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6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638)
(640)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63'''-->
  
<!--'''63'''-->
 
{{CurrentStatus}}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9번째 줄: 8번째 줄:
 
=== 632 ===
 
=== 632 ===
  
The general term {{TextTerm|birth rate|1|632|OtherIndexEntry=rate, birth}} refers to a rate calculated by relating the number of live births observed in a population or sub-population during a given period to the size of the population or sub-population during the period. The rate is usually stated per 1,000, and the most usual period is one year. Where the term birth rate is used without qualification, it is understood to be the {{TextTerm|crude birth rate|2|632|OtherIndexEntry=birth rate, crude}}, and all live births are related to the entire population. The {{TextTerm|total birth rate|3|632|OtherIndexEntry=birth rate, total}} based on live births and late foetal deaths is sometimes calculated. {{TextTerm|Legitimate birth rates|4|632|IndexEntry=legitimate birth rate|OtherIndexEntry=birth rate, legitimate}} and {{TextTerm|illegitimate birth rates|5|632|IndexEntry=illegitimate birth rate|OtherIndexEntry=birth rate, illegitimate}} are also calculated with legitimate and illegitimate births in the numerator and the currently married and unmarried female population, respectively, in the denominator. The {{TextTerm|illegitimacy ratio|6|632|OtherIndexEntry=ratio, illegitimacy}}, the number of illegitimate births per 1,000 total births, is more frequently used, however. To compare the fertility of different populations, {{TextTerm|standardized birth rates|7|632|IndexEntry=standardized rate birth|OtherIndexEntry=birth rate, standardized}} are often used to eliminate the effect on the birth rate of certain differences in structure of the population (most commonly the age and sex structure). The {{TextTerm|child-woman ratio|8|632|OtherIndexEntry=ratio, child-woman}}, most commonly the number of children aged 0 to 4 per 1,000 women of childbearing age, e.g., 15 to 49, is used as an index of fertility when reliable birth statistics are not available. <br />{{NoteTerm|4}} and 5. The denominator of the legitimate and illegitimate birth rate is sometimes the total population.
+
일반적인 용어로 {{TextTerm|출산율|1|632|EnglishEntry=birth rate}} 은 주어진 기간동안의 (하위)인구에서 관찰되는 출생아 수를 해당기간의 인구 또는 하위 인구의 규모와 관련하여 계산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비율은 인구 1,000명 당 계산되며, 기간은 1년이 보통이다. 출산율이라는 용어가 제한없이 사용되는 경우는 {{TextTerm|조출산율|2|632|EnglishEntry=crude birth rate}}로 이는 모든 출생을 전체 인구 수로 나누어 얻을 수 있다. {{TextTerm|총 출생률|3|632|EnglishOriginal=total birth rate}}은 출생아의 수를 기초로 하며, 가끔 후기 태아 사망을 계산하기도 한다. {{TextTerm|합법출산율|4|632|EnglishOriginal=legitimate birth rate}} {{TextTerm|위법출산율|5|632|EnglishOriginal=illegitimate birth rate}} 은 각각 분자를 합법 출생 및 위법 출생아로 두고, 분모를 기혼 여성 또는 미혼 여성 인구로 하여 계산한다. 그러나 보통 출생 1,000명 당 사생아 출생 수를 사용하는 {{TextTerm|위법출생비율|6|632|EnglishOriginal=illegitimacy ratio}}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인구간의 출산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인구 구조(일반적으로는 성과 연령 구조)의 차이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TextTerm|표준화 출생률|7|632|EnglishOriginal=standardized birth rate}}을 자주 사용한다. 출산력 지표로서의 {{TextTerm|여성 아이 비율|8|632|EnglishOriginal=child-woman ratio}}은  15~49 세 여자 인구 1,000 명당 0~4 세의 어린이 인구로 표현되는 것이 보통이며,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출산력 지표로 사용한다.  
 +
{{NoteTerm|4|}} 및 {{NoteTerm|5|}}. 때로는 적법 및 위법 출생률의 분모로 전체 인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 633 ===
 
=== 633 ===
  
The term {{TextTerm|fertility rate|1|633|OtherIndexEntry=rate, fertility}} is often used when the denominator of the birth rate fraction is restricted to a group of individuals of the same sex in the reproductive ages ({{RefNumber|62|0|1}}). This denominator is commonly the mid-year population in the stated period, but it may also be the number of years lived by the group during the period, or the mean size of the group.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se rates are {{TextTerm|female fertility rates|2|633|IndexEntry=female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female}}, and the rates are calculated for groups of women; the number of years lived by a given number of women in an interval is called the number of {{TextTerm|woman years|3|633|OtherIndexEntry=years, woman}}. {{TextTerm|Male fertility rates|4|633|IndexEntry=male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male}} are computed sometimes in an analogous manner. Fertility rates are generally expressed as births per thousand (implied: individuals of the same category — sex, age, marital status, etc. — cf. {{RefNumber|13|3|4}}*). {{TextTerm|Marital fertility rates|5|633|IndexEntry=marital fertility rate}} or {{TextTerm|legitimate fertility rates|5|633|2|IndexEntry=legitimate fertility rate}} relate the total number of legitimate births ({{RefNumber|61|0|3}}) to the number of currently married women; {{TextTerm|non-marital fertility rates|6|633|IndexEntry=non-marital fertility rate}} or {{TextTerm|illegitimate fertility rates|6|633|2|IndexEntry=illegitimate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illegitimate}} relate the total number of illegitimate births ({{RefNumber|61|0|4}}) to the number of single, widowed and divorced women. {{TextTerm|Overall fertility rates|7|633|IndexEntry=overall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overall}} make no distinction according to the legitimacy ({{RefNumber|61|0|1}}) of the births or the marital status of the parents. The {{TextTerm|general fertility rate|8|633|IndexEntry=general rate fertility|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general}} relates the total number of births to all women of reproductive age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Rates based on a narrower age range (usually one-year or five-year age groups) are called {{TextTerm|age-specific fertility rates|9|633|IndexEntry=age-specific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birth rate, age-specific}} or {{TextTerm|age-specific birth rates|9|633|2|IndexEntry=age-specific birth rate}}.
+
{{TextTerm|출산력|1|633|OtherIndexEntry=비율, 출산|EnglishEntry=fertility rate}} 은 분모를 재생산 연령({{RefNumber|62|0|1}})으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 분모는 정태 시기의 연앙인구를 사용하지만, 이것은 그 기간 동안 그룹의 생존 기간 또는 집단의 크기 일 수 있다. 특히, 이 비율은 {{TextTerm|여성 출산력|2|633|EnglishOriginal=female fertility rate}} 으로 비율은 여성의 그룹으로 계산된다. 특정 기간 동안 일정 수의 여자가 겪게 되는 생존 기간은 {{TextTerm|여성 년수|3|633|EnglishOriginal=woman years}}라고 부른다. {{TextTerm|남성 출산력|4|633|EnglishOriginal=male fertility rate}}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출산율은 일반적으로 성,나이,결혼 여부와 같이 동일한 특성을 가진 인구 1,000명당 ({{RefNumber|13|3|4}}*) 작성한다. {{TextTerm|결혼 출산력|5|633}}({{TextTerm|합법 출산력|5|633|2}})은 합법적으로 출생한 아이의 수 ({{RefNumber|61|0|3}}) 를 결혼한 여성의 인구 수로 나눈 것이다. {{TextTerm|비결혼 출산력|6|633}}({{TextTerm|위법 출산력|6|633|2|EnglishOriginal=illegitimate fertility rate}}) 은 위법적으로 출생한 아이의 수({{RefNumber|61|0|4}})를 미혼, 사별, 이혼한 여자의 인구 수로 나눈 것이다. {{TextTerm|전체 출산률|7|633|EnglishOriginal=overall fertility rate}}은 출생의 위법 여부({{RefNumber|61|0|1}})나 그 부모의 배우자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TextTerm|총 출생률|8|633|EnglishOriginal=general fertility rate}} 은 출생 수를 배우자 관계없이 모든 재생산 나이의 여자 인구로 나눈 것이다. 이 비율을 더 좁은 연령 범위로 한정하면 (보통 1년 또는 5년) {{TextTerm|연령별 출산력|9|633|EnglishOriginal=age-specific birth rate}}({{TextTerm|연령별 출생율|9|633|2}})이라고 부를 수 있다.
{{Note|1| In many expressions used in this and following paragraphs, {{NoteTerm|birth rate}} is used synonymously with fertility rate.}}
+
{{Note|1| 이후의 절에서도, {{NoteTerm|출생률}} 과 출산율은 종종 동의어로 쓰인다.}}
{{Note|5| {{NoteTerm|Marital fertility}} or {{NoteTerm|legitimate fertility}}: the fertility of married persons (see {{RefNumber|63|5|1}}).}}
 
{{Note|6| {{NoteTerm|Non-marital fertility}} or {{NoteTerm|illegitimate fertility}}: the fertility of unmarried persons.}}
 
  
 
=== 634 ===
 
=== 634 ===
  
{{TextTerm|출생순위별 출산율 |1|634|IndexEntry=order-specific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order-specific}}은 출생 순위를 여성의 수, 결혼의 수, 이전 출산의 수와 관계지어 계산하는 것이다. {{TextTerm|출산순위별 출산율|2|634|IndexEntry=parity-specific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fertility rate,birth rates, parity-specific}} 은 특정 출산 순위를 제한 할 뿐만 아니라 분모를 {{NonRefTerm|순위}} ({{RefNumber|61|1|6}}) {{NonRefTerm|위험}} ({{RefNumber|13|4|2}})이 있는 여성으로 한정한 것이다. 그런 비율은 연령별 또는 결혼 기간별로 계산되는 것이 보통이다. {{TextTerm|특정 출산순위별 확률|3|634|IndexEntry=parity-specific birth probability|OtherIndexEntry=birth probability, parity-specific}}의 분자는 일정 기간동안 x + 1년의 출생아이고, 분모는 그 기간 초의 여자 인구 x명이 사용된다.
+
{{TextTerm|출생순위별 출산율 |1|634|EnglishEntry=order-specific fertility rates|}} 은 출생 순위를 여성, 결혼, 이전 출산의 수와 관계지어 계산하는 것이다. {{TextTerm|출산순위별 출산율|2|634|EnglishOriginal=parity-specific fertility rate,birth rates}} 은 특정 출산 순위를 제한 할 뿐만 아니라 분모를 {{NonRefTerm|순위}} ({{RefNumber|61|1|6}}) {{NonRefTerm|위험}} ({{RefNumber|13|4|2}})이 있는 여성으로 한정하는데, 그런 비율은 연령별이나 결혼 기간별로 계산되는 것이 보통이다. {{TextTerm|특정 출산순위별 확률|3|634|EnglishOriginal=parity-specific birth probability}}의 분자는 일정 기간동안 x + 1년의 출생아이고, 분모는 그 기간 초의 여자 인구 x명이다.
  
 
=== 635 ===
 
=== 635 ===
  
{{TextTerm|결혼출산력|1|635|OtherIndexEntry=출산력, 결혼}}은 모에 의한 {{NonRefTerm|결혼 코호트}} ({{RefNumber|11|6|2}})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extTerm|결혼 지속 기간별 출산율|2|635|IndexEntry=rate, marriage duration-specific, fertility|OtherIndexEntry=duration-specific fertility rate, marriage}}이 {{TextTerm|연령별 결혼 출산율|3|635|IndexEntry=age-specific marital fertility rate|OtherIndexEntry=marital fertility rate, age-specific}}보다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
{{TextTerm|결혼출산력|1|635|OtherIndexEntry=출산력, 결혼|EnglishEntry=marital fertility|}} 은 모에 의한 {{NonRefTerm|결혼 코호트}} ({{RefNumber|11|6|2}})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extTerm|결혼 지속 기간별 출산율|2|635|EnglishOriginal=marriage duration-specific fertility rate}}이 {{TextTerm|연령별 결혼 출산율|3|635|EnglishOriginal=age-specific marital fertility rate}}보다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 636 ===
 
=== 636 ===
  
{{TextTerm|코호트 출산율|1|636}}은 특정 출생 혹은 결혼 코호트({{RefNumber|11|6|2}})의 재생산 수행정도를 나타낸다. 연령별 혹은 결혼지속 기간별 출산율은 코호트가 위험에 노출되는 시작부터 나중까지 더한 것으로 {{TextTerm|누적출산율|2|636|OtherIndexEntry=fertility, cumulative}}이라고 부른다. {{TextTerm|완결출산력|4|636|OtherIndexEntry=fertility, completed}} 이나 {{TextTerm|생애출산력|4|636|2|OtherIndexEntry=fertility, lifetime}}은 전체 성원이 재생산 기간의 마지막에 이르렀을 때의 누적 출산율이다. The sum of the products of the fertility rates of the cohort by the probability of survival of the women to successive ages could be called the {{TextTerm|cumulative net fertility|5|636|OtherIndexEntry=net fertility, cumulative}} of the cohort.
+
{{TextTerm|코호트 출산율|1|636|EnglishEntry=cohort fertility|}} 은 특정 출생 혹은 결혼 코호트({{RefNumber|11|6|2}})의 재생산 수행정도를 나타낸다. 연령별 혹은 결혼지속 기간별 출산율은 코호트가 위험에 노출되는 시작부터 나중까지 더한 것으로 {{TextTerm|누적출산율|2|636|EnglishOriginal=cumulative fertility}}이라고 부른다. {{TextTerm|완결출산력|4|636|EnglishOriginal=completed fertility}} 이나 {{TextTerm|생애출산력|4|636|2|EnglishOriginal=lifetime fertility}}은 전체 성원이 재생산 기간의 마지막에 이르렀을 때의 누적 출산율이다. 여성인구의 생존확률에 의한 코호트 출산율의 합은 코호트의 {{TextTerm|순 누적 출산율|5|636|EnglishOriginal=cumulative net fertility}} 로 부른다.
{{Note|4| Before the end of the reproductive period, the terms incomplete fertility or fertility to date are employed to show that the cohort’s cumulative fertility may be expected to increase.}}
+
{{Note|4| 재생산기간이 끝나기 전에 코호트의 누적된 출산력 증가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로 미완결출산력 또는 현재출산력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 637 ===
 
=== 637 ===
  
Censuses and surveys may provide information on fertility when they include questions on the number of children born to enumerated women or couples, either during the {{TextTerm|current marriage|1|637|OtherIndexEntry=marriage, current}}, or overall. The {{TextTerm|mean number of children ever born per woman|2|637|OtherIndexEntry=children ever born per woman, mean number of}} or {{TextTerm|average parity|2|637|2|OtherIndexEntry=parity, average}} can be computed. The number of children per couple is sometimes called {{TextTerm|average family size|3|637|OtherIndexEntry=family size, averag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TextTerm|mean number of births per marriage|4|637|OtherIndexEntry=births per marriage, mean number of}}.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extTerm|marriages of completed fertility|5|637|IndexEntry=marriage of completed fertility MARRIAGE of completed fertility}}, those in which the wife had reached the end of the reproductive years before the marriage was dissolved. The {{TextTerm|final parity|6|637|OtherIndexEntry=parity, final}} or {{TextTerm|completed parity|6|637|2|OtherIndexEntry=parity, completed}}, i.e., the mean number of children per woman past the childbearing age, is not very different from {{NonRefTerm|completed fertility}} ({{RefNumber|63|6|4}}). The tabulation of final parity or completed fertility by number of children serves to compute series of {{TextTerm|parity progression ratios|7|637|IndexEntry=parity progression ratio|OtherIndexEntry=ratio, parity progression}}; these are fractions whose denominator is the number of women with {{NonRefTerm|n}} children, and whose numerator is the number of women with {{NonRefTerm|n}} + 1 children. Special studies yield information on {{TextTerm|family formation|8|637|OtherIndexEntry=formation, family}} and the {{TextTerm|family life cycle|8|637|2|OtherIndexEntry=cycle, family life}}. Among those, {{NonRefTerm|birth intervals}} ({{RefNumber|61|2|1}}) and the {{TextTerm|age at the birth of the last child|10|637|OtherIndexEntry=birth of the last child, age at}} for women of completed fertility are of particular interest.
+
센서스나 표본 조사는 질문을 통해 여성 또는 부부가 {{TextTerm|현재 결혼|1|637|EnglishOriginal=current marriage}}에서 낳았거나 조사시점까지 낳은 모든 출생아 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TextTerm|여자 1인당 평균(과거)출생아 수|2|637|}} 또는 {{TextTerm|평균 순위|2|637|2|EnglishOriginal=average parity}} 를 계산할 수 있다. 부부 1쌍당 자녀의 수는 {{TextTerm|평균 자녀의 수|3|637|EnglishOriginal=average family size}}라고 부른다. 또한 {{TextTerm|결혼당 평균 자녀 수|4|637|EnglishOriginal=mean number of births per marriage}}를 계산할 수도 있다. 결혼의 파경 이전에 아내가 재생산 기간의 끝에 도달하는 {{TextTerm|결혼 완결 출생력|5|637}}의 해석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재생산 가능한 연령이 지난 여성의 평균 자녀 수와 같은 {{TextTerm|마지막 순위|6|637|EnglishOriginal=final parity}} 또는 {{TextTerm|완결 순위|6|637|2|EnglishOriginal=completed parity}}{{NonRefTerm|완결 출산력}} ({{RefNumber|63|6|4}})과 다르지 않다. 마지막 순위 또는 완결출산력을 자녀의 수별로 집계하면, 일련의 {{TextTerm|순위출산율|7|637|EnglishEntry=parity progression ratio}}을 계산할 수 있다. 이것은 분모를 N명의 아이를 가진 여자 인구로 분자를 N+1 명의 아이를 가진 여자 인구로 계산한 것이다. 특별한 연구에서는 {{TextTerm|가족 형성|8|637|EnglishOriginal=family formation}} {{TextTerm|가족 생애주기|8|637|2|EnglishOriginal=family life cycle}}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NonRefTerm|출생 간격}} ({{RefNumber|61|2|1}}) 과 완결출산력에서 여성의 {{TextTerm|마지막 아이 출산 시 연령|10|637|EnglishOriginal=age at birth of the last child}} 이 특히 중요하다.
  
 
=== 638 ===
 
=== 638 ===
  
{{TextTerm|출산 경력|1|638|IndexEntry=fertility history|OtherIndexEntry=역사, 출산력}} or {{TextTerm|재생산 경력|1|638|2|IndexEntry=reproductive history|OtherIndexEntry=history, 재생산하는}} 은 여성 개인의 결혼, 임신, 출산, 유아 사망 등과 그 발생 날짜와 같이 재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중요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출생 경력은 표본 조사에서 자주 회상적으로 조사된다. {{TextTerm|가족 복원|1|638|3|IndexEntry=family form|OtherIndexEntry=form, family}} 은 {{NonRefTerm|역사 인구학}} ({{RefNumber|10|2|1}}), {{NonRefTerm|동태기록}} ({{RefNumber|21|1|3}})에 근거한 {{TextTerm|가족 복원|2|638|OtherIndexEntry=reconstitution, family}}에서 아이와 부부의 관계를 연결하는 것이다 . 여성의 {{TextTerm|임신 경력|3|638|OtherIndexEntry=history, pregnancy}} 또는 {{TextTerm|임신 기록|3|638|2|OtherIndexEntry=record, pregnancy}}에는 각 임신의 시작과 끝 날짜, 임신의 결과 등 자세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런 자세한 기록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NonRefTerm|가족 규모 제한}} ({{RefNumber|62|4|4}})을 두지 않았을 때의 {{TextTerm|자연출생력|4|638|OtherIndexEntry=fertility, natural}}과 같은 정보를 줄 수 있다. 또한 {{NonRefTerm|생리 주기}}({{RefNumber|62|2|2}})당 {{TextTerm|수태능력|5|638}}을 추정할 수 있다. 게다가 피임을 하지 않는 경우의 {{TextTerm|자연 수태 능력|6|638|OtherIndexEntry=fecundability, natural}}과 피임을 한 경우의 {{TextTerm|잔여 수태 능력|7|638|OtherIndexEntry=fecundability, residual}} 을 구분할 수 있다. {{TextTerm|유효수태능력|8|638|OtherIndexEntry=fecundability, effective}} 은 출생으로 귀결된 임신만을 측정한다. {{NonRefTerm|위험노출}} ({{RefNumber|61|3|1}}) 이 생기는 기간의 {{TextTerm|임신 비율|9|638|OtherIndexEntry=rate, conception}}은 피임 실행 기간동안 피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TextTerm|출산 경력|1|638|EnglishEntry=fertility histories|}} 또는 {{TextTerm|재생산 경력|1|638|2|EnglishEntry=reproductive histories|}} 은 여성 개인의 결혼, 임신, 출산, 유아 사망 등과 그 발생 날짜와 같이 재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중요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출생 경력은 표본 조사에서 자주 회상적으로 조사된다. {{TextTerm|가족 복원|1|638|3|EnglishOriginal=family form}} 은 {{NonRefTerm|역사 인구학}} ({{RefNumber|10|2|1}}), {{NonRefTerm|동태기록}} ({{RefNumber|21|1|3}})에 근거한 {{TextTerm|가족 복원|2|638|EnglishOriginal=family reconstitution}}에서 아이와 부부의 관계를 연결하는 것이다 . 여성의 {{TextTerm|임신 경력|3|638|EnglishOriginal=pregnancy history}} 또는 {{TextTerm|임신 기록|3|638|2|EnglishOriginal=pregnancy record}}에는 각 임신의 시작과 끝 날짜, 임신의 결과 등 자세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런 자세한 기록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NonRefTerm|가족 규모 제한}} ({{RefNumber|62|4|4}})을 두지 않았을 때의 {{TextTerm|자연출생력|4|638|EnglishOriginal=natural fertility}}과 같은 정보를 줄 수 있다. 또한 {{NonRefTerm|생리 주기}}({{RefNumber|62|2|2}})당 {{TextTerm|수태능력|5|638}}을 추정할 수 있다. 게다가 피임을 하지 않는 경우의 {{TextTerm|자연 수태 능력|6|638|EnglishOriginal=natural fecundability}}과 피임을 한 경우의 {{TextTerm|잔여 수태 능력|7|638|EnglishOriginal=residual fecundability}} 을 구분할 수 있다. {{TextTerm|유효수태능력|8|638|EnglishOriginal=effective fecundability}} 은 출생으로 귀결된 임신만을 측정한다. {{NonRefTerm|위험노출}} ({{RefNumber|61|3|1}}) 이 생기는 기간의 {{TextTerm|임신 비율|9|638|EnglishOriginal=conception rate}}은 피임 실행 기간동안 피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Note|1| 출생 경력은 일반적으로 살아서 태어난 아이에 한정된다.}}
 
{{Note|1| 출생 경력은 일반적으로 살아서 태어난 아이에 한정된다.}}
 
{{Note|6| 혼자 사용될 경우, 수태 능력은 자연 수태 능력을 의미한다.}}
 
{{Note|6| 혼자 사용될 경우, 수태 능력은 자연 수태 능력을 의미한다.}}
43번째 줄: 41번째 줄:
 
=== 639 ===
 
=== 639 ===
  
특정한 년도나 시기의 출산력인 {{TextTerm|기간출산력|1|639|OtherIndexEntry=fertility, period}}은 {{TextTerm|출생 일정|2|639}}을 구성하는 연령별 출산율을 합한 것으로 {{TextTerm|출산력의 합성지표|3|639|OtherIndexEntry=fertility, synthetic measure of}}이며 {{TextTerm|합계출산율|4|639|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total}} 또는 {{TextTerm|총 출산력|4|639|2|OtherIndexEntry=fertility, total}}이라고 부른다. {{TextTerm|합법적인 총출생률|5|639|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total legitimate}}, 결혼 지속 기간별 출산율의 합계, {{TextTerm|순위별합계출산율|6|639|OtherIndexEntry=fertility rate, order-specific total}}은 연령별 출산율의 합계로 구할 수 있다.{{TextTerm|결혼대비 출생|7|639|OtherIndexEntry=births to marriages, ratio}} 은 몇 년의 출생 수를 그 해의 결혼의 수 또는 그 해를 포함한 과거 결혼 수의 가중평균치로 나누어 구한다.
+
특정한 년도나 시기의 출산력인 {{TextTerm|기간출산력|1|639|EnglishEntry=period fertility}}은 {{TextTerm|출생 일정|2|639}}을 구성하는 연령별 출산율을 합한 것으로 {{TextTerm|출산력의 합성지표|3|639|EnglishOriginal=synthetic measure of fertility}}이며 {{TextTerm|합계출산율|4|639|EnglishOriginal=total fertility rate}} 또는 {{TextTerm|총 출산력|4|639|2|EnglishOriginal=total fertility}}이라고 부른다. {{TextTerm|합법적인 총출생률|5|639|EnglishOriginal=total legitimate fertility rate}}, 결혼 지속 기간별 출산율의 합계, {{TextTerm|순위별합계출산율|6|639|EnglishOriginal=order-specific total fertility rate}}은 연령별 출산율의 합계로 구할 수 있다. {{TextTerm|결혼대비 출생|7|639|EnglishOriginal=ratio births to marriages}} 은 몇 년의 출생 수를 그 해의 결혼의 수 또는 그 해를 포함한 과거 결혼 수의 가중평균치로 나누어 구한다.
{{Note|2| {{NoteTerm|출생 분포}} 또는 {{NoteTerm|출생 함수}}라고도 .}}
+
{{Note|2| {{NoteTerm|출생 분포}} 또는 {{NoteTerm|출생 함수}}라고도 한다.}}
 
{{Note|4| 이것은 ({{RefNumber|13|3|4}})의 의미의 비율이 아니다. 주어진 기간동안의 합계출산율은 1,000명의 여성이 사망을 경험하지 않고, 그 해에 관찰된 연령별 출산율에 따른다고 보는 가정하게 평생동안 낳는 아이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과거에는 합계출산율 출생아 전체 수에 포함되는 여자아이의 비율을 곱하여 얻는 {{NoteTerm|기간 총 재생산비율}} ( {{RefNumber|71|1|4}}참고)이 많았지만, 현재는 합계출산율이 기간출산력의 주요 지표로 선호되고 있다. }}
 
{{Note|4| 이것은 ({{RefNumber|13|3|4}})의 의미의 비율이 아니다. 주어진 기간동안의 합계출산율은 1,000명의 여성이 사망을 경험하지 않고, 그 해에 관찰된 연령별 출산율에 따른다고 보는 가정하게 평생동안 낳는 아이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과거에는 합계출산율 출생아 전체 수에 포함되는 여자아이의 비율을 곱하여 얻는 {{NoteTerm|기간 총 재생산비율}} ( {{RefNumber|71|1|4}}참고)이 많았지만, 현재는 합계출산율이 기간출산력의 주요 지표로 선호되고 있다. }}
 
{{Note|5| 또는 {{NoteTerm|총 배우자 출산율}}. 이 용어는 20세 이상 연령별 유배우자 출산율의 합계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사용된다.}}
 
{{Note|5| 또는 {{NoteTerm|총 배우자 출산율}}. 이 용어는 20세 이상 연령별 유배우자 출산율의 합계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사용된다.}}
50번째 줄: 48번째 줄:
 
=== 640 ===
 
=== 640 ===
  
{{NonRefTerm|임신 중절}} ({{RefNumber|60|4|2}})이 합법화된 나라에서는 {{NonRefTerm|합법적 낙태}} ({{RefNumber|60|4|4}})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있다. {{TextTerm|낙태 비율|1|640|OtherIndexEntry=rate, abortion}}은 한 인구에서 보통 1년 동안 발생하는 인공 임신 중절의 빈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낙태를 인구나 재생산 나이의 여자 인구에 관계 짓거나, 연령,패리티,기타 특성별로 계산할 수도 있다. {{TextTerm|낙태 비율|2|640|OtherIndexEntry=ratio, abortion}}동일한 기간의 {{NonRefTerm|출생}} ({{RefNumber|60|1|4}})의 숫자로 낙태 수를 나눈 것이다. {{TextTerm|평생 낙태 비율|3|640|OtherIndexEntry=abortion rate, life-time}}은 {{TextTerm|연령별 낙태 비율|4|640|IndexEntry=age-specific abortion rate}}의 합계로, 여자 1,000명당의 합성지표라고 할 수 있다.
+
{{NonRefTerm|임신 중절}} ({{RefNumber|60|4|2}})이 합법화된 나라에서는 {{NonRefTerm|합법적 임신 중절}} ({{RefNumber|60|4|4}})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있다. {{TextTerm|인공임신중절 비율|1|640|EnglishEntry=abortion rate}}은 한 인구에서 보통 1년 동안 발생하는 인공 임신 중절의 빈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인공임신중절을 인구나 재생산 나이의 여자 인구에 관계 짓거나, 연령,출산 순위,기타 특성별로 계산할 수도 있다. {{TextTerm|인공임신중절 비|2|640|EnglishOriginal=abortion ratio}}동일한 기간의 {{NonRefTerm|출생}} ({{RefNumber|60|1|4}})의 숫자로 인공임신중절 수를 나눈 것이다. {{TextTerm|평생 인공임신중절 비율|3|640|EnglishOriginal=life-time abortion rate}}은 {{TextTerm|연령별 인공임신중절 비율|4|640}}의 합계로, 여자 1,000명당의 합성지표라고 할 수 있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6일 (목) 07:39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632

일반적인 용어로 출산율(birth rate)1 은 주어진 기간동안의 (하위)인구에서 관찰되는 출생아 수를 해당기간의 인구 또는 하위 인구의 규모와 관련하여 계산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비율은 인구 1,000명 당 계산되며, 기간은 1년이 보통이다. 출산율이라는 용어가 제한없이 사용되는 경우는 조출산율(crude birth rate)2로 이는 모든 출생을 전체 인구 수로 나누어 얻을 수 있다. 총 출생률3은 출생아의 수를 기초로 하며, 가끔 후기 태아 사망을 계산하기도 한다. 합법출산율4위법출산율5 은 각각 분자를 합법 출생 및 위법 출생아로 두고, 분모를 기혼 여성 또는 미혼 여성 인구로 하여 계산한다. 그러나 보통 출생 1,000명 당 사생아 출생 수를 사용하는 위법출생비율6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인구간의 출산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인구 구조(일반적으로는 성과 연령 구조)의 차이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표준화 출생률7을 자주 사용한다. 출산력 지표로서의 여성 아이 비율8은 15~49 세 여자 인구 1,000 명당 0~4 세의 어린이 인구로 표현되는 것이 보통이며,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출산력 지표로 사용한다. 45. 때로는 적법 및 위법 출생률의 분모로 전체 인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633

출산력(fertility rate)1 은 분모를 재생산 연령(620-1)으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 분모는 정태 시기의 연앙인구를 사용하지만, 이것은 그 기간 동안 그룹의 생존 기간 또는 집단의 크기 일 수 있다. 특히, 이 비율은 여성 출산력2 으로 비율은 여성의 그룹으로 계산된다. 특정 기간 동안 일정 수의 여자가 겪게 되는 생존 기간은 여성 년수3라고 부른다. 남성 출산력4도 같은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출산율은 일반적으로 성,나이,결혼 여부와 같이 동일한 특성을 가진 인구 1,000명당 (133-4*) 작성한다. 결혼 출산력5(합법 출산력5)은 합법적으로 출생한 아이의 수 (610-3) 를 결혼한 여성의 인구 수로 나눈 것이다. 비결혼 출산력6(위법 출산력6) 은 위법적으로 출생한 아이의 수(610-4)를 미혼, 사별, 이혼한 여자의 인구 수로 나눈 것이다. 전체 출산률7은 출생의 위법 여부(610-1)나 그 부모의 배우자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총 출생률8 은 출생 수를 배우자 관계없이 모든 재생산 나이의 여자 인구로 나눈 것이다. 이 비율을 더 좁은 연령 범위로 한정하면 (보통 1년 또는 5년) 연령별 출산력9(연령별 출생율9)이라고 부를 수 있다.

  • 1. 이후의 절에서도, 출생률 과 출산율은 종종 동의어로 쓰인다.

634

출생순위별 출산율 (order-specific fertility rates)1 은 출생 순위를 여성, 결혼, 이전 출산의 수와 관계지어 계산하는 것이다. 출산순위별 출산율2 은 특정 출산 순위를 제한 할 뿐만 아니라 분모를 순위 (611-6) 위험 (134-2)이 있는 여성으로 한정하는데, 그런 비율은 연령별이나 결혼 기간별로 계산되는 것이 보통이다. 특정 출산순위별 확률3의 분자는 일정 기간동안 x + 1년의 출생아이고, 분모는 그 기간 초의 여자 인구 x명이다.

635

결혼출산력(marital fertility)1 은 모에 의한 결혼 코호트 (116-2)의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결혼 지속 기간별 출산율2연령별 결혼 출산율3보다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636

코호트 출산율(cohort fertility)1 은 특정 출생 혹은 결혼 코호트(116-2)의 재생산 수행정도를 나타낸다. 연령별 혹은 결혼지속 기간별 출산율은 코호트가 위험에 노출되는 시작부터 나중까지 더한 것으로 누적출산율2이라고 부른다. 완결출산력4 이나 생애출산력4은 전체 성원이 재생산 기간의 마지막에 이르렀을 때의 누적 출산율이다. 여성인구의 생존확률에 의한 코호트 출산율의 합은 코호트의 순 누적 출산율5 로 부른다.

  • 4. 재생산기간이 끝나기 전에 코호트의 누적된 출산력 증가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로 미완결출산력 또는 현재출산력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637

센서스나 표본 조사는 질문을 통해 여성 또는 부부가 현재 결혼1에서 낳았거나 조사시점까지 낳은 모든 출생아 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자 1인당 평균(과거)출생아 수2 또는 평균 순위2 를 계산할 수 있다. 부부 1쌍당 자녀의 수는 평균 자녀의 수3라고 부른다. 또한 결혼당 평균 자녀 수4를 계산할 수도 있다. 결혼의 파경 이전에 아내가 재생산 기간의 끝에 도달하는 결혼 완결 출생력5의 해석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재생산 가능한 연령이 지난 여성의 평균 자녀 수와 같은 마지막 순위6 또는 완결 순위6완결 출산력 (636-4)과 다르지 않다. 마지막 순위 또는 완결출산력을 자녀의 수별로 집계하면, 일련의 순위출산율(parity progression ratio)7을 계산할 수 있다. 이것은 분모를 N명의 아이를 가진 여자 인구로 분자를 N+1 명의 아이를 가진 여자 인구로 계산한 것이다. 특별한 연구에서는 가족 형성8가족 생애주기8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출생 간격 (612-1) 과 완결출산력에서 여성의 마지막 아이 출산 시 연령10 이 특히 중요하다.

638

출산 경력(fertility histories)1 또는 재생산 경력(reproductive histories)1 은 여성 개인의 결혼, 임신, 출산, 유아 사망 등과 그 발생 날짜와 같이 재생산 과정에 있어서의 중요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다. 출생 경력은 표본 조사에서 자주 회상적으로 조사된다. 가족 복원1역사 인구학 (102-1), 동태기록 (211-3)에 근거한 가족 복원2에서 아이와 부부의 관계를 연결하는 것이다 . 여성의 임신 경력3 또는 임신 기록3에는 각 임신의 시작과 끝 날짜, 임신의 결과 등 자세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런 자세한 기록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가족 규모 제한 (624-4)을 두지 않았을 때의 자연출생력4과 같은 정보를 줄 수 있다. 또한 생리 주기(622-2)당 수태능력5을 추정할 수 있다. 게다가 피임을 하지 않는 경우의 자연 수태 능력6과 피임을 한 경우의 잔여 수태 능력7 을 구분할 수 있다. 유효수태능력8 은 출생으로 귀결된 임신만을 측정한다. 위험노출 (613-1) 이 생기는 기간의 임신 비율9은 피임 실행 기간동안 피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1. 출생 경력은 일반적으로 살아서 태어난 아이에 한정된다.
  • 6. 혼자 사용될 경우, 수태 능력은 자연 수태 능력을 의미한다.

639

특정한 년도나 시기의 출산력인 기간출산력(period fertility)1출생 일정2을 구성하는 연령별 출산율을 합한 것으로 출산력의 합성지표3이며 합계출산율4 또는 총 출산력4이라고 부른다. 합법적인 총출생률5, 결혼 지속 기간별 출산율의 합계, 순위별합계출산율6은 연령별 출산율의 합계로 구할 수 있다. 결혼대비 출생7 은 몇 년의 출생 수를 그 해의 결혼의 수 또는 그 해를 포함한 과거 결혼 수의 가중평균치로 나누어 구한다.

  • 2. 출생 분포 또는 출생 함수라고도 한다.
  • 4. 이것은 (133-4)의 의미의 비율이 아니다. 주어진 기간동안의 합계출산율은 1,000명의 여성이 사망을 경험하지 않고, 그 해에 관찰된 연령별 출산율에 따른다고 보는 가정하게 평생동안 낳는 아이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과거에는 합계출산율 출생아 전체 수에 포함되는 여자아이의 비율을 곱하여 얻는 기간 총 재생산비율 ( 711-4참고)이 많았지만, 현재는 합계출산율이 기간출산력의 주요 지표로 선호되고 있다.
  • 5. 또는 총 배우자 출산율. 이 용어는 20세 이상 연령별 유배우자 출산율의 합계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사용된다.

640

임신 중절 (604-2)이 합법화된 나라에서는 합법적 임신 중절 (604-4)에 대한 통계를 낼 수 있다. 인공임신중절 비율(abortion rate)1은 한 인구에서 보통 1년 동안 발생하는 인공 임신 중절의 빈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인공임신중절을 인구나 재생산 나이의 여자 인구에 관계 짓거나, 연령,출산 순위,기타 특성별로 계산할 수도 있다. 인공임신중절 비2는 동일한 기간의 출생 (601-4)의 숫자로 인공임신중절 수를 나눈 것이다. 평생 인공임신중절 비율3연령별 인공임신중절 비율4의 합계로, 여자 1,000명당의 합성지표라고 할 수 있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