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6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622)
(626)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62'''-->
  
<!--'''62'''-->
 
{{CurrentStatus}}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9번째 줄: 8번째 줄:
 
=== 620 ===
 
=== 620 ===
  
{{TextTerm|재생산기간|1|620|OtherIndexEntry=기간, 재생산의}} (혹은 여성의{{TextTerm|가임기간|1|620|2|OtherIndexEntry=기간, 임신}})은 {{TextTerm|사춘기|2|620}}시작된다. {{TextTerm|생리|3|620}} {{TextTerm|periods의 시작|4|620|IndexEntry=period}} 혹은 {{TextTerm|menses|4|620|2}}의 현상도 사춘기에 시작된다. 첫 생리는 {{TextTerm|초경|5|620}}이라고 하고, 월경이 끝나는 때를 {{TextTerm|폐경|6|620}}이라고 한다. 가끔 {{TextTerm|월경폐지기|6|620|2}}로 칭하기도 한다. 실제로, 재생산기간은 관용적으로 15세 혹은 {{NonRefTerm|최저결혼연령}} ({{RefNumber|50|4|1}})에 시작하여 45세 내지 50세에 끝나는 경우가 많다. 생리가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지만, 그것이 정상이거나 병에 의한 것일 경우 {{TextTerm|무월경|7|620|IndexEntry=amenorrhoea}}으로 부른다. {{TextTerm|임신에 따른 무월경|8|620|OtherIndexEntry=amenorrhea, pregnancy}}은 임신 후에 일어나고, {{TextTerm|산후무월경|9|620|IndexEntry=postpartum amenorrhea|OtherIndexEntry=amenorrhea, post-partum}}은 분만 후에 일어난다.
+
{{TextTerm|재생산기간|1|620|OtherIndexEntry=기간, 재생산의|EnglishEntry=reproductive period|}} (혹은 여성의 {{TextTerm|가임기간|1|620|2|OtherIndexEntry=기간, 임신}})은 {{TextTerm|사춘기|2|620}}부터 시작된다. 사춘기에는 {{TextTerm|생리|3|620}} -{{TextTerm|주기의 시작|4|620}} 혹은 {{TextTerm|월경|4|620|2}}-가 시작된다. 첫 생리는 {{TextTerm|초경|5|620}}이라고 하고, 월경이 끝나는 때를 {{TextTerm|폐경|6|620}} 혹은 {{TextTerm|월경폐지기|6|620|2}}로 칭하기도 한다. 실제로, 재생산기간은 일반적으로 15세 혹은 {{NonRefTerm|최저결혼연령}} ({{RefNumber|50|4|1}})에 시작하여 45세 내지 50세에 끝나는 경우가 많다. 생리가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지만, 그것이 정상이거나 병에 의한 것일 경우 {{TextTerm|무월경|7|620}}으로 부른다. {{TextTerm|임신에 따른 무월경|8|620|EnglishOriginal=pregnancy amenorrhea}}은 임신 후에 일어나고, {{TextTerm|산후무월경|9|620|EnglishOriginal=post-partum amenorrhea}}은 분만 후에 일어난다.
{{Note|1| {{NoteTerm|재생산연령}} 또는 {{NoteTerm|다산이 가능한 연령}} 으로 불리기도 한다. }}
+
{{Note|6| 영미의 일상용어에서 {{NoteTerm|인생의 변화}}라는 표현이 폐경의 뜻으로 사용된다.}}
{{Note|3| {{NoteTerm|생리}}, 명. - {{NoteTerm|생리하다}}, 동. - {{NoteTerm|생리하는}}, 형.}}
 
{{Note|6| {{NoteTerm|폐경}}, 명. - {{NoteTerm|폐경인}}, 형. 영미의 일상용어에서 {{NoteTerm|인생의 변화}}라는 표현이 폐경의 뜻으로 사용된다.}}
 
  
 
=== 621 ===
 
=== 621 ===
  
남성과 여성 또는 부부가 아이를 낳는 능력을 {{TextTerm|생식력|1|621}}이라고 부른다. 생식력이 결여된 경우를 {{TextTerm|불임|2|621}}이라고 부른다. {{TextTerm|수태능력의 부족|3|621|OtherIndexEntry=conceive, inability to}} 은 불임의 주요 원인이지만,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불임이라는 용어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보통 돌이키수 없는 의미를 내포하지만, 때때로 {{TextTerm|일시적 불임|4}} 과 {{TextTerm|영구 불임|7|621|OtherIndexEntry=sterility, permanent}}을 구별 할 수도 있다. 한번도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자를 {{TextTerm|원발성 불임증|8|621|OtherIndexEntry=sterility, primary}}, 1 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뒤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여자를 {{TextTerm|속박성 불임증|9|621|OtherIndexEntry=sterility, secondary}}으로 나눈다.
+
{{TextTerm|생식력|1|621|EnglishEntry=fecundity|}} 은 남성과 여성 또는 부부가 아이를 낳는 능력을 말하며, 생식력이 결여된 경우를 {{TextTerm|불임|2|621}}이라고 부른다. {{TextTerm|수태능력의 부족|3|621|EnglishOriginal=inability to conceive}} 은 불임의 주요 원인이지만,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불임이라는 용어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보통 돌이키수 없는 의미를 내포하지만, 때때로 {{TextTerm|일시적 불임|4}} 과 {{TextTerm|영구 불임|7|621|EnglishOriginal=permanent sterility}}을 구별 할 수도 있다. 한번도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자를 {{TextTerm|원발성 불임증|8|621|EnglishOriginal=primary sterility}}, 1 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뒤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여자를 {{TextTerm|속박성 불임증|9|621|EnglishOriginal=secondary sterility}}으로 나눈다.
{{Note|1| {{NoteTerm|생산력}}, 명. - {{NoteTerm|다산의}}, 형. 이 용어는 출생아를 낳는 능력이 아닌 수태 능력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NoteTerm|낮은 생산력}} 및 {{NoteTerm|생산성이 낮은}} 출생아를 낳는 능력이 정상 이하의 보다 낮거나 임신 확률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
{{Note|1| 이 용어는 출생아를 낳는 능력이 아닌 수태 능력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NoteTerm|낮은 생산력}} 및 {{NoteTerm|생산성이 낮은}} 출생아를 낳는 능력이 정상 이하의 보다 낮거나 임신 확률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Note|2| {{NoteTerm|불임(sterility,Infecundity)}}, 명. - {{NoteTerm|불임의}}, 형.}}
 
  
 
=== 622 ===
 
=== 622 ===
  
{{NonRefTerm|일시적 불임}} ({{RefNumber|62|1|5}}) 라는 용어는 여성의 임신 불능이 생리적 조건의 결과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임신은 {{TextTerm|배란|3|622}} 전후의 2~3일만 발생하는데, 여성은 {{TextTerm|월경 주기|2|622|OtherIndexEntry=cycle, menstrual}}의 시기에, {{TextTerm|불임기간|1|622|IndexEntry=sterile period|OtherIndexEntry=period, sterile}}을 가질 수 있다. The term {{NonRefTerm|temporary sterility}} ({{RefNumber|62|1|5}}) is used even in instances where a woman’s inability to conceive is not the result of a pathological condition.Women are said to have {{TextTerm|sterile periods|1|622|IndexEntry=sterile period|OtherIndexEntry=period, sterile}} in each {{TextTerm|menstrual cycle|2|622|OtherIndexEntry=cycle, menstrual}}, because generally conception can occur only during a few days around the time of {{TextTerm|ovulation|3|622}}. The period of sterility that extends from {{NoteTerm|conception}} ({{RefNumber|60|2|1}}) to the return of ovulation after a delivery, which includes {{NonRefTerm|pregnancy}} ({{RefNumber|60|2|5}}) and is influenced by the duration of {{TextTerm|breastfeeding|4|622}}, is called the {{TextTerm|nonsusceptible period|5|622|OtherIndexEntry=period, nonsusceptible}}, particularly in mathematical models of reproduction. Temporary sterility is also used to refer to the occurrence of {{TextTerm|anovulatory cycles|6|622|IndexEntry=anovulatory cycle|OtherIndexEntry=cycle, anovulatory}} (i.e., menstrual cycles in which ovulation does not occur) or to abnormal periods of amenorrhea. The {{TextTerm|sub-fecundity|7|622}} of very young women is commonly called {{TextTerm|adolescent sterility|8|622|OtherIndexEntry=sterility, adolescent}}; it would be better to talk about {{TextTerm|adolescent sub-fecundity|8|622|2|OtherIndexEntry=sub-fecundity, adolescent}}.
+
{{NonRefTerm|일시적 불임|EnglishEntry=temporary sterility|}} ({{RefNumber|62|1|5}}) 이라는 용어는 여성의 임신 불능이 생리적 조건의 결과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임신은 {{TextTerm|배란|3|622}} 전후의 2~3일만 발생하므로, 여성은 {{TextTerm|월경 주기|2|622|EnglishOriginal=menstrual cycle}}의 시기에, {{TextTerm|불임기간|1|622|EnglishOriginal=sterile period}}을 가질 수 있다.{{NonRefTerm|임신}} ({{RefNumber|60|2|1}})에서 산후 배란 재개까지의 불임기간은  수학적 재생산 모델에서는 {{TextTerm|임신불능기간|5|622|EnglishOriginal=nonsusceptible period}} 이라고 칭하지만, 이것은 {{NonRefTerm|임신상태}}({{RefNumber|60|2|5}})의 시기를 포함하고, {{TextTerm|모유 수유|4|622}}지속 기간에 의해 좌우된다. 일시적 불임은 {{TextTerm|무배란주기|6|622|EnglishOriginal=anovulatory cycle}} (,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월경주기) 또는 무월경인 시기를 가리켜 사용될 수 있다. 젊은 여성의 {{TextTerm|낮은 생산력|7|622}} 은 보통 {{TextTerm|사춘기불임|8|622|EnglishOriginal=adolescent sterility}}이라고 일컫지만, {{TextTerm|사춘기의 낮은 생산력|8|622|2|EnglishOriginal=adolescent sub-fecundity}}이라고 부르는 편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Note|5| The period between delivery and the return of ovulation is often called the period of {{NoteTerm|postpartum sterility}}.}}
+
{{Note|5| 진통과 배란 재개 사이의 기간은 {{NoteTerm|산후불임}}의 기간으로 불린다.}}
{{Note|6| Also called anovular cycles.}}
 
  
 
=== 623 ===
 
=== 623 ===
  
{{TextTerm|Fertility|1|623}} and {{TextTerm|infertility|2|623}} refer to reproductive performance rather than capacity, and are used according to whether there was actual childbearing or not during the period under review. When it concerns the complete reproductive period, the term {{NewTextTerm|total infertility|3}} may be used while {{TextTerm|permanent infertility|4|623|OtherIndexEntry=infertility, permanent}} may extend from a certain age or marriage duration to the end of the childbearing years. {{NewTextTerm|Voluntary infertility|5}} is used when the absence of procreation corresponds to a decision of the couple ({{RefNumber|50|3|8}}).
+
{{TextTerm|출산력|1|623}} {{TextTerm|불임|2|623}} 은 재생산의 능력보다 관찰하는 기간 동안 실체 출생이 있고 없음에 대해 말할 때 쓰인다. {{TextTerm|총 불임력|3|EnglishEntry=total infertility}} 은 일정한 연령 또는 결혼부터 가임기간이 끝나 {{TextTerm|영구 불임|4|623|EnglishOriginal=permanent infertility}}이 되는 기간동안의 출산을 말한다. {{TextTerm|비자발적 불임|5}}은 부부({{RefNumber|50|3|8}})의 의지와 상관없이 아이를 가질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많은 라틴 용어에서 출산력과  fecondity는 영어와 정반대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불어 {{NonRefTerm|fécondité}}와 스페인어{{NonRefTerm|fecundidad}} 는 출산력으로 번역하고, {{NonRefTerm|fertilité}} {{NonRefTerm|fertilidad}} 는 비옥함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many Latin languages, the cognates of fertility and fecondity are used in a sense diametrically opposite to that in English. Thus, the French {{NonRefTerm|fécondité}} and the Spanish {{NonRefTerm|fecundidad}} are properly translated by fertility, and {{NonRefTerm|fertilité}} and {{NonRefTerm|fertilidad}} by fecondity.
 
{{Note|1| {{NoteTerm|Fertility}}, n. - fertile, adj.}}
 
{{Note|2| {{NoteTerm|Infertility}}, n. - infertile, adj.<br />{{NoteTerm|Childlessness}}, n. - {{NoteTerm|childless}}, adj. : refer to the state of a women, man or couple who have been so far infertile.}}
 
  
 
=== 624 ===
 
=== 624 ===
  
부부의 {{NonRefTerm|출생력}} ({{RefNumber|62|3|1}}) 은 {{TextTerm|재생산 활동|1|624|OtherIndexEntry=활동, 재생산의}}여부에 달려있다. 즉, 출생아의 수 및 {{NonRefTerm|출생 간격 }} ({{RefNumber|61|2|1}}*)을 조절하려고 노력하는 부부를 {{TextTerm|계획자|2|624|IndexEntry=planner}}로 그 반대의 경우를 {{TextTerm|비계획자|3|624|IndexEntry=비계획자}}라고 한다. {{TextTerm|가족 계획|4|624|OtherIndexEntry=planning, family}} 은 {{TextTerm|희망 자녀 수|5|624|OtherIndexEntry=children wanted, number of}} 를 초과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TextTerm|가족 규모 제한|4|624|2|OtherIndexEntry=limitation, family}}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TextTerm|출생 억제|6|624|OtherIndexEntry=control, birth}} 또는 {{TextTerm|산아 제한|6|624|2|OtherIndexEntry=regulation, fertility}} 은 결혼한 사람의 활동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부부의 {{NonRefTerm|출생력}} ({{RefNumber|62|3|1}}) 은 {{TextTerm|재생산 활동|1|624|OtherIndexEntry=활동, 재생산의}}여부에 달려있다. 즉, 출생아의 수 및 {{NonRefTerm|출생 간격 }} ({{RefNumber|61|2|1}}*)을 조절하려고 노력하는 부부를 {{TextTerm|계획자|2|624}}로 그 반대의 경우를 {{TextTerm|비계획자|3|624}}라고 한다. {{TextTerm|가족 계획|4|624|EnglishOriginal=family planning}} 은 {{TextTerm|희망 자녀 수|5|624|EnglishOriginal=number of children wanted}} 를 초과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TextTerm|가족 규모 제한|4|624|2|EnglishOriginal=family limitation}}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TextTerm|출생 억제|6|624|EnglishOriginal=birth control}}{{TextTerm|산아 제한|6|624|2|EnglishOriginal=fertility regulation}}은 결혼한 사람의 활동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Note|4| {{NoteTerm|가족계획여부}}에 따라 부부를 분류하면, 자녀의 수와 출산 간격을 조정하고자 하는 부부와 조정하지 않는 부부로 나눈다.}}
+
{{Note|4| 부부는 {{NoteTerm|가족계획여부}}에 따라 자녀의 수와 출산 간격을 조정하고자 하는 부부와 조정하지 않는 부부로 나눈다.}}
 
{{Note|5| {{NoteTerm|원치않는 출생}} 이나 {{NoteTerm|예정되지 않은 출생}}은 부부가 희망하는 자녀 수에 도달 한 후에 일어난 출생을 말한다. 이것은 혼외관계에서 일어난 {{NoteTerm|예정에 없던 출생}}과는 구별된다.}}
 
{{Note|5| {{NoteTerm|원치않는 출생}} 이나 {{NoteTerm|예정되지 않은 출생}}은 부부가 희망하는 자녀 수에 도달 한 후에 일어난 출생을 말한다. 이것은 혼외관계에서 일어난 {{NoteTerm|예정에 없던 출생}}과는 구별된다.}}
  
 
=== 625 ===
 
=== 625 ===
  
Family planning implies a concern with {{TextTerm|planned parenthood|1|625|OtherIndexEntry=parenthood, planned}} or {{TextTerm|responsible parenthood|1|625|2|OtherIndexEntry=parenthood, responsible}}, i.e., the desire to determine the number and spacing of births in conformity with the best interest of each couple, or of society. The number of children expected by a couple may differ from the {{TextTerm|desired number of children|2|625|OtherIndexEntry=children, desired number of}} or {{TextTerm|intended number of children|2|625|2|OtherIndexEntry=children, intended number of}} reported by the couple in a survey. Even if these goals are not revised, they may be exceeded as a result of {{TextTerm|contraceptive failures|3|625|IndexEntry=contraceptive failure|OtherIndexEntry=failure, contraceptive}} ; the frequency of the latter depends on {{TextTerm|contraceptive effectiveness|4|625|OtherIndexEntry=effectiveness, contraceptive}} which has two aspects. {{TextTerm|Theoretical effectiveness|5|625|OtherIndexEntry=effectiveness, theoretical}} or {{TextTerm|physiological effectiveness|5|625|2|OtherIndexEntry=effectiveness, physiological}} indicates how reliable a method is when used all the time according to directions. {{TextTerm|Use effectiveness|6|625|OtherIndexEntry=effectiveness, use}} measures its reliability when used in everyday situations by a given population. Reasoning in terms of {{NonRefTerm|residual fecundability}} ({{RefNumber|63|8|7}}), use effectiveness is usually measured by the {{TextTerm|contraceptive failure rate|7|625|OtherIndexEntry=failure rate, contraceptive}} which relates the number of unintended conceptions to the length of exposure to the risk of conceiving.
+
가족 계획은 {{TextTerm|계획된 가족 출산|1|625|EnglishOriginal=planned parenthood}} ({{TextTerm|책임있는 출산|1|625|2|EnglishOriginal=responsible parenthood}})으로 사회의, 부부의 최적의 이해에 따라 출생과 출생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부가 예상하는 자녀 수는 조사에서 부부의 {{TextTerm|희망 자녀 수|2|625|EnglishOriginal=desired number of,intended number of children}}와 다를 수 있다. 부부가 자신들의 목표를 수정하지 않더라도, {{TextTerm|피임실패|3|625|EnglishOriginal=contraceptive failure}}의 결과로 희망자녀 수를 넘어설 수 있다. 피임실패의 빈도는 {{TextTerm|피임효과|4|625|EnglishOriginal=contraceptive effectiveness}}에 달려있는데, 이는 2가지 측면이 있다. {{TextTerm|이론적 효과|5|625|EnglishOriginal=theoretical effectiveness}} {{TextTerm|생리적 효과|5|625|2|EnglishOriginal=physiological effectiveness}}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extTerm|실제 사용 효과|6|625|EnglishOriginal=use effectiveness}}는 주어진 인구가 매일 사용하는 경우의 신뢰성을 측정한다. {{NonRefTerm|잔여 수태 능력}} ({{RefNumber|63|8|7}}), 임신위험에 노출되는 기간 동안 예상되는 임신 수와 관련된 {{TextTerm|피임실패율|7|625|EnglishOriginal=contraceptive failure rate}}을 통해 측정된다.
{{Note|2| In other terms, {{NoteTerm|birth expectations}} differ from {{NoteTerm|reproductive intentions}}. A distinction is made between {{NoteTerm|desired family size}}, the number of children a woman, man or couple wants to have, and the {{NoteTerm|ideal family size}} which they envision for their society. {{NoteTerm|Intended family size}} may be lower than desired family size.}}
+
{{Note|2| {{NoteTerm|출생 예상}}{{NoteTerm|재생산의도}}와는 다르다. 부부가 원하는 {{NoteTerm|이상적인 가족 수}}와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NoteTerm|이상적인 가족 수}}는 구별된다. {{NoteTerm|의도한 가족 수}}는 이상적인 가족 수보다 낮을 수 있다.}}
{{Note|3| {{NoteTerm|Unplanned births}} are often opposed to {{NoteTerm|planned births}}.}}
+
{{Note|4| 5. 6. {{NoteTerm|효율성}} 은 여기서 사용되는 효과와 동의어이다.}}
{{Note|4| 5. and 6. {{NoteTerm|Efficacy}} is a synonym for effectiveness in these expressions.}}
+
{{Note|4| 가족계획 프로그램({{RefNumber|62|6|7}}참고)의 {{NoteTerm|인구학적 효과}} 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Note|4| Not to be confused with the {{NoteTerm|demographic effectiveness}} of a family planning program (see {{RefNumber|62|6|7}}), or of a method in a population.}}
 
  
 
=== 626 ===
 
=== 626 ===
  
A {{TextTerm|family planning program|1|626|OtherIndexEntry=planning program, family}} seeks to introduce and diffuse birth control in a group of {{TextTerm|potential users|2|626|IndexEntry=potential user|OtherIndexEntry=user, potential}} or in a {{TextTerm|target population|2|626|2|OtherIndexEntry=population, target}}. Teams of {{TextTerm|fieldworkers|3|626|IndexEntry=fieldworker}}, including {{TextTerm|canvassers|3|626|2|IndexEntry=canvasser}}, {{TextTerm|motivators|3|626|3|IndexEntry=motivator}} and {{TextTerm|distributors|3|626|4|IndexEntry=distributor}}, attempt to reach and convince the population to use contraception or abortion. The success of the program can be measured by the {{TextTerm|proportion of new acceptors|4|626|OtherIndexEntry=new acceptors, proportion of}} in the target population, or by the {{TextTerm|acceptance rate|4|626|2|OtherIndexEntry=rate, acceptance}}; for the acceptors of contraception, the {{TextTerm|continuation rate|5|626|OtherIndexEntry=rate, continuation}} after a certain lapse of time and its complement, the {{TextTerm|termination rate|6|626|OtherIndexEntry=rate, termination}} or {{TextTerm|drop-out rate|6|626|2|IndexEntry=dropout rate}} are also computed. Estimates of the numbers and proportions of {{TextTerm|births averted|7|626|IndexEntry=birth averted|OtherIndexEntry=averted birth}} reflect the {{NonRefTerm|demographic effectiveness}} ({{RefNumber|62|5|4}}*) of the program. Contraceptive prevalence in a population is estimated by the {{TextTerm|proportion of current users|8|626|OtherIndexEntry=current users, proportion of}} of contraception from a relevant universe, such as married women of reproductive age.
+
{{TextTerm|가족 계획 프로그램|1|626|OtherIndexEntry=계획 프로그램, 가족|EnglishEntry=family planning program|}} {{TextTerm|잠재적 이용자|2|626|EnglishOriginal=potential user}}{{TextTerm|목표 인구|2|626|2|EnglishOriginal=target population}}에게 산아 조절을 도입하고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TextTerm|실무작업자|3|626}}({{TextTerm|조사원|3|626|2}}, {{TextTerm|보급원|3|626|3}},{{TextTerm|배포원|3|626|4}})들은 사람들과 접촉하여 피임이나 인공임신중절을 사용하도록 권한다. 프로그램의 성공은 프로그램 대상 인구의 {{TextTerm|신규수용자 비율|4|626}}이나{{TextTerm|수용률|4|626|2}}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피임 수용자의 {{TextTerm|피임유지율|5|626|EnglishOriginal=continuation rate}}, 일정시간 경과 후의{{TextTerm|피임종료비율|6|626|EnglishOriginal=termination rate}}, {{TextTerm|피임포기율|6|626|2}}을 계산할 수 있다. {{TextTerm|출생 방지|7|626|EnglishOriginal=averted birth}}의 수는 가족계획프로그램의 {{NonRefTerm|인구학적 효과}} ({{RefNumber|62|5|4}}*) 를 반영하는 척도로 인구의 피임율은 재생산나이의 기혼여성 대비 피임 {{TextTerm|현재 사용자의 비율|8|626|EnglishOriginal=proportion of current users}} 로 측정된다.
{{Note|8| Special {{NoteTerm|surveys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contraception have been called KAP surveys in abbreviation.}}
+
{{Note|8| 피임에 대한 {{NoteTerm|지식,태도,실행에 대한 조사}}KAP 조사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 627 ===
 
=== 627 ===
  
{{TextTerm|피임|1|627}}은 {{TextTerm|성관계|2|627|OtherIndexEntry=intercourse, sexual}} 또는 {{TextTerm|성행위|2|627|2}}가 임신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그 중에는 피임을 위한 {{NonRefTerm|불임수술}} ({{RefNumber|63|1|1}})을 포함한다. {{TextTerm|출생억제방법(산아조절법)|3|627|IndexEntry=birth control method|OtherIndexEntry=control method, birth}}은 {{TextTerm|피임법|3|627|2|IndexEntry=contraceptive method|OtherIndexEntry=method, contraceptive}}보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NonRefTerm|인공임신중절}} ({{RefNumber|60|4|2}}), {{TextTerm|(성에 대한)금욕|4|627}}, 특히{{NonRefTerm|정기적인 금욕}} ({{RefNumber|62|8|4}})은 피임 또는 출산 억제 방법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
{{TextTerm|피임|1|627|EnglishEntry=contraception}}은 {{TextTerm|성관계|2|627|EnglishOriginal=sexual intercourse}} 또는 {{TextTerm|성행위|2|627|2}}가 임신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그 중에는 피임을 위한 {{NonRefTerm|불임수술}} ({{RefNumber|63|1|1}})을 포함한다. {{TextTerm|출생억제방법|3|627|}}(산아조절법)은 {{TextTerm|피임법|3|627|2|EnglishOriginal=contraceptive method}}보다 더 넓은 의미로 {{NonRefTerm|인공임신중절}} ({{RefNumber|60|4|2}}), ({{TextTerm|성에 대한 금욕|4|627|}})이 포함된다. 특히{{NonRefTerm|정기적인 금욕}} ({{RefNumber|62|8|4}})은 피임 또는 출산 억제 방법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Note|1| {{NoteTerm|피임}}, 명. - {{NoteTerm|피임자}}, 명.: 피임을 하는 사람. {{NoteTerm|피임약(기구)}}, 형. : 피임을 하는.}}
 
{{Note|4| {{NoteTerm|금욕}}, 명. - {{NoteTerm|금욕하는}}, 동.}}
 
  
 
=== 628 ===
 
=== 628 ===
  
A distinction is frequently drawn between {{TextTerm|appliance methods|1|628|IndexEntry=appliance method|OtherIndexEntry=method, appliance}} of contraception and {{TextTerm|non-appliance methods|2|628|IndexEntry=non-appliance method|OtherIndexEntry=method, non-appliance}}. One principal non-appliance method of contraception is {{TextTerm|coitus interruptus|3|628}} or {{TextTerm|withdrawal|3|628|2}}. Another non-appliance method of contraception is {{TextTerm|periodic abstinence|4|628|OtherIndexEntry=abstinence, periodic}} or the {{TextTerm|rhythm method|4|628|2|OtherIndexEntry=method, rhythm}}, in which coitus is avoid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woman is believed to be fecund and takes place only during the so-called {{TextTerm|safe period|5|628|OtherIndexEntry=period, safe}} of the menstrual cycle. The {{TextTerm|basal body temperature method|6|628|OtherIndexEntry=method, basal body temperature}} refers to the method in which the woman keeps track of her temperature to identify the safe period.
+
피임방법은 {{TextTerm|기구사용|1|628|EnglishOriginal=appliance method}}{{TextTerm|기구미사용|2|628|EnglishOriginal=non-appliance method}}으로 나눌 수 있다. 기구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피임 방법 중 하나는 {{TextTerm|질외사정|3|628|EnglishEntry=coitus interruptus}}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TextTerm|정기적 금욕|4|628|EnglishEntry=periodic abstinence}} 이나 {{TextTerm|리듬법|4|628|2|EnglishEntry=rhythm method}}으로 이것은 여성의 생리주간 중 소위 {{TextTerm|안전기|5|628|EnglishOriginal=safe period}}에만 성교를 하는 방법이다. {{TextTerm|기초 체온법|6|628|EnglishEntry=basal body temperature method}} 은 스스로의 안전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자가 매일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Note|1| Appliance methods include not only {{NoteTerm|barrier methods}} which are used to prevent the union of the sperm and ovum, but also methods using other {{NoteTerm|contraceptive devices}} such as the intra-uterine device ({{RefNumber|62|9|10}}) and other types of {{NoteTerm|contraceptives}} such as the pill ({{RefNumber|63|0|4}}).}}
+
{{Note|1| 약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자와 난자의 결합을 막기 위한 {{NoteTerm|차단피임법}} 뿐만 아니라 자궁피임기구({{RefNumber|62|9|10}})와 같은  {{NoteTerm|피임 기구}}, 경구용 피임약과 같은({{RefNumber|63|0|4}}){{NoteTerm|피임기구}}를 포함한다.}}
{{Note|4| The term {{NoteTerm|natural family planning methods}} has been applied collectively to cover the rhythm method, the basal body temperature method, and other techniques which attempt to identify stages of the woman’s ovulatory cycle.}}
+
{{Note|4| {{NoteTerm|자연 가족 계획 방법}} 이라는 용어는 리듬법, 체온법, 여성의 배란주기 각 단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모든 방법을 통칭하여 사용된다.}}
  
 
=== 629 ===
 
=== 629 ===
  
The barrier methods which are more commonly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nclude the {{TextTerm|condom|1|629}} or {{TextTerm|sheath|1|629|2}}, used by men, and the {{TextTerm|cervical cap|2|629|OtherIndexEntry=cap, cervical}} or {{TextTerm|pessary|2|629|2}}, the {{TextTerm|diaphragm|3|629}}, {{TextTerm|tampon|4|629}} or {{TextTerm|sponge|4|629|2}}, {{TextTerm|contraceptive jelly|5|629|OtherIndexEntry=jelly, contraceptive}}, {{TextTerm|suppository|6|629}}, {{TextTerm|foam tablets|7|629|IndexEntry=foam tablet|OtherIndexEntry=tablet, foam}} and {{TextTerm|douche|8|629}} with or without {{TextTerm|spermicide|9|629}}, used by women. There are various types of {{TextTerm|intra-uterine devices|10|629|IndexEntry=intra-uterine device|OtherIndexEntry=device, intra-uterine}} (abbreviated to {{TextTerm|IUD|10|629|2|IndexEntry=I.U.D.}}), including the {{TextTerm|loop|10|629|3}} the {{TextTerm|coil|10|629|4}}, the {{TextTerm|copper T|10|629|5}}, etc.
+
차단피임법은 보통 여러 개의 방법을 이용하는 형태로 남성이 이용하는  {{TextTerm|콘돔|1|629}}, 여성이 이용하는 {{TextTerm|자궁경부캡|2|629|EnglishOriginal=cervical,pessary cap}}, {{TextTerm|다이어프램|3|629}}, {{TextTerm|탐폰|4|629}} , {{TextTerm|스폰지|4|629|2}}, {{TextTerm|피임 젤리|5|629|EnglishOriginal=contraceptive jelly}}, {{TextTerm|좌약|6|629}}, {{TextTerm|살정제|7|629|EnglishOriginal=foam tablet}}이 있으며 {{TextTerm|살정제|9|629}}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TextTerm|질세척|8|629}}이 있다. {{TextTerm|자궁 내 피임장치|10|629|2}}로 알려진 {{TextTerm|자궁피임기구|10|629|EnglishOriginal=intra-uterine device}}{{TextTerm|루프|10|629|3}} , {{TextTerm|코일|10|629|4}}, {{TextTerm|코퍼 티|10|629|5}}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 630 ===
 
=== 630 ===
  
{{TextTerm|경구피임약|1|630|IndexEntry=oral contracptive|OtherIndexEntry=피임약, 경구}}은 {{TextTerm|호르몬 피임|2|630|OtherIndexEntry=피임, 호르몬}} 이나 {{TextTerm|steroids에 의한 피임|3|630|OtherIndexEntry=steroids, ~에 의한 피임}}의 방법으로, {{TextTerm|피임약|4|630}}을 일정하게 복용하거나, 주사나 주입물질을 통하여 배란을 억제한다.
+
{{TextTerm|경구피임약|1|630|OtherIndexEntry=피임약, 경구|EnglishEntry=Oral contraceptives}}은 {{TextTerm|호르몬 피임|2|630|OtherIndexEntry=피임, 호르몬}} 이나 {{TextTerm|스테로이드에 의한 피임|3|630|}}의 방법으로, {{TextTerm|피임약|4|630}}을 일정하게 복용하거나, 주사나 주입물질을 통하여 배란을 억제한다.
  
 
=== 631 ===
 
=== 631 ===
  
{{TextTerm|불임수술|1|631}}은 다양한 수술에 의한 결과로 남성은 {{TextTerm|vasectomy|2|631}} or {{NewTextTerm|occlusion|3|631}} involves tying and cutting the vas deferens; on the female {{TextTerm|tubal ligation|4|631|OtherIndexEntry=ligation, tubal}} and {{TextTerm|salpingectomy|5|631}} or {{TextTerm|tubectomy|5|631|2}} involve interventions on the fallopian tubes. {{TextTerm|Hysterectomy|6|631|IndexEntry=hysteroctomy}} or excision of the uterus, also involves sterilization of the woman.
+
{{TextTerm|불임수술|1|631|EnglishEntry=sterilization}}은 수술을 통하여 불임이 되는 것으로 남성은 {{TextTerm|정관절제수술|2|631}} 또는 정관 절제와 관련된 {{TextTerm|폐색|3|631}}수술이 있다. 여성은 {{TextTerm|난관 결찰|4|631|EnglishOriginal=tubal ligation}} 및 나팔관을 이용한{{TextTerm|나팔관절제술|5|631}} 또는 {{TextTerm|난관절제술|5|631|2}}이 있다. 여성은 여성의 불임과 관련한 {{TextTerm|자궁절제술|6|631}}을 포함한다.
{{Note|4|and 5. Various procedures are used to gain access to the Fallopian tubes, such as {{NoteTerm|laparotomy, colpotomy}} or {{NoteTerm|laparoscopy}}.}}
+
{{Note|4|5. 나팔관에 도달하기 위해 {{NoteTerm|개복법, 경질법}} 또는 {{NoteTerm|복강경검사법}}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다.}}
 +
 
 +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6일 (목) 07:36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620

재생산기간(reproductive period)1 (혹은 여성의 가임기간1)은 사춘기2부터 시작된다. 사춘기에는 생리3 -주기의 시작4 혹은 월경4-가 시작된다. 첫 생리는 초경5이라고 하고, 월경이 끝나는 때를 폐경6 혹은 월경폐지기6로 칭하기도 한다. 실제로, 재생산기간은 일반적으로 15세 혹은 최저결혼연령 (504-1)에 시작하여 45세 내지 50세에 끝나는 경우가 많다. 생리가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지만, 그것이 정상이거나 병에 의한 것일 경우 무월경7으로 부른다. 임신에 따른 무월경8은 임신 후에 일어나고, 산후무월경9은 분만 후에 일어난다.

  • 6. 영미의 일상용어에서 인생의 변화라는 표현이 폐경의 뜻으로 사용된다.

621

생식력(fecundity)1 은 남성과 여성 또는 부부가 아이를 낳는 능력을 말하며, 생식력이 결여된 경우를 불임2이라고 부른다. 수태능력의 부족3 은 불임의 주요 원인이지만,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불임이라는 용어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보통 돌이키수 없는 의미를 내포하지만, 때때로 일시적 불임4영구 불임7을 구별 할 수도 있다. 한번도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자를 원발성 불임증8, 1 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뒤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여자를 속박성 불임증9으로 나눈다.

  • 1. 이 용어는 출생아를 낳는 능력이 아닌 수태 능력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낮은 생산력생산성이 낮은 출생아를 낳는 능력이 정상 이하의 보다 낮거나 임신 확률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622

일시적 불임(temporary sterility) (621-5) 이라는 용어는 여성의 임신 불능이 생리적 조건의 결과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임신은 배란3 전후의 2~3일만 발생하므로, 여성은 월경 주기2의 시기에, 불임기간1을 가질 수 있다.임신 (602-1)에서 산후 배란 재개까지의 불임기간은 수학적 재생산 모델에서는 임신불능기간5 이라고 칭하지만, 이것은 임신상태(602-5)의 시기를 포함하고, 모유 수유4지속 기간에 의해 좌우된다. 일시적 불임은 무배란주기6 (즉,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월경주기) 또는 무월경인 시기를 가리켜 사용될 수 있다. 젊은 여성의 낮은 생산력7 은 보통 사춘기불임8이라고 일컫지만, 사춘기의 낮은 생산력8이라고 부르는 편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 5. 진통과 배란 재개 사이의 기간은 산후불임의 기간으로 불린다.

623

출산력1불임2 은 재생산의 능력보다 관찰하는 기간 동안 실체 출생이 있고 없음에 대해 말할 때 쓰인다. 총 불임력(total infertility)3 은 일정한 연령 또는 결혼부터 가임기간이 끝나 영구 불임4이 되는 기간동안의 출산을 말한다. 비자발적 불임5은 부부(503-8)의 의지와 상관없이 아이를 가질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많은 라틴 용어에서 출산력과 fecondity는 영어와 정반대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불어 fécondité와 스페인어fecundidad 는 출산력으로 번역하고, fertilitéfertilidad 는 비옥함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624

부부의 출생력 (623-1) 은 재생산 활동1여부에 달려있다. 즉, 출생아의 수 및 출생 간격 (612-1*)을 조절하려고 노력하는 부부를 계획자2로 그 반대의 경우를 비계획자3라고 한다. 가족 계획4희망 자녀 수5 를 초과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가족 규모 제한4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출생 억제6산아 제한6은 결혼한 사람의 활동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4. 부부는 가족계획여부에 따라 자녀의 수와 출산 간격을 조정하고자 하는 부부와 조정하지 않는 부부로 나눈다.
  • 5. 원치않는 출생 이나 예정되지 않은 출생은 부부가 희망하는 자녀 수에 도달 한 후에 일어난 출생을 말한다. 이것은 혼외관계에서 일어난 예정에 없던 출생과는 구별된다.

625

가족 계획은 계획된 가족 출산1 (책임있는 출산1)으로 사회의, 부부의 최적의 이해에 따라 출생과 출생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부가 예상하는 자녀 수는 조사에서 부부의 희망 자녀 수2와 다를 수 있다. 부부가 자신들의 목표를 수정하지 않더라도, 피임실패3의 결과로 희망자녀 수를 넘어설 수 있다. 피임실패의 빈도는 피임효과4에 달려있는데, 이는 2가지 측면이 있다. 이론적 효과5생리적 효과5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실제 사용 효과6는 주어진 인구가 매일 사용하는 경우의 신뢰성을 측정한다. 잔여 수태 능력 (638-7)은, 임신위험에 노출되는 기간 동안 예상되는 임신 수와 관련된 피임실패율7을 통해 측정된다.

  • 2. 출생 예상재생산의도와는 다르다. 부부가 원하는 이상적인 가족 수와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이상적인 가족 수는 구별된다. 의도한 가족 수는 이상적인 가족 수보다 낮을 수 있다.
  • 4. 5. 및 6. 효율성 은 여기서 사용되는 효과와 동의어이다.
  • 4. 가족계획 프로그램(626-7참고)의 인구학적 효과 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626

가족 계획 프로그램(family planning program)1잠재적 이용자2목표 인구2에게 산아 조절을 도입하고 보급하기 위한 것이다. 실무작업자3(조사원3, 보급원3,배포원3)들은 사람들과 접촉하여 피임이나 인공임신중절을 사용하도록 권한다. 프로그램의 성공은 프로그램 대상 인구의 신규수용자 비율4이나수용률4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피임 수용자의 피임유지율5, 일정시간 경과 후의피임종료비율6, 피임포기율6을 계산할 수 있다. 출생 방지7의 수는 가족계획프로그램의 인구학적 효과 (625-4*) 를 반영하는 척도로 인구의 피임율은 재생산나이의 기혼여성 대비 피임 현재 사용자의 비율8 로 측정된다.

  • 8. 피임에 대한 지식,태도,실행에 대한 조사를 KAP 조사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627

피임(contraception)1성관계2 또는 성행위2가 임신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그 중에는 피임을 위한 불임수술 (631-1)을 포함한다. 출생억제방법3(산아조절법)은 피임법3보다 더 넓은 의미로 인공임신중절 (604-2), (성에 대한 금욕4)이 포함된다. 특히정기적인 금욕 (628-4)은 피임 또는 출산 억제 방법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628

피임방법은 기구사용1기구미사용2으로 나눌 수 있다. 기구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피임 방법 중 하나는 질외사정(coitus interruptus)3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정기적 금욕(periodic abstinence)4 이나 리듬법(rhythm method)4으로 이것은 여성의 생리주간 중 소위 안전기5에만 성교를 하는 방법이다. 기초 체온법(basal body temperature method)6 은 스스로의 안전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여자가 매일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 1. 약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자와 난자의 결합을 막기 위한 차단피임법 뿐만 아니라 자궁피임기구(629-10)와 같은 피임 기구, 경구용 피임약과 같은(630-4)피임기구를 포함한다.
  • 4. 자연 가족 계획 방법 이라는 용어는 리듬법, 체온법, 여성의 배란주기 각 단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모든 방법을 통칭하여 사용된다.

629

차단피임법은 보통 여러 개의 방법을 이용하는 형태로 남성이 이용하는 콘돔1, 여성이 이용하는 자궁경부캡2, 다이어프램3, 탐폰4 , 스폰지4, 피임 젤리5, 좌약6, 살정제7이 있으며 살정제9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질세척8이 있다. 자궁 내 피임장치10로 알려진 자궁피임기구10루프10 , 코일10, 코퍼 티10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630

경구피임약(Oral contraceptives)1호르몬 피임2 이나 스테로이드에 의한 피임3의 방법으로, 피임약4을 일정하게 복용하거나, 주사나 주입물질을 통하여 배란을 억제한다.

631

불임수술(sterilization)1은 수술을 통하여 불임이 되는 것으로 남성은 정관절제수술2 또는 정관 절제와 관련된 폐색3수술이 있다. 여성은 난관 결찰4 및 나팔관을 이용한나팔관절제술5 또는 난관절제술5이 있다. 여성은 여성의 불임과 관련한 자궁절제술6을 포함한다.

  • 4. 및 5. 나팔관에 도달하기 위해 개복법, 경질법 또는 복강경검사법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된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