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8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806)
(808)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80'''-->
 
<!--'''80'''-->
{{CurrentStatus}}
+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8번째 줄: 8번째 줄:
 
=== 801 ===
 
=== 801 ===
  
{{TextTerm|공간 이동|1|801|OtherIndexEntry=mobility, spatial}} 이나 {{TextTerm|지리적 이동|1|801|2|IndexEntry=geographical mobility|OtherIndexEntry=mobility, geographical}}에 대한 연구는 개인에 의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양적인 {{TextTerm|움직임|2|801|IndexEntry=move}}에 대한 것이다.{{TextTerm|인구이동|3|801}}은 {{NonRefTerm|상주 지역}} ({{RefNumber|31|0|6}}*)의 변화에 따라 행정적 경계를 넘어 움직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동자가 떠나는 행정단위는 {{TextTerm|발생지|4|801|OtherIndexEntry=origin, place of}} 또는 {{TextTerm|출발|4|801|2|OtherIndexEntry=departure, place of}}; 이동자가 가는 단위는 {{TextTerm|목적지|5|801|OtherIndexEntry=destination, place of}} 또는 {{TextTerm|도착지|5|801|2|OtherIndexEntry=arrival, place of}}이다. 이동의 개념은 고정된 거주지가 없는 사람들의 움직임에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나라에서 {{NonRefTerm|유목민}}은 이민자의 수에서 제외되었다. In practic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migration, which implies a relatively permanent change of residence, and {{TextTerm|temporary moves|6|801|IndexEntry=temporary move|OtherIndexEntry=move, temporary}}, except on the basis of criteria of {{TextTerm|length of absence|7|801|OtherIndexEntry=absence, length of}} from the place of origin or {{TextTerm|duration of stay|8|801|OtherIndexEntry=stay, duration of}} at the place of destination. In general, geographic mobility does not include short-term trips which involve no change of usual residence, even though such moves may deserve study because of their economic and social importance. {{TextTerm|Commuting|9|801}} involves the daily or weekly journey from place of residence to place of work or schooling; {{TextTerm|seasonal moves|10|801|IndexEntry=seasonal move|OtherIndexEntry=move, seasonal}} ° have a yearly periodicity. {{TextTerm|Transits|11|801|IndexEntry=transit}}, which are moves across a territory to reach a destination, do not involve migration with respect to the territory crossed. {{TextTerm|Tourist traffic|12|801|OtherIndexEntry=traffic, tourist}} or {{TextTerm|vacationing|12|801|2}} also are not included in geographic mobility.
+
{{TextTerm|공간 이동|1|801|EnglishEntry=spatial mobility}} 이나 {{TextTerm|지리적 이동|1|801|2|EnglishEntry=geographical mobility}}에 대한 연구는 개인에 의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양적 {{TextTerm|움직임|2|801}}에 대한 것을 말한다. {{TextTerm|인구이동|3|801}}은 {{NonRefTerm|상주 지역}} ({{RefNumber|31|0|6}}*)의 변화에 따라 행정적 경계를 넘어 움직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동자가 떠나는 행정단위는 {{TextTerm|발생지|4|801|EnglishOriginal=place of origin}} 또는 {{TextTerm|출발지|4|801|2|EnglishOriginal=place of departure}}; 이동자가 가는 단위는 {{TextTerm|목적지|5|801|EnglishOriginal=place of destination}} 또는 {{TextTerm|도착지|5|801|2|EnglishOriginal=place of arrival}}이다. 이동의 개념은 고정된 거주지가 없는 사람들의 움직임에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NonRefTerm|유목민}}의 경우 많은 나라에서 이민자에서 제외되었다. 실제로 거주지의 영구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이동과 {{TextTerm|임시적인 움직임|6|801|EnglishOriginal=temporary move}}을 목적지의 {{TextTerm|체류기간|8|801|EnglishOriginal=duration of stay}}으로부터 출발지의 {{TextTerm|부재기간|7|801|EnglishOriginal=length of absence}}으로 판단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주 지역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NonRefTerm|단기 움직임|EnglishEntry=trip|}}은 경제적 사회적 중요성에 비추어 연구에 가치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NonRefTerm|지리적 이동|EnglishEntry=mobility|}}에 포함되지 않는다. {{TextTerm|통근 및 통학|9|801}}은 거주지에서 매일 혹은 매주 직장 및 학교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TextTerm|계절움직임|10|801||EnglishEntry=seasonal move|EnglishOriginal=seasonal move}}의 경우, 1년간의 주기를 가지고 있다. {{TextTerm|환승|11|801|EnglishEntry=transit}}은 목적지에 도달 할 수있는 영역을 가로 지르는 움직임(즉,통과하는 영역)으로 이동과 관계 없다. {{TextTerm|관광|12|801|EnglishOriginal=tourist traffic}} 이나 {{TextTerm|여행|12|801|2}} 역시 지리적 이동에 포함되지 않는다.
{{Note|1| {{NonRefTerm|공간 이동}}은{{NonRefTerm|사회적 이동}} ({{RefNumber|92|0|4}}) 이나 {{NonRefTerm|직업 이동}} ({{RefNumber|92|1|3}}).}}과는 구별된다.
+
{{Note|1| {{NonRefTerm|공간 이동}}은 {{NonRefTerm|사회적 이동}}({{RefNumber|92|0|4}})이나 {{NonRefTerm|직업 이동}} ({{RefNumber|92|1|3}})}}과는 구별된다.
{{Note|3| {{NoteTerm|이동}}, 명. - {{NoteTerm|이동하다}}, 동. - {{NoteTerm|이동자}}, 명.: 이동하는 사람, 혹은 형용사로도 쓰인다. - {{NoteTerm|이동하는}}, 형.: 이동과 관련된. 프랑스어와 달리 영어에서{{NonRefTerm|이동}}이라는 단어는 개별 움직임을 나타내며,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어떤 학자들은{{NonRefTerm|주거 이동}} ({{RefNumber|80|3|6}})도 이동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동의 움직임은 행정구역을 넘는 것으로 보고 있고, 행정구역은 {{NoteTerm|이동 단위 지역}}.}}으로 칭했다.
+
{{Note|3| 프랑스어와 달리 영어에서{{NonRefTerm|이동}}이라는 단어는 개별 움직임을 나타내며,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어떤 학자들은{{NonRefTerm|주거 이동}} ({{RefNumber|80|3|6}})도 이동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행정구역을 넘는 것을 이동으로 보고 있고, 행정구역은 {{NoteTerm|이동 단위 지역}}}}으로 칭했다.
{{Note|5| 관심의 대상이 되는 {{NonRefTerm|국제 인구 이동}}의 경우에는 {{NoteTerm|도착 국가}} 와 {{NoteTerm|수용 국가}} are appropriate when {{NonRefTerm|international migration}}로 불리는 것이 적절하다}}
+
{{Note|5| 관심의 대상이 되는 {{NonRefTerm|국제 인구 이동}}의 경우에는 {{NoteTerm|도착 국가}} 와 {{NoteTerm|수용 국가}} 로 불리는 것이 적합하다}}
{{Note|9| {{NoteTerm|통근}}, v. - {{NoteTerm|통근자}}, n.: 업무를 위해 거주지에서 일정하게 이동하는 사람.{{NoteTerm|통근 이동}}이라는 표현도 같은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Note|9| {{NoteTerm|통근 이동}}이라는 표현도 같은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Note|10| {{NoteTerm|계절 움직임}}이{{NoteTerm|계절 이동}}이라는 말보다 정확하다. 왜냐하면 이는 평소 거주지의 변화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
{{Note|10| {{NoteTerm|계절 움직임}}이 {{NoteTerm|계절 이동}}이라는 말보다 정확하다. 왜냐하면 이는 평소 거주지의 변화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 802 ===
 
=== 802 ===
  
When migration is observed over time, it is convenient to compare the {{TextTerm|place of residence at a fixed past date|1|802|IndexEntry=place of residence at a fixed date|OtherIndexEntry=fixed date, place of residence at}} or the {{TextTerm|place of last previous residence|2|802|OtherIndexEntry=last previous residence, place of}} with the {{TextTerm|place of current residence|3|802|OtherIndexEntry=current residence, place of}}. An individual whose administrative unit of residence differ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certain interval is identified as a {{TextTerm|migrant|4|802}}. Migrants may be classified as {{TextTerm|emigrants|5|802|IndexEntry=emigrant}} or {{TextTerm|out-migrants|5|802|2|IndexEntry=out-migrant}} with respect to their place of origin and as {{TextTerm|immigrants|6|802|IndexEntry=immigrant}} or {{TextTerm|in-migrants|6|802|2|IndexEntry=inmigrant}} with respect to their place of current residence. When a census or survey has included a question on {{TextTerm|previous place of residence|2|802|2|OtherIndexEntry=place of residence, previous}}, the information generated concerns in fact the {{TextTerm|latest migration|7|802|OtherIndexEntry=migration, latest}} or {{TextTerm|latest change of residence|7|802|2|OtherIndexEntry=change of residence, latest}}, whatever its date. A migrant is any individual who has had at least one prior residence in a different administrative unit from his or her current residence; such an individual can be considered to have {{TextTerm|migrated into|8|802|IndexEntry=migrate into}} the current residence, and {{TextTerm|migrated out|9|802|IndexEntry=migrate out}} of the previous one. A {{TextTerm|lifetime migrant|11|802|IndexEntry=life-time migrant|OtherIndexEntry=migrant, life-time}} is a person whose {{TextTerm|place of birth|10|802|OtherIndexEntry=birth, place of}} was in a different administrative unit from his or her current residence. In specific cases, migrants can be qualified as '''emigrants for political, religious or ethical reasons'''12, or '''immigrants for political, religious or ethical reasons'''13.
+
일정기간의 이동을 관찰 할 경우, {{TextTerm|과거시점의 거주지|1|802|EnglishOriginal=place of residence at fixed date}} 또는 {{TextTerm|전 거주지|2|802|EnglishOriginal=place of last previous residence}} {{TextTerm|현 거주지|3|802|EnglishOriginal=place of current residence}}를 비교하는 것이 편리하다. 일정 기간의 시작과 끝에 자신이 사는 행정 단위가 다른 개인은 {{TextTerm|이주자|4|802}}로 정의된다. 이주자는 이전 거주지에 관해서는{{TextTerm|출국이민자|5|802}} 또는 {{TextTerm|전출이민자|5|802|2}}이며 현재 거주지에 대해서는 {{TextTerm|입국이민자|6|802}} 또는 {{TextTerm|전입이민자|6|802|2}}로 구분된다. 센서스 또는 조사가 {{TextTerm|전 거주지|2|802|2|EnglishOriginal=previous place of residence}}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경우, 이동의 시기는 다르지만 {{TextTerm|최근의 이동|7|802|EnglishOriginal=latest migration}} 또는 {{TextTerm|거주지 변화|7|802|2|EnglishOriginal=latest change of residence}}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주자는 현재 거주지와 행정단위가 다른 전 거주지에 적어도 한 번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개인은 현재 거주지에 {{TextTerm|유입된|8|802}} 현재 거주자이며 이전 거주지에서 {{TextTerm|유출된|9|802}}사람을 말한다. {{TextTerm|평생이주자|11|802|EnglishOriginal=life-time migrant}} {{TextTerm|출생지|10|802|EnglishOriginal=place of birth}} 가 현재 거주지의 행정단위와 다른 사람을 말한다. 특별한 경우, 이민자는 정치적, 종교적, 윤리적 이유를 가진 이민자로 분류하기도 한다.
{{Note|4| Strictly speaking, under this concept a migrant must have been born before the beginning of the {{NoteTerm|migration defining interval}} and must survive until the end. This definition is sometimes extended to include children born during the interval who are allocated to the place of residence of their mother at the beginning of the interval. The number of recorded migrants is not necessarily equal to the number of moves which occurred during the interval for these individuals, as any one may have moved several times in the interval, or even have returned to his previous place of residence by the time of the census or survey.}}
+
{{Note|4| 엄밀히 말하자면, 이동이라는 개념아래에서 이주자는 {{NoteTerm|이동을 정의하는 기간}}에 태어나 끝까지 생존해야 한다. 이 정의는 종종 그 기간에 태어난 아이에 확장되어 적용되는데 이 아이의 시작은 어머니의 주소에 의해 할당된다.기록된 이동자의 수는 그 기간에 발생한 움직임의 수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그 기간에 여러번 이동하거나 센서스 및 조사 이전에 거주한 사람이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Note|10| Usually the place of birth is defined as the place of usual residence of the mother at the time of the birth even though custom or the location of medical facilities may have resulted in the birth occurring elsewhere.}}
+
{{Note|10| 관습이나 의료시설의 위치에 따라 출생이 다른 곳에서 이루어졌더라도 출생지는 보통 출생할 당시 어머니의 거주지로 정의된다.}}
  
 
=== 803 ===
 
=== 803 ===
  
The population of a {{NonRefTerm|sovereign country}} ({{RefNumber|30|5|3}}) may be involved in {{TextTerm|internal migration|1|803|OtherIndexEntry=migration, internal}} when both {{NonRefTerm|place of departure}} ({{RefNumber|80|1|4}}) and {{NonRefTerm|place of destination}} ({{RefNumber|80|1|5}}) are within the country, or in {{TextTerm|international migration|2|803|OtherIndexEntry=migration, international}} which occurs {{NoteTerm|across}} national boundaries. The term {{TextTerm|external migration|3|803|OtherIndexEntry=migration, external}} is sometimes encountered in the latter sense. International migration is called {{TextTerm|immigration|4|803}} or {{TextTerm|emigration|5|803}} according to whether the country in question is the country of destination or the country of origin. When the country is divided into sub-areas, movement within the boundaries of each sub-area are {{TextTerm|local moves|6|803|IndexEntry=local move|OtherIndexEntry=move, local}} and constitute {{TextTerm|residential mobility|6|803|2|OtherIndexEntry=mobility, residential}}, while movement between sub-areas is called {{TextTerm|in-migration|7|803}} or {{TextTerm|out-migration|8|803}} depending on whether the sub-area considered is the place of destination or the place of origin for the migrants. A {{TextTerm|migration stream|9|803|OtherIndexEntry=stream, migration}} is a group of migrants having a common origin and destination. The larger stream between two sub-areas is called the {{TextTerm|dominant stream|10|803|OtherIndexEntry=stream, dominant}} and the smaller the {{TextTerm|counterstream|11|803}}.
+
{{NonRefTerm|주권국가}} ({{RefNumber|30|5|3}})의 인구는 국가내의{{NonRefTerm|출발지}} ({{RefNumber|80|1|4}}) {{NonRefTerm|도착지}} ({{RefNumber|80|1|5}})와 관련한 {{TextTerm|국내 이동|1|803|EnglishOriginal=internal migration}} 또는 국경을 초월한 경우 {{TextTerm|국제 이동|2|803|EnglishEntry=international migration}}과 관련이 있다. 후자의 의미로 {{TextTerm|국외 이동|3|803|EnglishEntry=external migration}}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국제인구이동은 초점이 되는 나라가 목적지인지 출발지인지에 따라 {{TextTerm|입국이민|4|803}} 혹은 {{TextTerm|출국이민|5|803}}으로 불린다. 국가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는데, 각 지역의 이동은 {{TextTerm|지역 내 이동|6|803|EnglishOriginal=local move}} 으로 {{TextTerm|주거이동|6|803|2|EnglishOriginal=residential mobility}}을 구성한다. 한편 지역간의 움직임은 초점이 되는 지역이 이동의 목적지인지 출발지인지에 따라  {{TextTerm|전입/유입|7|803|EnglishEntry=in-migration}} 또는 {{TextTerm|전출/유출|8|803|EnglishEntry=out-migration}}로 불린다. {{TextTerm|이동 흐름|9|803|EnglishOriginal=migration stream}}은 공통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가진 이동 집단의 흐름으로, 두 지역간의 흐름을 {{TextTerm|주이동|10|803|EnglishOriginal=dominant stream}}이라고 하고 작은 흐름을 {{TextTerm|역류|11|803}}라고 한다.
{{Note|1| The definitions of migration in this paragraph can be extended to the migrants involved. The distinction between internal and international migration is not always precise when territories within a country are more or less autonomous.}}
+
{{Note|1|이 절에서 이동의 정의는 확대해서 사용할 수 있다. 국내 이동과 국제 이동의 구분은 국내의 각 지역이 조금이라도 자치구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정확하다고 할 수 없다.}}
{{Note|2| Simple commuting across a national border receives the name of {{NoteTerm|border traffic}}, and should not be mistaken for international migration.}}
+
{{Note|2| 국경을 넘는 단순한 통근은 {{NoteTerm|국경통행}}이라 명하는데, 이는 국제이동과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Note|4| {{NoteTerm|Immigration}}, n. - {{NoteTerm|immigrate}}, v. - {{NoteTerm|immigrant}}, n. and adj.}}
 
{{Note|5| {{NoteTerm|Emigration}}, n. - {{NoteTerm|emigrate}}, v. - {{NoteTerm|emigrant}}, n. and adj.}}
 
  
 
=== 804 ===
 
=== 804 ===
  
When an individual migrates several times during a certain period, his or her moves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TextTerm|order of migration|1|804|OtherIndexEntry=migration, order of}}. The {{TextTerm|duration of residence|2|804|OtherIndexEntry=residence, duration of}} or {{TextTerm|duration of stay|2|804|2|OtherIndexEntry=stay, duration of}} refers either to the interval between the arrival in a place and the subsequent departure for another destination or to the interval since the most recent move. {{TextTerm|Return migration|3|804|OtherIndexEntry=migration, return}} involves movement back either to the initial area, or to any previous place of residence. {{TextTerm|Repeat migration|4|804|OtherIndexEntry=migration, repeat}} or {{TextTerm|chronic migration|4|804|2|OtherIndexEntry=migration, chronic}} refers to a tendency to migrate several times over a relatively short time interval. {{TextTerm|Rural-urban migration|5|804|OtherIndexEntry=migration, rural-urban}} sometimes takes the form of {{TextTerm|serial migration|6|804|OtherIndexEntry=migration, serial}}, {{TextTerm|stage migration|6|804|2|OtherIndexEntry=migration, stage}} or {{TextTerm|step migration|6|804|3}}, as migrants tend to move to large cities as a final place of destination by a series of shorter, intermediate migrations to cities or areas of successively larger size.
+
개인이 일정 기간에 여러 번 이동하는 경우, 그 움직임은 {{TextTerm|이동 순서|1|804|EnglishOriginal=order of migration}}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TextTerm|거주 기간|2|804|EnglishEntry=duration of residence}} 또는 {{TextTerm|체류 기간|2|804|2|EnglishEntry=duration of stay}}은 거주지에 도착해서 다른 목적지로의 출발까지의 기간 또는 마지막 이동의 기간을 말한다.{{TextTerm|귀환 이동|3|804|EnglishOriginal=return migration}} 은 최초의 지역 또는 이전 거주지 중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TextTerm|반복 이동|4|804|EnglishOriginal=repeat migration}} 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여러번 이동하는 경향을 말한다.{{TextTerm|도시-농촌 간 이동|5|804|EnglishOriginal=rural-urban migration}}은 이동자가 일련의 짧은 이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큰 규모의 도시와 지역으로 옮겨가고 결국 대도시에 도달하는 추세를 말한다. 이는 종종 {{TextTerm|단위이동|6|804|2|EnglishOriginal=stage migration}} 또는{{TextTerm|단계이동|6|804|3}},의 형태를 취한다.
{{Note|3| Individuals involved in return migration are called {{NoteTerm|return migrants}}.}}
+
{{Note|3| 귀환 이동은 U-턴 이동이라고도 하며, 귀환 이동을 하는 개인은 {{NoteTerm|귀환이동자}}라고 부른다.}}
{{Note|4| When repeat migration involves moving to new areas, some authors talk of {{NoteTerm|secondary migration}} and of {{NoteTerm|secondary migrants}}, in contrast to {{NoteTerm|primary migration}} which involves first order or {{NoteTerm|primary migrants}}. This is a source of confusion, since these terms usually take the meaning of {{RefNumber|80|6|4}}.}}
+
{{Note|4| 반복 이동이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 갈 때, 일부 학자들은 {{NoteTerm|처음 이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NoteTerm|2차 이동}} {{NoteTerm|2차 이동자}}라고 부른다. 이 용어는 보통 2차 이동({{RefNumber|80|6|4}})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 805 ===
 
=== 805 ===
  
The contribution of {{NonRefTerm|migration}} ({{RefNumber|80|1|3}}) to overall {{NonRefTerm|population growth}} ({{RefNumber|70|1|1}}) is due to {{TextTerm|net migration|2|805|OtherIndexEntry=migration, net}}, i.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TextTerm|arrivals|3|805|IndexEntry=arrival}} and the number of {{TextTerm|departures|4|805|IndexEntry=departure}}. Net migration can have a negative or a positive sign; {{TextTerm|net immigration|5|805|OtherIndexEntry=immigration, net}} or {{TextTerm|net in-migration|5|805|2|OtherIndexEntry=in-migration, net}} is used when arrivals exceed departures, and {{TextTerm|net emigration|6|805|OtherIndexEntry=emigration, net}} or {{TextTerm|net out-migration|6|805|2|OtherIndexEntry=out-migration, net}} when the opposite is true. The sum of arrivals and departures in a country can be used to measure the {{TextTerm|volume of migration|7|805|OtherIndexEntry=migration, volume of}}. A similar concept, applied to sub-areas of a country, is the migration {{TextTerm|turnover|8|805}}. The {{TextTerm|net stream|9|805|OtherIndexEntry=stream, net}} or {{TextTerm|net interchange|9|805|2|OtherIndexEntry=interchange, net}} of migration between two areas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nRefTerm|stream}} ({{RefNumber|80|3|9}}) and the {{NonRefTerm|counterstream}} ({{RefNumber|80|3|11}}), whereas the gross {{TextTerm|interchange|10|805|IndexEntry=gross interchange|OtherIndexEntry=interchange, gross}} is the sum of stream and counterstream.
+
{{NonRefTerm|인구증가}} ({{RefNumber|70|1|1}}) 전체에 {{NonRefTerm|이동}} ({{RefNumber|80|1|3}})이 기여하는 부분은 {{TextTerm|순 이동|2|805|EnglishEntry=net migration}}으로 {{TextTerm|유출수|3|805}}{{TextTerm|유입수|4|805}}의 차이를 통해 알 수 있다. 순이동은 양 또는 음의 부호를 가지며 유입이 유출을 초과하면 {{TextTerm|유입 이민|5|805|EnglishOriginal=net immigration}} 또는 {{TextTerm|순유입이민|5|805|2|EnglishOriginal=net in-migration}} 초과라고 하며 그 반대의 경우{{TextTerm|유출 이민|6|805|EnglishOriginal=net emigration}} 또는 {{TextTerm|순 유출 이민|6|805|2|EnglishOriginal=net out-migration}}초과라고 한다. 국가의 {{TextTerm|이동 총량|7|805|EnglishOriginal=volume of migration}}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입의 수와 유출의 수가 사용된다. 같은 개념을 국내 지역에 적용한 것을 {{TextTerm|총 이동량|8|805}}이라고 하는데, 두 지역간의 {{TextTerm|순 이동류|9|805|EnglishOriginal=net stream}}{{NonRefTerm|주류}}({{RefNumber|80|3|9}}){{NonRefTerm|역류}} ({{RefNumber|80|3|11}})의 차이로 정의되며,{{TextTerm|총 이동류|10|805|EnglishOriginal=gross interchange}}는 주류({{RefNumber|80|3|10}})와 역류({{RefNumber|80|3|11}})의 합으로 계산된다.
{{Note|2| This may also be called the {{NoteTerm|balance of migration}} or the {{NoteTerm|migration balance}}. Terms such as "net migrant" should be avoided, and phrases such as the {{NoteTerm|net number of migrants}} should be preferred.}}
+
{{Note|2| 이것은 {{NoteTerm|이동의 차이}} 또는 {{NoteTerm|이동의 증감}}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순 이동자"라는 용어 대신  {{NoteTerm|순 이동자 수}}라는 용어가 더욱 바람직하다.}}
  
 
=== 806 ===
 
=== 806 ===
  
{{TextTerm|자발적 이동|1|806|OtherIndexEntry=migration, spontaneous}}, {{TextTerm|임의적 이동|1|806|2|OtherIndexEntry=migration, voluntary}} 또는 {{TextTerm|자유 이동|1|806|3|OtherIndexEntry=migration, free}}은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결과이다. 약속된 행동이 아니라면 그 이동은 {{TextTerm|개인 이동|2|806|OtherIndexEntry=migration, individual}}이라고 한다. 가족 구성원이 함께 움직일 때에, {{TextTerm|가족 이동|3|806|OtherIndexEntry=migration, free}}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TextTerm|2차적 이동|4|806|OtherIndexEntry=migration, secondary}} 또는 {{TextTerm|수반 이동|4|806|2|OtherIndexEntry=migration, ancillary}}은 아이가 가족의 방향에 따르는 경우처럼 다른 사람의 이동에 기인한 것이다. 노동자와 노동구성원이 고용기회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TextTerm|노동 이동|5|806|OtherIndexEntry=migration, labor}}이라고 한다. 결혼이나 개인의 은퇴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TextTerm|결혼이동|6|806|OtherIndexEntry=migration, marriage}} 또는 {{TextTerm|은퇴 이동|7|806|OtherIndexEntry=migration, retirement}}이라고 부른다. {{NewTextTerm|연쇄이동|8|806}} 혹은 {{NewTextTerm|연고이동|8|806}} 은 이미 주거를 두고 정보와 지원을 주는 {{NonRefTerm|친척}} ({{RefNumber|11|4|3}}*)이나 친구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
{{TextTerm|자발적 이동|1|806|EnglishOriginal=spontaneous migration}}, {{TextTerm|임의적 이동|1|806|2|EnglishOriginal=voluntary migration}} 또는 {{TextTerm|자유 이동|1|806|3|EnglishEntry=free migration}}은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결과이다. 약속된 행동이 아닐 경우의 이동은 {{TextTerm|개인 이동|2|806|EnglishOriginal=individual migration}}이라고 하고, 가족 구성원이 함께 움직일 때에는 {{TextTerm|가족 이동|3|806|EnglishOriginal=free migr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TextTerm|2차적 이동|4|806|EnglishOriginal=secondary migration}} 이나 {{TextTerm|수반 이동|4|806|2|EnglishOriginal=ancillary migration}}은 아이가 가족의 방향에 따르는 경우처럼 다른 사람의 이동에 기인한 것이다. 노동자와 노동구성원이 고용기회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TextTerm|노동 이동|5|806|EnglishOriginal=labor migration}}이라고 하고, 결혼이나 개인의 은퇴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TextTerm|결혼이동|6|806|EnglishOriginal=marriage migration}} 또는 {{TextTerm|은퇴 이동|7|806|EnglishOriginal=retirement migration}}이라고 부른다. {{TextTerm|연쇄이동|8|806}} 이나 {{TextTerm|연고이동|8|806}} 은 이미 주거를 두고 정보와 지원을 주는 {{NonRefTerm|친척}} ({{RefNumber|11|4|3}}*)이나 친구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Note|4| 가끔 용어가 달리 사용되기도 한다(cf. {{RefNumber|80|4|4}}*), a {{NoteTerm|주요 이동자}}는 실제로 이동 결정을 하는 사람이며,{{NoteTerm|2차적 이동자}}는 작은 아이처럼 다른 사람에 따라 이동하는 사람이다.
+
{{Note|4| 가끔 용어가 달리 사용되기도 한다(. {{RefNumber|80|4|4}}*)}}, {{NoteTerm|주요 이동자|}}는 실제로 이동 결정을 하는 사람이며,{{NoteTerm|2차적 이동자|}}는 어린 아이처럼 다른 사람을 따라 이동하는 사람이다.
  
 
=== 807 ===
 
=== 807 ===
  
개인이나 가족이 함께 이동하려는 경우 {{TextTerm|단체 이동|1|807|OtherIndexEntry=migration, collective}} 또는 {{TextTerm|집단 이동|1|807|2|OtherIndexEntry=migration, group}}이라고 칭한다. {{TextTerm|대규모 이동|2|807|OtherIndexEntry=migration, mass}} 에는 다수의 이동자가 포함된다.{{TextTerm|집단 탈출|3|807}}이라는 단어는 비상사태의 발생이나 위기 상황에 따른 돌발적인 대량 이동일 경우 사용된다.
+
개인이나 가족이 함께 이동하려는 경우 {{TextTerm|단체 이동|1|807|EnglishOriginal=collective migration}} 또는 {{TextTerm|집단 이동|1|807|2|EnglishOriginal=group migration}}이라고 칭한다. {{TextTerm|대규모 이동|2|807|EnglishEntry=mass migration}} 에는 다수의 이동자가 포함된다.{{TextTerm|집단 탈출|3|807}}이라는 단어는 비상사태의 발생이나 위기 상황에 따른 돌발적인 대량 이동일 경우 사용된다.
  
 
=== 808 ===
 
=== 808 ===
  
{{NonRefTerm|자발적 이동}} ({{RefNumber|80|6|1}})은 {{TextTerm|강제이동|1|808|OtherIndexEntry=migration, forced}}과 대비된다. 강제이동은 공권력에 의해 개인이 이동하도록 강요받는 경우를 말한다.{{TextTerm|송환|2|808}}은 출신국에 강제 귀국할 때 적용된다. 강제 이동의 또 다른 예는 개인이나 집단의 거주지에서 {{TextTerm|추방|3|808}}당하는 것이 있다. {{TextTerm|대피(피난)|4|808}}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진, 홍수, 전쟁과 같은 어떤 파국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국민 모두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TextTerm|난민|5|808}}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의지로 이동한 사람이지만,그 이동은 자신의 출신 국가에 머물 것으로 박해 될 우려가 있다는 강한 압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A {{TextTerm|강제추방자|6|808|OtherIndexEntry=person, displaced}}는 원위치에서 공권력에 의해 이동한 사람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대규모 {{TextTerm|인구 이송|7|808|OtherIndexEntry=population, displacement of}} 또는 {{TextTerm|인구 전송|7|808|2|OtherIndexEntry=transfer, population}}, 또는 {{TextTerm|인구 교환|8|808|OtherIndexEntry=exchange, population}}의 결과일 수 있다.
+
{{NonRefTerm|자발적 이동}} ({{RefNumber|80|6|1}})은 공권력에 의해 개인이 이동하도록 강요받는 {{TextTerm|강제이동|1|808|EnglishOriginal=forced migration}}과 대비된다. 강제 이동 중, {{TextTerm|송환|2|808}}은 출신국에 강제 귀국하는 것이고, {{TextTerm|추방|3|808}}은 개인이나 집단의 거주지로부터 당하는 것이 있다. {{TextTerm|대피/피난|4|808|EnglishOriginal=evacuation}}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진, 홍수, 전쟁과 같은 어떤 파국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국민 모두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TextTerm|난민|5|808}}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의지로 이동한 사람이지만,그 이동은 자신의 출신 국가에 머물 경우, 박해될 우려가 있다는 강한 압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TextTerm|강제추방자|6|808|EnglishOriginal=displaced person}}는 원위치에서 공권력에 의해 이동한 사람으로 이러한 움직임은 대규모 {{TextTerm|인구 이송|7|808|EnglishOriginal=displacement of population}} 또는 {{TextTerm|인구 전송|7|808|2|EnglishOriginal=population transfer}}, 또는 {{TextTerm|인구 교환|8|808|EnglishOriginal=population exchange}}의 결과일 수 있다.
{{Note|2| {{NoteTerm|송환}}, 명. - {{NoteTerm|본국으로 송환하다, 동}}.}}
+
{{Note|3| {{NoteTerm|퇴각}}은 당국이 계속 거주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그 나라에서 강제적으로 추방할 때 사용된다. }}
{{Note|3| {{NoteTerm|추방}}, 명. - {{NoteTerm|추방당하다}}, 동 - {{NoteTerm|추방자}}, 명., 추방된 사람. {{NoteTerm|퇴각}}은 당국이 계속 거주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그 나라에서 강제적으로 추방할 때 사용된다.  {{NoteTerm|일축}}, 명. - {{NoteTerm|일축하다}}, 동. - {{NoteTerm|국외추방자}}, 명.}}
 
{{Note|4| {{NoteTerm|대피}}, 명. {{NoteTerm|대피하다}}, 동, - {{NoteTerm|피난민}}, 명., 피난된 사람.}}
 
  
 
=== 809 ===
 
=== 809 ===
  
이민자가 도착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은 여러 종류로 나뉜다.: 법적 시민권을 획득하는{{NonRefTerm|귀화}} ({{RefNumber|33|1|1}}), ; 이민국의 경제적 생산활동에 참여하는{{TextTerm|흡수|1|809}}, 평등하게 사회적 구조에 통합되는{{TextTerm|동화|3|809}} {{TextTerm|사회화|2|809}}는 도착지 사람들의 습관과 가치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다.
+
이민자가 도착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은 여러 종류로 나뉜다: 법적 시민권을 획득하는 {{NonRefTerm|귀화}} ({{RefNumber|33|1|1}}), ; 이민국의 경제적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TextTerm|흡수|1|809|EnglishEntry=absorption|}}, 평등하게 사회적 구조에 통합되는 {{TextTerm|동화|3|809|EnglishEntry=assimilation|}} 등으로 {{TextTerm|사회화|2|809|EnglishEntry=acculturation|}}는 도착지 사람들의 습관과 가치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다.
  
 
=== 810 ===
 
=== 810 ===
  
특별한 영토에서 온 이민자가 새로운 나라에 동화하지 못하고 그들의{{NonRefTerm|원래 지역}}의 관습을 유지하는 경우 ({{RefNumber|80|1|3}}), {{TextTerm|식민지|1|810}}라 부른다. 수용국에 이미 원주민이 있는 경우, 이것은 다른 인구와의 사이에서 {{TextTerm|공존|2|810}}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것은 (다른 인구가 한 인구에 {{TextTerm|통합|4|810}}되거나 인지하던 차이가 사라지는 {{TextTerm|융합|3|810}}으로 해결할 수 있다.{{TextTerm|격리|5|810}}는 하나의 지역에서 두 개 이상의 인구가 관습이나 법률의 힘에 의한 장벽으로 나뉘어 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
특별한 영토에서 온 이민자가 새로운 나라에 동화하지 못하고 그들의{{NonRefTerm|원래 지역}}의 관습을 유지하는 경우 ({{RefNumber|80|1|3}}), {{TextTerm|식민지|1|810|EnglishEntry=colony|}}라 부른다. 수용국에 이미 원주민이 있는 경우, 이것은 다른 인구와의 사이에서 {{TextTerm|공존|2|810}}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것은 (다른 인구가 한 인구에 {{TextTerm|통합|4|810|EnglishEntry=integration|}}되거나 인지하던 차이가 사라지는 {{TextTerm|융합|3|810|EnglishEntry=fusion|}}으로 해결할 수 있다. {{TextTerm|격리|5|810|EnglishEntry=segregation|}}는 하나의 지역에서 두 개 이상의 인구가 관습이나 법률의 힘에 의한 장벽으로 나뉘어 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Note|1| {{NoteTerm|식민지}}, 명. {{NoteTerm|식민지화하다}}, 동., 식민지를 발견하여 새로운 영역에 정착을 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NoteTerm|식민지개척자}}, 명.}}
+
{{Note|5| 극단적인 경우, 그 충돌은 {{NoteTerm|집단 살상}}의 결과로 나타난다. 그것은 다른 인구를 멸종시키는 행위이다.}}
{{Note|2| {{NoteTerm|공존}}, 명.-{{NoteTerm|공존하다}}, 동.}}
 
{{Note|5| {{NoteTerm|격리}}, 명. - {{NoteTerm|격리하다}}, 동.<br />극단적인 경우, 그 충돌은{{NoteTerm|집단 살상}}의 결과로 나타난다. 그것은 다른 인구를 멸종시키는 행위이다.{{NoteTerm|명종시키다}}, 동. - {{NoteTerm|멸종}}, 명. }}
 
  
 
=== 811 ===
 
=== 811 ===
  
{{TextTerm|인구이동정책|1|811|OtherIndexEntry=policy, migration}}은 {{NonRefTerm|인구정책}} ({{RefNumber|10|5|2}})의 한 측면이다. 대부분의 국가는 그들의 {{TextTerm|이민법|2|811|IndexEntry=immigration law|OtherIndexEntry=law, immigration}}을 통해 외국인의 수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 법은 종종 특별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의 {{TextTerm|선택적 이민|3|811|OtherIndexEntry=immigration, selective}}을 제공한다. 일부 국가는  {{TextTerm|할당제|4|811|IndexEntry=quota system|OtherIndexEntry=system, quota}}를 가지고 있지만, 그 경우 이민의 수는 {{TextTerm|출신국적|5|811|OtherIndexEntry=origin, national}}의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NonRefTerm|국내인구이동}} ({{RefNumber|80|3|1}})으로 국내의 {{TextTerm|인구재분포|6|811|OtherIndexEntry=population redistribution}}에 영향을 주려는 정책은 보다 간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
{{TextTerm|인구이동정책|1|811|EnglishEntry=migration policy}}은 {{NonRefTerm|인구정책}} ({{RefNumber|10|5|2}})의 한 종류로 대부분의 국가는 그들의 {{TextTerm|이민법|2|811|EnglishOriginal=immigration law}}을 통해 외국인의 수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 법은 종종 특별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의 {{TextTerm|선택적 이민|3|811|EnglishOriginal=selective immigration}}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국가는  {{TextTerm|할당제|4|811|EnglishOriginal=quota system}}를 가지고 있지만, 그 경우 이민의 수는 {{TextTerm|출신국적|5|811|EnglishOriginal=national origin}}의 관계로 한정되어 있다.{{NonRefTerm|국내인구이동}} ({{RefNumber|80|3|1}})을 통해 국내의 {{TextTerm|인구재분포|6|811|EnglishOriginal=population redistribution}}에 영향을 주는 정책은 보다 간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center><font size=12>* * * </font></center>==

2013년 9월 22일 (일) 14:52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801

공간 이동(spatial mobility)1 이나 지리적 이동(geographical mobility)1에 대한 연구는 개인에 의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양적 움직임2에 대한 것을 말한다. 인구이동3상주 지역 (310-6*)의 변화에 따라 행정적 경계를 넘어 움직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동자가 떠나는 행정단위는 발생지4 또는 출발지4; 이동자가 가는 단위는 목적지5 또는 도착지5이다. 이동의 개념은 고정된 거주지가 없는 사람들의 움직임에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면 유목민의 경우 많은 나라에서 이민자에서 제외되었다. 실제로 거주지의 영구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이동과 임시적인 움직임6을 목적지의 체류기간8으로부터 출발지의 부재기간7으로 판단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주 지역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단기 움직임(trip)은 경제적 사회적 중요성에 비추어 연구에 가치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지리적 이동(mobility)에 포함되지 않는다. 통근 및 통학9은 거주지에서 매일 혹은 매주 직장 및 학교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계절움직임(seasonal move)10의 경우, 1년간의 주기를 가지고 있다. 환승(transit)11은 목적지에 도달 할 수있는 영역을 가로 지르는 움직임(즉,통과하는 영역)으로 이동과 관계 없다. 관광12 이나 여행12 역시 지리적 이동에 포함되지 않는다.

  • 1. 공간 이동사회적 이동(920-4)이나 직업 이동 (921-3)과는 구별된다.
  • 3. 프랑스어와 달리 영어에서이동이라는 단어는 개별 움직임을 나타내며, 복수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어떤 학자들은주거 이동 (803-6)도 이동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행정구역을 넘는 것을 이동으로 보고 있고, 행정구역은 이동 단위 지역으로 칭했다.
  • 5. 관심의 대상이 되는 국제 인구 이동의 경우에는 도착 국가수용 국가 로 불리는 것이 적합하다
  • 9. 통근 이동이라는 표현도 같은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10. 계절 움직임계절 이동이라는 말보다 정확하다. 왜냐하면 이는 평소 거주지의 변화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802

일정기간의 이동을 관찰 할 경우, 과거시점의 거주지1 또는 전 거주지2현 거주지3를 비교하는 것이 편리하다. 일정 기간의 시작과 끝에 자신이 사는 행정 단위가 다른 개인은 이주자4로 정의된다. 이주자는 이전 거주지에 관해서는출국이민자5 또는 전출이민자5이며 현재 거주지에 대해서는 입국이민자6 또는 전입이민자6로 구분된다. 센서스 또는 조사가 전 거주지2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경우, 이동의 시기는 다르지만 최근의 이동7 또는 거주지 변화7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주자는 현재 거주지와 행정단위가 다른 전 거주지에 적어도 한 번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개인은 현재 거주지에 유입된8 현재 거주자이며 이전 거주지에서 유출된9사람을 말한다. 평생이주자11출생지10 가 현재 거주지의 행정단위와 다른 사람을 말한다. 특별한 경우, 이민자는 정치적, 종교적, 윤리적 이유를 가진 이민자로 분류하기도 한다.

  • 4. 엄밀히 말하자면, 이동이라는 개념아래에서 이주자는 이동을 정의하는 기간에 태어나 끝까지 생존해야 한다. 이 정의는 종종 그 기간에 태어난 아이에 확장되어 적용되는데 이 아이의 시작은 어머니의 주소에 의해 할당된다.기록된 이동자의 수는 그 기간에 발생한 움직임의 수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그 기간에 여러번 이동하거나 센서스 및 조사 이전에 거주한 사람이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 10. 관습이나 의료시설의 위치에 따라 출생이 다른 곳에서 이루어졌더라도 출생지는 보통 출생할 당시 어머니의 거주지로 정의된다.

803

주권국가 (305-3)의 인구는 국가내의출발지 (801-4) 및 도착지 (801-5)와 관련한 국내 이동1 또는 국경을 초월한 경우 국제 이동(international migration)2과 관련이 있다. 후자의 의미로 국외 이동(external migration)3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국제인구이동은 초점이 되는 나라가 목적지인지 출발지인지에 따라 입국이민4 혹은 출국이민5으로 불린다. 국가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는데, 각 지역의 이동은 지역 내 이동6 으로 주거이동6을 구성한다. 한편 지역간의 움직임은 초점이 되는 지역이 이동의 목적지인지 출발지인지에 따라 전입/유입(in-migration)7 또는 전출/유출(out-migration)8로 불린다. 이동 흐름9은 공통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가진 이동 집단의 흐름으로, 두 지역간의 흐름을 주이동10이라고 하고 작은 흐름을 역류11라고 한다.

  • 1. 이 절에서 이동의 정의는 확대해서 사용할 수 있다. 국내 이동과 국제 이동의 구분은 국내의 각 지역이 조금이라도 자치구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 경우에는 정확하다고 할 수 없다.
  • 2. 국경을 넘는 단순한 통근은 국경통행이라 명하는데, 이는 국제이동과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804

개인이 일정 기간에 여러 번 이동하는 경우, 그 움직임은 이동 순서1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거주 기간(duration of residence)2 또는 체류 기간(duration of stay)2은 거주지에 도착해서 다른 목적지로의 출발까지의 기간 또는 마지막 이동의 기간을 말한다.귀환 이동3 은 최초의 지역 또는 이전 거주지 중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반복 이동4 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여러번 이동하는 경향을 말한다.도시-농촌 간 이동5은 이동자가 일련의 짧은 이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큰 규모의 도시와 지역으로 옮겨가고 결국 대도시에 도달하는 추세를 말한다. 이는 종종 단위이동6 또는단계이동6,의 형태를 취한다.

  • 3. 귀환 이동은 U-턴 이동이라고도 하며, 귀환 이동을 하는 개인은 귀환이동자라고 부른다.
  • 4. 반복 이동이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 갈 때, 일부 학자들은 처음 이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2차 이동2차 이동자라고 부른다. 이 용어는 보통 2차 이동(806-4)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805

인구증가 (701-1) 전체에 이동 (801-3)이 기여하는 부분은 순 이동(net migration)2으로 유출수3유입수4의 차이를 통해 알 수 있다. 순이동은 양 또는 음의 부호를 가지며 유입이 유출을 초과하면 유입 이민5 또는 순유입이민5 초과라고 하며 그 반대의 경우유출 이민6 또는 순 유출 이민6초과라고 한다. 국가의 이동 총량7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입의 수와 유출의 수가 사용된다. 같은 개념을 국내 지역에 적용한 것을 총 이동량8이라고 하는데, 두 지역간의 순 이동류9주류(803-9)와 역류 (803-11)의 차이로 정의되며,총 이동류10는 주류(803-10)와 역류(803-11)의 합으로 계산된다.

  • 2. 이것은 이동의 차이 또는 이동의 증감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순 이동자"라는 용어 대신 순 이동자 수라는 용어가 더욱 바람직하다.

806

자발적 이동1, 임의적 이동1 또는 자유 이동(free migration)1은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선택에 의한 결과이다. 약속된 행동이 아닐 경우의 이동은 개인 이동2이라고 하고, 가족 구성원이 함께 움직일 때에는 가족 이동3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2차적 이동4 이나 수반 이동4은 아이가 가족의 방향에 따르는 경우처럼 다른 사람의 이동에 기인한 것이다. 노동자와 노동구성원이 고용기회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노동 이동5이라고 하고, 결혼이나 개인의 은퇴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결혼이동6 또는 은퇴 이동7이라고 부른다. 연쇄이동8 이나 연고이동8 은 이미 주거를 두고 정보와 지원을 주는 친척 (114-3*)이나 친구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 4. 가끔 용어가 달리 사용되기도 한다(예. 804-4*), 주요 이동자는 실제로 이동 결정을 하는 사람이며,2차적 이동자는 어린 아이처럼 다른 사람을 따라 이동하는 사람이다.

807

개인이나 가족이 함께 이동하려는 경우 단체 이동1 또는 집단 이동1이라고 칭한다. 대규모 이동(mass migration)2 에는 다수의 이동자가 포함된다.집단 탈출3이라는 단어는 비상사태의 발생이나 위기 상황에 따른 돌발적인 대량 이동일 경우 사용된다.

808

자발적 이동 (806-1)은 공권력에 의해 개인이 이동하도록 강요받는 강제이동1과 대비된다. 강제 이동 중, 송환2은 출신국에 강제 귀국하는 것이고, 추방3은 개인이나 집단의 거주지로부터 당하는 것이 있다. 대피/피난4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진, 홍수, 전쟁과 같은 어떤 파국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국민 모두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난민5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의지로 이동한 사람이지만,그 이동은 자신의 출신 국가에 머물 경우, 박해될 우려가 있다는 강한 압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강제추방자6는 원위치에서 공권력에 의해 이동한 사람으로 이러한 움직임은 대규모 인구 이송7 또는 인구 전송7, 또는 인구 교환8의 결과일 수 있다.

  • 3. 퇴각은 당국이 계속 거주가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그 나라에서 강제적으로 추방할 때 사용된다.

809

이민자가 도착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은 여러 종류로 나뉜다: 법적 시민권을 획득하는 귀화 (331-1), ; 이민국의 경제적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흡수(absorption)1, 평등하게 사회적 구조에 통합되는 동화(assimilation)3 등으로 사회화(acculturation)2는 도착지 사람들의 습관과 가치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다.

810

특별한 영토에서 온 이민자가 새로운 나라에 동화하지 못하고 그들의원래 지역의 관습을 유지하는 경우 (801-3), 식민지(colony)1라 부른다. 수용국에 이미 원주민이 있는 경우, 이것은 다른 인구와의 사이에서 공존2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것은 (다른 인구가 한 인구에 통합(integration)4되거나 인지하던 차이가 사라지는 융합(fusion)3으로 해결할 수 있다. 격리(segregation)5는 하나의 지역에서 두 개 이상의 인구가 관습이나 법률의 힘에 의한 장벽으로 나뉘어 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 5. 극단적인 경우, 그 충돌은 집단 살상의 결과로 나타난다. 그것은 다른 인구를 멸종시키는 행위이다.

811

인구이동정책(migration policy)1인구정책 (105-2)의 한 종류로 대부분의 국가는 그들의 이민법2을 통해 외국인의 수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 법은 종종 특별한 특성을 가진 사람들의 선택적 이민3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국가는 할당제4를 가지고 있지만, 그 경우 이민의 수는 출신국적5의 관계로 한정되어 있다.국내인구이동 (803-1)을 통해 국내의 인구재분포6에 영향을 주는 정책은 보다 간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