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인구학사전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이용바랍니다. The Demopaedia team will be present at the next International Population Conference in Busan.
If you attend the conference, please, come to our oral communication which will be held on Tuesday August 27, from 15:30 to 17:00 (Bexco, room 213). The new Korean dictionary will also be presented in a side meeting organized by the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PPFK) on "Population Issues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pen to all) at 19:00 (Bexco, room 110).

다국어인구학사전, 두 번째 통합본, 한국어판

"8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emopæd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819)
(819)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81'''-->
 
<!--'''81'''-->
{{CurrentStatus}}
+
 
 
{{Unmodified edition II}}
 
{{Unmodified edition II}}
 
{{Summary}}
 
{{Summary}}
8번째 줄: 8번째 줄:
 
=== 812 ===
 
=== 812 ===
  
{{TextTerm|Migration statistics|1|812|OtherIndexEntry=statistics, migration}} are compiled to reveal the volume of migration, the direction of migratory mo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s. The accuracy with which each of these kinds of facts is ascertained depends upon the method of compilation, as most migration statistics consists of approximations and estimates rather than precise measurements. {{TextTerm|Direct measurement of migration|2|812|OtherIndexEntry=measurement of migration, direct}} requires a system of recording movements as they occur. The most complete migration statistics are developed from population registers in which all changes of residence are recorded. They allow measurement of internal and of international migration, but are more satisfactory for the former than for the latter. In countries where these population registers do not exist, a certain number of administrative record systems which do not cover the entire population can be used for particular purposes. Thus, {{TextTerm|voter registration records|3|812|IndexEntry=voter registration record|OtherIndexEntry=record, voter registration}}, {{TextTerm|social security records|4|812|IndexEntry=social security record|OtherIndexEntry=record, social security}} or {{TextTerm|tax-payers records|5|812|IndexEntry=tax-payer record|OtherIndexEntry=record, tax-payer}} may yield information on internal migration. In the case of overseas migration, statistics may be based on {{TextTerm|passenger lists|7|812|IndexEntry=passenger list|OtherIndexEntry=list, passenger}} or {{TextTerm|manifests|7|812|2|IndexEntry=manifest}} of ships and aircraft. Counts of persons crossing a political frontier yield only very crude data; most of all in areas with much {{NonRefTerm|frontier traffic}} ({{RefNumber|80|3|2}}*) special steps must be taken to distinguish migrants from {{TextTerm|travellers|8|812|IndexEntry=traveller}}, who do not change their place of residence, and persons in {{NonRefTerm|transit}} {{RefNumber|80|1|11}}). The number of {{TextTerm|visas|9|812|IndexEntry=visa}} or {{TextTerm|entry permits|9|812|2|IndexEntry=entry permit|OtherIndexEntry=permit, entry}} granted and the number of {{TextTerm|residence permits|10|812|IndexEntry=residence permit|OtherIndexEntry=permit, residence}} or {{TextTerm|labor permits|11|812|IndexEntry=labor permit|OtherIndexEntry=permit, labor}} issued may also be used as an indication of the migration of foreign nationals.
+
{{TextTerm|인구이동통계|1|812|EnglishEntry=migration statistics}}는 인구 이동의 양, 이동 방향, 이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다. 이동 통계의 대부분은 정확한 측정이 아닌 대략적인 추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료의 정확도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TextTerm|이동의 직접적인 측정|2|812|EnglishOriginal=direct measurement of migration}}은 이동이 발생했을 때 이를 기록하는 제도를 필요로 한다. 가장 완전한 이동 통계는 모든 거주지 변경을 기록하는 인구기록대장을 통해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이동 및 국제 이동을 측정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자가 후자보다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인구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는 한정된 목적으로,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하지 않은 일부 행정 기록을 이동 자료로 사용할 수있다. {{TextTerm|유권자 등록|3|812|EnglishOriginal=voter registration record}}, {{TextTerm|사회보장 기록|4|812|EnglishOriginal=social security record}} 또는 {{TextTerm|납세 기록|5|812|EnglishOriginal=tax-payer record}}에서 국내 이동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국제이동의 경우, 선박과 비행기의 {{TextTerm|승객명단|7|812|EnglishOriginal=passenger list}} 또는 {{TextTerm|적하목록|7|812|2}}을 기반으로 통계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이 통계는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지역 대부분의{{NonRefTerm|국경교통}} ({{RefNumber|80|3|2}}*)에서는 거주지를 변경하지 않는 {{TextTerm|여행객|8|812}} {{NonRefTerm|환승}} {{RefNumber|80|1|11}}객과 구분하기 위하여 특별한 절차를 요구한다. {{TextTerm|비자|9|812}},{{TextTerm|입국 허가|9|812|2|EnglishOriginal=entry permit}},{{TextTerm|거주허가증|10|812|EnglishOriginal=residence permit}} {{TextTerm|노동허가증|11|812|EnglishOriginal=labor permit}}의 수는 외국인의 유입이민을 나타내는 것으로 통계에 이용할 수 있다.
{{Note|8| {{NoteTerm|Traveller}}, n. - {{NoteTerm|travel}}, v. - {{NoteTerm|travel}}, n.: the process of travelling.}}
+
{{Note|9| 해외를 여행하고 싶은 주민은 {{NoteTerm|출국 허가}}를 받거나 {{NoteTerm|출국 비자}}를 취득해야 하며, 이는 이동경로정보의 출처로 기록되어 진다}}
{{Note|9| In certain countries residents who wish to travel abroad are required to obtain {{NoteTerm|exit permits}} or {{NoteTerm|exit visas}}, records of which may serve as a source of information on migratory movements.}}
 
  
 
=== 813 ===
 
=== 813 ===
  
Information collected in censuses and surveys allows the development of {{TextTerm|statistics on migrants|1|813|OtherIndexEntry=migrants, statistics on}}. Depending on the questions asked, these usually include {{TextTerm|statistics on in-migrants|2|813|OtherIndexEntry=in-migrants, statistics on}}, {{TextTerm|statistics on out-migrants|2|813|2|OtherIndexEntry=out-migrants, statistics on}} and {{TextTerm|place-of-birth statistics|3|813|OtherIndexEntry=statistics, place-of-birth}}. This approach has limits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migration; emigrants cannot be studied, whereas immigrants are known, whatever their country of origin.
+
 
 +
{{TextTerm|이동통계|1|813|EnglishEntry=statistics on migrants}}는 센서스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서 얻을 수 있다. 설문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TextTerm|전입자통계|2|813|EnglishOriginal=statistics on in-migrants}}, {{TextTerm|전출자통계|2|813|2|EnglishOriginal=statistics on out-migrants}} {{TextTerm|출생지통계|3|813|EnglishOriginal=place-of-birth statistics}}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들어오는 이민의 경우 국적이 어디에 있었는지 조사할 수 있지만, 나가는 이민에 대해서는 조사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국제 이동 연구 방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814 ===
 
=== 814 ===
  
Whe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migration directly, indirect estimates of net migration may be obtained by the {{TextTerm|residual method|1|814|OtherIndexEntry=method, residual}} or {{TextTerm|method of residues|1|814|2|OtherIndexEntry=residues, method of}} in which the change in population between two dates is compared with the change due to natural grow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igures is attributed to migration. The {{TextTerm|vital statistics method|2|814|OtherIndexEntry=method, vital statistics}} consists of computing the difference between total population change, as assessed from two censuses, and {{NonRefTerm|natural increase}} ({{RefNumber|70|1|7}}) during the intercensal period. The {{TextTerm|survival ratio method|3|814|IndexEntry=survival ratio method average|OtherIndexEntry=method, survival ratio}} is commonly used to estimate net migration by age; it does not require actual death statistics. {{NonRefTerm|Survival ratios}} may be derived either from life tables or from the comparison of successive censuses, and they are applied to a sub-population in one census to give expected numbers by age at the time of the other census. A comparison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expected population may be used to estimate the balance of migration by age for the subpopulation. When {{NewTextTerm|place-of-birth statistics|4}} ({{RefNumber|81|3|3}}) by age and current residence are available in two consecutive censuses, it is possible to make indirect estimates of migration streams.
+
직접 이동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순이동은 {{TextTerm|잔류법|1|814|EnglishEntry=residual method}}으로 간접적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두 시점 사이의 인구 변화에서 자연증감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동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extTerm|인구동태통계법|2|814|EnglishEntry=vital statistics method}}은 두 센서스에서 조사된 총 인구 변화와 센서스 간의 {{NonRefTerm|자연증가}} ({{RefNumber|70|1|7}})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다. {{TextTerm|생존율법|3|814|EnglishEntry=survival ratio method}}은 보통 연령별 순이동을 추정하는 데 사용하는데, 실제 사망률 통계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 {{NonRefTerm|생존율}}은 생명표 또는 연속 센서스의 비교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존율을 센서스의 부분인구에 적용하여 다음 센서스의 연령별 기대 인구수를 얻게 된다. 관찰된 인구와 기대되는 인구를 비교하면 연령별 이동의 증감을 추정할 수 있다. 연속된 2번의 센서스에서 연령별 {{TextTerm|출생지통계|4}} ({{RefNumber|81|3|3}}) 와 최근 거주지 통계를 얻을 수 있다면, 이동 흐름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Note|2| The equation show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otal population change and natural increase is equal to migration has sometimes received the name of {{NoteTerm|balancing equation}}. In order to use it for the estimation of net migration, one must assume that {{NonRefTerm|omissions}} ({{RefNumber|23|0|3}}) and {{NonRefTerm|multiple countings}} ({{RefNumber|23|0|5}}) are equal for both censuses.}}
+
{{Note|2| 총 인구의 변화와 자연증가의 차이와 이동이 같다는 식은 {{NoteTerm|균형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순이동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두 센서스에서 {{NonRefTerm|조사누락}} ({{RefNumber|23|0|3}}) {{NonRefTerm|중복}} ({{RefNumber|23|0|5}})이 동일하다는 것을 가정해야 한다}}
{{Note|3| The major variants of this procedure are called the {{NoteTerm|life table survival ratio method}} and the {{NoteTerm|national census survival ratio method}}. In the {{NoteTerm|forward survival ratio method}}, the population at the beginning of an intercensal period serves to estimate the expected population at the end of the period, and the procedure is reversed in the {{NoteTerm|reverse survival ratio method}}; the {{NoteTerm|average survival ratio method}} combines these two approaches.}}
+
{{Note|3| 이 방법의 주요 유형은 {{NoteTerm|생명표 생존율 법|EnglishEntry=life table survival ratio method|}} {{NoteTerm|센서스 생존율 법|EnglishEntry=national census survival ratio method|}}이 있다. {{NoteTerm|전진적생존율법}}은 센서스 간의 기초인구를 이용하여 기말의 기대인구를 추정하는 것이고,{{NoteTerm|역생존율법}}은 반대로 구하는 것이다. {{NoteTerm|평균생존율법}}은 두 방법의 결과를 평균 낸 것이다.}}
  
 
=== 815 ===
 
=== 815 ===
  
The generic term {{TextTerm|migration rate|1|815}} refers to any rate which measures the relative frequency of migration within a population. Unless indicated otherwise these rates should be taken as {{TextTerm|annual migration rates|2|815|IndexEntry=annual migration rate|OtherIndexEntry=migration rate, annual}}. They may be obtained as the ratio of the average annual number of movements during a certain period, to the average population of the period. An {{TextTerm|annual rate of net migration|3|815|OtherIndexEntry=net migration, annual rate of}} and an {{TextTerm|annual rate of total migration|4|815|OtherIndexEntry=rate of total migration, annual}} are calculated in a similar fashion by using the appropriate information on net and total migration. An {{TextTerm|index of migration effectiveness|5|815|OtherIndexEntry=migration effectiveness, index of}} or {{TextTerm|effectiveness index|5|815}}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net migration to total in- and out-migration. The range of the index is from zero, when arrivals and departures are equal in number, to one, when migration is entirely one way.
+
일반적인 용어로 {{TextTerm|이동률|1|815|EnglishEntry=migration rate|}} 은 인구이동의 상대적인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TextTerm|연간이동률|2|815|EnglishOriginal=annual migration rate}}을 말한다. 연간이동률은 일정기간 연평균 인구의 연평균 이동의 비율로 계산한다. {{TextTerm|연간순이동률|3|815|EnglishOriginal=annual rate of net migration}}{{TextTerm|연간총이동률|4|815|EnglishOriginal=annual rate of total migration}}은 순이동량이나 총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통해 계산된다. {{TextTerm|이동효과지수|5|815|EnglishOriginal=index of migration effectiveness}} 또는 {{TextTerm|효과지수|5|815}}는 유입량과 유출량의 합에 대한 순 이동량의 비율이다. 이 지수의 범위는 도착과 출발의 수가 같을 경우 0, 이동이 완전히 한 방향일 경우에는 1이 된다.  
{{Note|2| Other denominators may serve to compute the rate, such as the population at the beginning or the end of the period, or the number of person-years lived by the population of the area.}}
+
{{Note|2| 이동 비율 계산에 기초 인구와 기말 인구 또는 해당 지역 인구의 인년 등 다른 분모도 사용된다.}}
{{Note|5| Also: {{NoteTerm|Index of migration efficiency}} or {{NoteTerm|efficiency index}}.}}
+
{{Note|5| {{NoteTerm|이동효율지수}} 또는 {{NoteTerm|효율지수}}라고도 한다.}}
  
 
=== 816 ===
 
=== 816 ===
  
{{TextTerm|Proportions of migrants|1|816|IndexEntry=proportion of migrants|OtherIndexEntry=migrants, proportion of}} can be obtained by relating the number of migrants during a period to the population to which or from which they are migrating. When the {{TextTerm|proportion of out-migrants|2|816|OtherIndexEntry=out-migrants, proportion of}} is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who reported moving out of the area by the population residing in the area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and alive at the end, this index measures the probability of moving for the population at risk, and among other uses, it can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population projections where migration is accounted for separately. But other populations are often used in practice as denominators to compute proportions of migrants. Similarly, the {{TextTerm|proportion of in-migrants|3|816|OtherIndexEntry=in-migrants, proportion of}} is sometimes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in-migrants in an area during a period, by the population of the area at the end of the period; but the denominator could also be the popul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or the average of the beginning and end populations. The {{TextTerm|proportion of lifetime in-migrants|4|816|OtherIndexEntry=lifetime in-migrants, proportion of}} can be derived from information on the place of birth, dividing the number of persons born out of the area by the enumerated population of the area. The {{TextTerm|proportion of lifetime out-migrants|5|816}} can b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ersons in a country living outside of their area of origin, either by the total number of persons born in that area, or by those among them who still live there. When such characteristics of the migrants as {{NonRefTerm|age}} ({{RefNumber|32|2|1}}), {{NonRefTerm|occupation}} ({{RefNumber|35|2|2}}) or {{NonRefTerm|level of education}} ({{RefNumber|34|2|1}}) are known, {{TextTerm|indices of migration differentials|6|816|IndexEntry=index of migration differentials|OtherIndexEntry=migration differentials, index of}} are used to contrast the migrants and the rest of the population of destination. The index is equal to the quantity 1 minus the ratio of the proportion of migrants in the population having the characteristic studied to the proportion of migrants in the whole population. The index of migration differentials is equal to zero when the population with the given characteristic has the same migration behavior as the rest of the population. The term {{TextTerm|selectivity of migration|7|816|OtherIndexEntry=migration, selectivity of}} indicates that the comparison is between the in-migrants and the population from which they were drawn, at the area of origin (801-4). When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migrants  to those of the population at the place of arrival (801-5) the term {{NewTextTerm|differential migration|8|816|OtherIndexEntry=migration, differential}} or {{NewTextTerm|migration difference|8|816|2}} is sometimes used.
+
{{TextTerm|이동자비율|1|816|EnglishEntry=proportion of migrants}}은 일정기간의 이동자 수가 유입국이나 유출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TextTerm|유출자비율|2|816|EnglishOriginal=proportion of out-migrants}}은 그 지역에서 유출되었다고 보고된 사람의 수를 처음부터 끝까지 그 지역에 생존해 있는 인구로 나누어 얻을 수 있다. 이 지표는 위험인구의 이동확률을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각각의 인구이동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쓰일때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동자비율을 계산하는 다른 인구가 분모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마찬가지로 {{TextTerm|유입자비율|3|816|EnglishOriginal=proportion of in-migrants}}은 어떤 기간동안 그 지역의 유입자수를 기간 말의 인구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또한 기간 초의 인구 또는 기간 시작과 기간 말기의 평균 인구도 분모가 될 수 있다. {{TextTerm|평생 유입자 비율|4|816|EnglishOriginal=proportion of lifetime in-migrants}}은 출생지에 따라 그 지역 외에서 태어난 사람의 수를 그 지역의 조사 인구에서 나눈 것이다. {{TextTerm|평생 유출자 비율|5|816}}은 출생지가 아닌 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의 수를 그 지역에 태어난 사람의 총 수 또는 현재에도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의 숫자로 나눈 것이다. 인구의 {{NonRefTerm|나이}} ({{RefNumber|32|2|1}}), {{NonRefTerm|직업}} ({{RefNumber|35|2|2}}) , {{NonRefTerm|교육 정도}} ({{RefNumber|34|2|1}})와 같은 특징이 명확한 경우, 도착지의 전체 인구와 이민자들의 {{TextTerm|이동격차지수|6|816|EnglishOriginal=index of migration differentials}}는 차이가 날 것이다. 이 지표는 전체 인구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이민자의 비율을 1에서 뺀 것으로 속성의 인구가 나머지 인구와 같은 이동 행동을 가지는 경우 0이 된다. {{TextTerm|이동선택성|7|816|EnglishOriginal=selectivity of migration}}이라는 용어는 유입된 이민자들과 그 지역의 인구를 비교한 것을 가리킨다.({{RefNumber|80|1|4}}) .
{{Note|7| For example, the selectivity of migration from Mexico was decreasing becaus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migrants and nonmigrants fade over time; also the origins of Mexican immigrants was increasingly diverse because of the spread of  Mexican {{NoteTerm|migration networks}} in the USA.}}
 
  
 
=== 817 ===
 
=== 817 ===
  
{{TextTerm|Longitudinal migration analysis|1|817|OtherIndexEntry=analysis, longitudinal migration}} requires information on the successive moves of an individual over time, information which is normally available only from {{NonRefTerm|population registers}} ({{RefNumber|21|3|1}}) or {{NonRefTerm|retrospective surveys}} ({{RefNumber|20|3|8}}). Several refined measures of migration are available from this type of data, such as a {{TextTerm|first migration probability|2|817|OtherIndexEntry=migration probability, first}}, defined as the probability that a group of {{TextTerm|non-migrants|3|817|IndexEntry=non-migrant}} aged x will be involved in migration for the first time before reaching age x + n . These probabilities can be used to calculate a {{TextTerm|non-migrant table|4|817|OtherIndexEntry=table, non-migrant}}. The latter, when combined with a {{NonRefTerm|life table}} ({{RefNumber|43|2|3}}) will lead to a double decrement survivorship {{TextTerm|schedule of non-migrants|5|817|IndexEntry=survivirship schedule of non-migrants|OtherIndexEntry=non-migrants, survivorship schedule of}}. Similarly, {{TextTerm|migration probabilities by order of move|6|817|IndexEntry=migration probability by order of move|OtherIndexEntry=move, migration probability by order of}} can be computed, as well as the proportion of migrants of a given order who have not gone on to make a subsequent move within a certain migration defining interval. The {{TextTerm|all orders migration rate|7|817|OtherIndexEntry=migration rate, all orders}} is the ratio of moves of all orders in a year to the average population size of the {{NonRefTerm|cohort}} ({{RefNumber|11|7|2}}) over the year. The cumulation of these rates for a cohort up to a given date provides an estimate of the {{TextTerm|mean number of moves|8|817|OtherIndexEntry=moves, mean number of}} in the absence of mortality. A survivorship schedule can be combined with an age-specific {{TextTerm|all orders migration table|9|817}} to estimate the average number of remaining moves for an individual of a given age, given the prevailing mortality.
+
{{TextTerm|종단적 이동분석|1|817|EnglishEntry=longitudinal migration analysis}}은 일정기간 개인의 지속적인 이동정보를 요한다. 이 정보는 보통 {{NonRefTerm|인구 대장}} ({{RefNumber|21|3|1}}) 또는 {{NonRefTerm|후향조사}} ({{RefNumber|20|3|8}})를 통해서 얻을 수 밖에 없다. {{TextTerm|첫 이동 확률|2|817|EnglishOriginal=first migration probability}}은  x세인 {{TextTerm|이동 미경험자|3|817}}자가 x + n세까지 처음 이동을 경험하는 확률로 정의된다. 이러한 확률은 {{TextTerm|이동 미경험표|4|817|EnglishOriginal=non-migrant table}}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한다. 후자는 {{NonRefTerm|생명표}} ({{RefNumber|43|2|3}})의 이동 사망 감소 확률로 {{TextTerm|이동 미경험자 생존 스케쥴|5|817|EnglishOriginal=survivorship schedule of non-migrants}}을 만들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TextTerm|이동 순위별 이동확률|6|817|EnglishOriginal=migration probability by order of move}}과 순위 이동경험자 중 한 기간 내에 다음 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도 계산할 수 있다. {{TextTerm|전체 이동 순위별 이동률|7|817|EnglishOriginal=all orders migration rate}}{{NonRefTerm|코호트}} ({{RefNumber|11|7|2}})가 있는 해의 평균 인구 규모에 대한 그해 전체 순위 이동의 비율이다. 사망이 없다고 가정한 경우, 특정시점의 코호트 비율의 합은 {{TextTerm|평균 이동 횟수|8|817|EnglishOriginal=mean number of moves}}가 된다. 만약 일련의 생존율을 연령별 {{TextTerm|순위 전체 이동표|9|817}}에 적용하면, 특정 연령에 도달한 개인이 가정하게되는 사망률에서 이후 경험하는 평균 이동 횟수를 추정할 수 있다.
  
 
=== 818 ===
 
=== 818 ===
  
In studying migrants between two areas during a period, one commonly used measure is the {{TextTerm|index of migration intensity|1|818|OtherIndexEntry=migration intensity, index of}},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migrants from area A to area B by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inhabitants in B at the end of the period, and the number of inhabitants of A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who are still alive at the end. This index, divided by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migrants to the square of the population of the country, yields a {{TextTerm|migration preference index|2|818|OtherIndexEntry=index, migration preference}}. When the numerator is restricted to the net stream of migration, the resulting measure is called an {{TextTerm|index of net velocity|3|818|OtherIndexEntry=net velocity, index of}}. The {{TextTerm|effectiveness of migration streams|4|818|OtherIndexEntry=migration streams, effectiveness of}} is measured by relat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net migration stream to the {{NonRefTerm|gross interchange}} ({{RefNumber|80|5|10}}).
+
일정기간 두 지역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는 {{TextTerm|이동성향지표|1|818|EnglishEntry=index of migration intensity}}이다. 이것은 A지역에서 B지역으로 이동한 사람의 수를 기간 말의 B거주자의 수와 그 기간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생존한 A지역의 거주민의 수로 나눈 것이다. 이 지표를 전국인구의 제곱 값에 대한 총 이동수의 비율로 나누면 {{TextTerm|이동선호지수|2|818|EnglishOriginal=migration preference index}}를 얻을 수 있다. 분모가 순이동에 한정되는 경우,{{TextTerm|지역교류지표|3|818|EnglishOriginal=index of net velocity}}를 얻을 수 있다. {{TextTerm|이동류의 효율성|4|818|EnglishOriginal=effectiveness of migration streams}}은 순수한 이동의 절대값을 {{NonRefTerm|총 이동}} ({{RefNumber|80|5|10}})에 대비하여 나타낸 것이다.
{{Note|1| This index can be interpreted as the probability that two individuals alive at the end of the period selected randomly, one among those residing in area A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and the other among those residing in B at the end of the period, will be identical. The availability of data may impose various other denominators.}}
+
{{Note|1| 이 지표는 기간 초기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중에 무작위로 선택된 A지역에 사는 개인이 기간 말기에 B지역에 거주하는 개인과 동일한 확률로 해석될 수도 있다. 데이터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모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 819 ===
 
=== 819 ===
  
{{TextTerm|이동모델|1|819|IndexEntry=migration model|OtherIndexEntry=model, migration}}은 두 개의 큰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두 지역간의{{NonRefTerm|이동 흐름}} ({{RefNumber|80|3|9}})을 사회적,경제적,인구학적 변수로 연결하는 것이다.이 변수들은 종종 출발지로부터 {{TextTerm|반발|2|819|2}}이 특성화된 {{TextTerm|유인 요인|2|819|IndexEntry=push factor|OtherIndexEntry=factor, push}},도착지로부터{{TextTerm|유인|3|819|2}}을 받는 {{TextTerm|유입 요인|3|819|IndexEntry=pull factor|OtherIndexEntry=factor, pull}},두 지역사이에 존재하는{{TextTerm|장애요인|4|819|IndexEntry=intervening obstacle|OtherIndexEntry=obstacle intervening}}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가장 간단한 모델은 {{TextTerm|중력모델|5|819|IndexEntry=gravity model|OtherIndexEntry=model, gravity}}로 지역간의 크기는 이 지역 인구크기에 비례하고 {{TextTerm|거리|6|819}}에 반비례한다. 다른 모델의 흐름은 도착지의 기회에 비례, 도착지와 출발지 사이의 {{TextTerm|중재기회|7|819|IndexEntry=intervening opportunity|OtherIndexEntry=opportunity, intervening}}에 반비례한다. 두번째는 {{NonRefTerm|확률 모델}} ({{RefNumber|73|0|5}})로 집단보다는 개인에 관해 언급하며, 이동 확률을 연령과 이전의 이동거리 등 몇가지 개인의 특성에 관련시키는 것이다.
+
{{TextTerm|이동모델|1|819|EnglishEntry=migration model}}은 두 개의 큰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두 지역간의{{NonRefTerm|이동 흐름}} ({{RefNumber|80|3|9}})을 사회적,경제적,인구학적 변수로 연결하는 것이다.이 변수들은 종종 출발지로부터 {{TextTerm|반발|2|819|2}}이 특성화된 {{TextTerm|유인 요인|2|819|EnglishEntry=push factor}},도착지로부터{{TextTerm|유인|3|819|2}}을 받는 {{TextTerm|유입 요인|3|819|EnglishEntry=pull factor}},두 지역사이에 존재하는{{TextTerm|장애요인|4|819|EnglishOriginal=obstacle intervening}}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가장 간단한 모델은 {{TextTerm|중력모델|5|819|EnglishEntry=gravity model}}로 지역 간의 크기는 이 지역 인구크기에 비례하고 {{TextTerm|거리|6|819}}에 반비례한다. 다른 모델의 흐름은 도착지의 기회에 비례, 도착지와 출발지 사이의 {{TextTerm|중재기회|7|819|EnglishOriginal=intervening opportunity}}에 반비례한다. 두번째는 {{NonRefTerm|확률 모델|EnglishEntry=stochastic models}} ({{RefNumber|73|0|5}})로 집단보다는 개인에 관해 언급하며, 이동 확률을 연령과 이전의 이동거리 등 몇가지 개인의 특성에 관련시키는 것이다.
 
{{Note|5| 또는{{NoteTerm|파레토형 모델}}.}}
 
{{Note|5| 또는{{NoteTerm|파레토형 모델}}.}}
 
{{Note|6| 거리는 직선, 경로, 중간 지역의 수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Note|6| 거리는 직선, 경로, 중간 지역의 수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2013년 9월 22일 (일) 14:50 기준 최신판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


812

인구이동통계(migration statistics)1는 인구 이동의 양, 이동 방향, 이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다. 이동 통계의 대부분은 정확한 측정이 아닌 대략적인 추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료의 정확도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이동의 직접적인 측정2은 이동이 발생했을 때 이를 기록하는 제도를 필요로 한다. 가장 완전한 이동 통계는 모든 거주지 변경을 기록하는 인구기록대장을 통해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이동 및 국제 이동을 측정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자가 후자보다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인구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나라는 한정된 목적으로,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하지 않은 일부 행정 기록을 이동 자료로 사용할 수있다. 즉 유권자 등록3, 사회보장 기록4 또는 납세 기록5에서 국내 이동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국제이동의 경우, 선박과 비행기의 승객명단7 또는 적하목록7을 기반으로 통계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이 통계는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지역 대부분의국경교통 (803-2*)에서는 거주지를 변경하지 않는 여행객8환승 801-11객과 구분하기 위하여 특별한 절차를 요구한다. 비자9,입국 허가9,거주허가증10노동허가증11의 수는 외국인의 유입이민을 나타내는 것으로 통계에 이용할 수 있다.

  • 9. 해외를 여행하고 싶은 주민은 출국 허가를 받거나 출국 비자를 취득해야 하며, 이는 이동경로정보의 출처로 기록되어 진다

813

이동통계(statistics on migrants)1는 센서스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서 얻을 수 있다. 설문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전입자통계2, 전출자통계2출생지통계3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들어오는 이민의 경우 국적이 어디에 있었는지 조사할 수 있지만, 나가는 이민에 대해서는 조사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국제 이동 연구 방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814

직접 이동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순이동은 잔류법(residual method)1으로 간접적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두 시점 사이의 인구 변화에서 자연증감을 제외한 나머지는 이동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구동태통계법(vital statistics method)2은 두 센서스에서 조사된 총 인구 변화와 센서스 간의 자연증가 (701-7)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다. 생존율법(survival ratio method)3은 보통 연령별 순이동을 추정하는 데 사용하는데, 실제 사망률 통계를 이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생존율은 생명표 또는 연속 센서스의 비교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존율을 센서스의 부분인구에 적용하여 다음 센서스의 연령별 기대 인구수를 얻게 된다. 관찰된 인구와 기대되는 인구를 비교하면 연령별 이동의 증감을 추정할 수 있다. 연속된 2번의 센서스에서 연령별 출생지통계4 (813-3) 와 최근 거주지 통계를 얻을 수 있다면, 이동 흐름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 2. 총 인구의 변화와 자연증가의 차이와 이동이 같다는 식은 균형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순이동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두 센서스에서 조사누락 (230-3) 과 중복 (230-5)이 동일하다는 것을 가정해야 한다
  • 3. 이 방법의 주요 유형은 생명표 생존율 법(life table survival ratio method)센서스 생존율 법(national census survival ratio method)이 있다. 전진적생존율법은 센서스 간의 기초인구를 이용하여 기말의 기대인구를 추정하는 것이고,역생존율법은 반대로 구하는 것이다. 평균생존율법은 두 방법의 결과를 평균 낸 것이다.

815

일반적인 용어로 이동률(migration rate)1 은 인구이동의 상대적인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연간이동률2을 말한다. 연간이동률은 일정기간 연평균 인구의 연평균 이동의 비율로 계산한다. 연간순이동률3연간총이동률4은 순이동량이나 총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통해 계산된다. 이동효과지수5 또는 효과지수5는 유입량과 유출량의 합에 대한 순 이동량의 비율이다. 이 지수의 범위는 도착과 출발의 수가 같을 경우 0, 이동이 완전히 한 방향일 경우에는 1이 된다.

  • 2. 이동 비율 계산에 기초 인구와 기말 인구 또는 해당 지역 인구의 인년 등 다른 분모도 사용된다.
  • 5. 이동효율지수 또는 효율지수라고도 한다.

816

이동자비율(proportion of migrants)1은 일정기간의 이동자 수가 유입국이나 유출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유출자비율2은 그 지역에서 유출되었다고 보고된 사람의 수를 처음부터 끝까지 그 지역에 생존해 있는 인구로 나누어 얻을 수 있다. 이 지표는 위험인구의 이동확률을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각각의 인구이동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쓰일때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동자비율을 계산하는 다른 인구가 분모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마찬가지로 유입자비율3은 어떤 기간동안 그 지역의 유입자수를 기간 말의 인구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또한 기간 초의 인구 또는 기간 시작과 기간 말기의 평균 인구도 분모가 될 수 있다. 평생 유입자 비율4은 출생지에 따라 그 지역 외에서 태어난 사람의 수를 그 지역의 조사 인구에서 나눈 것이다. 평생 유출자 비율5은 출생지가 아닌 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의 수를 그 지역에 태어난 사람의 총 수 또는 현재에도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의 숫자로 나눈 것이다. 인구의 나이 (322-1), 직업 (352-2) , 교육 정도 (342-1)와 같은 특징이 명확한 경우, 도착지의 전체 인구와 이민자들의 이동격차지수6는 차이가 날 것이다. 이 지표는 전체 인구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이민자의 비율을 1에서 뺀 것으로 속성의 인구가 나머지 인구와 같은 이동 행동을 가지는 경우 0이 된다. 이동선택성7이라는 용어는 유입된 이민자들과 그 지역의 인구를 비교한 것을 가리킨다.(801-4) .

817

종단적 이동분석(longitudinal migration analysis)1은 일정기간 개인의 지속적인 이동정보를 요한다. 이 정보는 보통 인구 대장 (213-1) 또는 후향조사 (203-8)를 통해서 얻을 수 밖에 없다. 첫 이동 확률2은 x세인 이동 미경험자3자가 x + n세까지 처음 이동을 경험하는 확률로 정의된다. 이러한 확률은 이동 미경험표4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한다. 후자는 생명표 (432-3)의 이동 사망 감소 확률로 이동 미경험자 생존 스케쥴5을 만들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 순위별 이동확률6과 순위 이동경험자 중 한 기간 내에 다음 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도 계산할 수 있다. 전체 이동 순위별 이동률7코호트 (117-2)가 있는 해의 평균 인구 규모에 대한 그해 전체 순위 이동의 비율이다. 사망이 없다고 가정한 경우, 특정시점의 코호트 비율의 합은 평균 이동 횟수8가 된다. 만약 일련의 생존율을 연령별 순위 전체 이동표9에 적용하면, 특정 연령에 도달한 개인이 가정하게되는 사망률에서 이후 경험하는 평균 이동 횟수를 추정할 수 있다.

818

일정기간 두 지역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는 이동성향지표(index of migration intensity)1이다. 이것은 A지역에서 B지역으로 이동한 사람의 수를 기간 말의 B거주자의 수와 그 기간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생존한 A지역의 거주민의 수로 나눈 것이다. 이 지표를 전국인구의 제곱 값에 대한 총 이동수의 비율로 나누면 이동선호지수2를 얻을 수 있다. 분모가 순이동에 한정되는 경우,지역교류지표3를 얻을 수 있다. 이동류의 효율성4은 순수한 이동의 절대값을 총 이동 (805-10)에 대비하여 나타낸 것이다.

  • 1. 이 지표는 기간 초기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중에 무작위로 선택된 A지역에 사는 개인이 기간 말기에 B지역에 거주하는 개인과 동일한 확률로 해석될 수도 있다. 데이터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모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819

이동모델(migration model)1은 두 개의 큰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두 지역간의이동 흐름 (803-9)을 사회적,경제적,인구학적 변수로 연결하는 것이다.이 변수들은 종종 출발지로부터 반발2이 특성화된 유인 요인(push factor)2,도착지로부터유인3을 받는 유입 요인(pull factor)3,두 지역사이에 존재하는장애요인4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가장 간단한 모델은 중력모델(gravity model)5로 지역 간의 크기는 이 지역 인구크기에 비례하고 거리6에 반비례한다. 다른 모델의 흐름은 도착지의 기회에 비례, 도착지와 출발지 사이의 중재기회7에 반비례한다. 두번째는 확률 모델(stochastic models) (730-5)로 집단보다는 개인에 관해 언급하며, 이동 확률을 연령과 이전의 이동거리 등 몇가지 개인의 특성에 관련시키는 것이다.

  • 5. 또는파레토형 모델.
  • 6. 거리는 직선, 경로, 중간 지역의 수등으로 측정될 수 있다.

* * *

여기로: Demopædia 소개 | 사전이용법 | 다운로드
장: 서문 | 1. 일반개념 | 2. 인구통계 | 3. 인구분포와 분류 | 4. 건강과 사망력 | 5. 혼인력 | 6. 출산력 | 7. 인구성장과 재생산 | 8. 인구이동 | 9. 인구학의 사회경제적 특성
페이지: 10 | 11 | 12 | 13 | 14 | 15 | 16 | 20 | 21 | 22 | 23 | 30 | 31 | 32 | 33 | 34 | 35 | 40 | 41 | 42 | 43 | 50 | 51 | 52 | 60 | 61 | 62 | 63 | 70 | 71 | 72 | 73 | 80 | 81 | 90 | 91 | 92 | 93
색인: 전체 색인 | 1장 색인 | 2장 색인 | 3장 색인 | 4장 색인 | 5장 색인 | 6장 색인 | 7장 색인 | 8장 색인 | 9장 색인