은 첫 아이 출산과 둘째 아이 출산 간격을 가리킨다. }}
{{Note|4| As seen from the vantage of that census or survey, the intervals between the recorded successive births are called {{NoteTerm|closed birth intervals}}.}}
+
{{Note|4| 센서스나 조사에서 기록된 출생 사이의 간격은 {{NoteTerm|봉쇄 출생 간격}}이라고 한다.}}
  
 
=== 613 ===
 
=== 613 ===
  
In computing the period of {{TextTerm|exposure to the risk of conception|1|613|OtherIndexEntry=conception, exposure to the risk of}}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xtTerm|pregnancy intervals|2|613|IndexEntry=pregnancy interval|OtherIndexEntry=interval, pregnancy}}. The interval between marriage and the first pregnancy is the {{TextTerm|conception delay|3|613|OtherIndexEntry=delay, conception}} or {{TextTerm|first pregnancy interval|3|613|2|OtherIndexEntry=pregnancy interval, first}}.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one pregnancy and the beginning of the next is the {{TextTerm|inter-pregnancy interval|4|613|OtherIndexEntry=interval, inter-pregnancy}}. If the time when the woman had no sexual activity is subtracted, a {{TextTerm|net inter-pregnancy interval|5|613|OtherIndexEntry=inter-pregnancy interval, net}} is obtained.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the last pregnancy and the date of a survey is called an {{TextTerm|open inter-pregnancy interval|6|613|OtherIndexEntry=inter-pregnancy interval, open}}.
+
{{TextTerm|임신위험|1|613|EnglishEntry=exposure to the risk of conception}} 기간을 계산하려면 {{TextTerm|임신 간격|2|613|EnglishOriginal=pregnancy interval}}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혼과 첫번째 임신사이의 간격은 {{TextTerm|착상지연|3|613|EnglishOriginal=conception delay}} 또는 {{TextTerm|첫번째 임신 간격|3|613|2|EnglishOriginal=first pregnancy interval}}이라고 부른다. 임신의 끝과 다음 임신 시작 사이의 기간은 {{TextTerm|임신 간격|4|613|EnglishOriginal=inter-pregnancy interval}}으로, 여기서 여성이 성관계를 갖지 않는 시간을 빼면 {{TextTerm|순수 임신 간격|5|613|EnglishOriginal=net inter-pregnancy interval}}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임신의 끝과 조사날짜 사이의 시기는 {{TextTerm|개방 임신 간격|6|613|EnglishOriginal=open inter-pregnancy interval}}이라고 칭한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2일 (일) 08:40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610

출생은 합법성(legitimacy)1에 의해 분류 될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합법적인 아이2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결혼 중에 임신한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 분류는 어머니가 임신했을 당시 배우자와의 관계가 결혼상태였는지, 혼인의 해소 (510-3)상태였는지에 달려있다. 기혼상태에서 어머니의 출산은 법적 출생3이지만, 그 외 출산은 위법적 출생4이라고 부른다. 혼전 임신5으로 태어난 아이도 부모가 출생 시에 결혼하는 경우 친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사생아6 또는 결혼 외 출생아6는 부모가 결혼을 통해 합법적으로8 친자화 할 수도 있다. 절차는 나라마다 다르지만,합법화9는 사생아에게 친자가 가진 모든 또는 일부의 법적 권리를 주기위한 것이다. 일부 국가의 법제도 아래에서는 아버지가 사생아를 인지7할 수 있고 본인이 아이의 아버지임을 법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

  • 6. 법률 용어로사생아는 모욕적인 의미를 갖게되었지만, 역사인구학자에 의해 가끔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국가의 법률에 따르면 간통죄 또는 혼외 관계의 결과로 생긴 아이는 사생아이다.(말하자면,기혼여자와 그여자와 결혼상태가 아닌 남성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사생아가 되지만, 이런 출생이 모두 사생아로 등록되지 않는다.

611

출생은 첫번째 아이, 두번째 아이와 같은 출생 순위1에 의해 분류된다. 출생 순위는 보통 어머니의 이전 출산3을 고려하여 결정되지만, 때로는 현재 결혼에서의 출산2만을 고려하기도 한다. 출생 순위는 보통 살아 태어난 아이만을 결정하지만, 때로는 후기 태아 사망을 포함하여 세기도 한다. 여성을 출산 순위(confinement order)4로 분류하는 경우도 출생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28주 이상된 모든 임신에 의한 출산을 셀 때에는 여러 아이의 출생이라도 한번의 분만으로 본다 (603-4). 같은 방법으로, 임신 순위5에 의한 분류는 경험한 모든 임신을 센다. 한 번도 임신 한 적이 없는 여성은 의학용어로 미산부(nulligravida)6, 처음 임신한 여성은 초산부7 그리고 과거 임신을 경험한 여성은 경산부8라고 칭한다. 여성을 출산아 수(parity)9로 분류할 수도 있다. 생물학에서는 분만경험이 없는 여성은 미산모10,처음 분만을 경험한 여성은 초산모11,그 이후의 여성은 경산모12라고 칭한다.

  • 1. 더 높은 출생 순위라는 것은 마지막에 확인된 출생순위보다 높은 것을 말한다. 예)다섯번째 순위 그리고 더 높은 순위의 출생.
  • 9. 한 번도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은 zero-parity 여성이라고 칭하며, 1명만 출산한 경우 one-parity 여성이라고 칭한다.

612

출생 시기(birth timing)1에 대한 연구는 출생 간격(birth interval)2의 길이에 대하여 다룬다. 이것은 결혼과 첫 출산과의 간격3각 출산의 간격4으로 구성된다.출생과 특정한 날짜(예를 들어센서스(202-1 *) 또는 조사 (203-4))사이와의 간격은 개방 출생 간격5이라고 불린다. 기간 전후의 간격은 사이간격(straddling interval)6이라고 칭한다. 결혼과 Nth 출산 간격7 역시 출생 시기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다.

  • 1. 출생간격조절(birth spacing)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출생 시간과 같은 용도로 쓰일때도 있지만, 보통은 출산을 연기하는 부부의 의도적인 노력을 가리키는데 사용한다.
  • 3. 첫번째 출생 간격이라고도 부른다. 두번째 출생 간격은 첫 아이 출산과 둘째 아이 출산 간격을 가리킨다.
  • 4. 센서스나 조사에서 기록된 출생 사이의 간격은 봉쇄 출생 간격이라고 한다.

613

임신위험(exposure to the risk of conception)1 기간을 계산하려면 임신 간격2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혼과 첫번째 임신사이의 간격은 착상지연3 또는 첫번째 임신 간격3이라고 부른다. 임신의 끝과 다음 임신 시작 사이의 기간은 임신 간격4으로, 여기서 여성이 성관계를 갖지 않는 시간을 빼면 순수 임신 간격5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임신의 끝과 조사날짜 사이의 시기는 개방 임신 간격6이라고 칭한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